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코인에서 반감기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인에서 말하는 반감기는 암호화폐의 채굴 보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반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말합니다. 코인 반감기는 암호화폐의 공급량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로 공급량이 제한되면 코인의 희소성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8.28
0
0
지금은 왜 금이나 은이 돈으로 사용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과 은을 돈으로 사용하면 너무나 불편합니다. 들고 다니기에 너무 무겁죠.. 신용카드 한장 아니 핸드폰만 들고 다녀도 결제할 수 있는데 금과 은을 거래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너무 불편한 시대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8.28
0
0
미중 무역전쟁에서 우리는 어디에 서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도처럼 실리외교를 하는게 최선이지만 인도는 핵보유국이자 세계인구 1위국가라는 파워가 있는데 우리처럼 상대적인 약소국은 어느 순간 양자택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 올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럴때 우리와 같은 입장에 제3세계 국가들과 연합하거나 아니면 반드시 둘 중 양자택일을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중국보다는 미국편에 서는게 우리 입장에서는 낫다고 생각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8.28
0
0
세계적으로 애그플레이션이 우려가 된다던데 그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에그플레이션의 원인은 수요 측면에서는 중국,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인구 대국들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식량수요 증가가 있겠고 공급측면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 부진, 러우전쟁,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 등으로 식량 가격이 많이 올랐고 앞으로도 많이 오를 것이라는 우려가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8.28
0
0
cpi에서 다시 pce를 주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연준은 계속해서 인플레이션을 낮추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PCE는 미국의 개인소비지출을 의미합니다. 미국 GDP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70프로 가까이 되는데 비중이 크기때문에 연준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8.28
0
0
자산관리서비스 프라이빗뱅킹(PB)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프라이빗뱅킹은 주로 고액자산가들의 자산을 종합적으로 관리해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프라이빗뱅킹은 맞춤형 자산관리 솔루션, 전문적 투자컨설팅, 법률컨설팅, 세무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8.28
0
0
브릭스(BRICS)의 규모가 훨씬 더 커지게된다면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브릭스 확장은 세계경제에 다양성과 역동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브릭스가 확장되면서 기존 미국 주도 질서의 세계경제가 흔들릴 수 있고 이는 미중갈등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킬수도 있기 때문에 브릭스로 인해 세계경제가 블록화 되는 악영향을 미칠수도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8.28
0
0
대출금리와 저축금리 사이의 관계와 그 영향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출금리와 저축금리는 비례관계에 있습니다. 은행이 대출을 하기위해서는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데 이때 시장금리를 기준으로 금리를 지급합니다. 은행이 예금자에게 지급해야하는 저축금리가 상승하면 은행은 대출금리를 상승해 보전하려고 합니다.
경제 /
대출
23.08.25
0
0
주식용어에서 따상은 머고 따따상은 머예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따상은 신규로 증권거래소에 상장되는 종목이 공모가의 두배로 시초가가 형성되고 또 30% 상승하는 것을 말하며 따따상은 따상을 한 다음날에도 상한가를 기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8.24
0
0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미국과 격차를 줄이기위해 많이 올리면 환율은???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은 여러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만약 우리나라가 금리를 올린다면 돈은 금리가 높은 곳으로 몰리기 때문에 우리나라로 돈이 들어올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게 되면 환율은 하락하고 우리나라 원화가치는 상승하게 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8.24
0
0
748
749
750
751
752
753
754
755
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