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ETF라는 것이 있던데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ETF는 거래소에 상장된 펀드로 특정 지수나 자산군(주식들의 묶음 등)을 추종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주식처럼 주식거래소에서 매수, 매도가 가능하며 일반펀드에 비해 수수료가 낮은 장점이 있고 미국에서는 1990년대 초 한국에서는 2002년 부터 ETF가 거래되기 시작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8.24
0
0
기준금리와 콜금리는 어떤차이가 있나요?단지용어차이인지..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내국인과 금융기관에 적용하는 정책금리입니다. 콜금리는 은행끼리 서로 자금을 빌릴 때 적용하는 금리이며 CD금리는 은행이 발행하는 양도성 예금증서에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8.23
0
0
일본이 오염수를 방류하게되면 한국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본 오염수 방류가 안전한지 그렇지 않은지는 전문 과학자들이 알수 있는 내용이지만 오염수가 방류된다는 것 자체만으로 우리나라 수산물에 대해 심리적으로 꺼리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어 어민들이나 수산업종에 대한 피해가 있을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8.23
0
0
맬서스의 함정이란 어떤 상황을 뜻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맬서스의 함정은 영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가 주장한 이론으로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반해 식량 생산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해 인구는 결국 식량부족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식량생산 기술이 발달하여 맬서스의 함정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8.23
0
0
정부가 돈을 풀면 인플레를 막을수 있다? 어떤의미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부에서 돈을 풀면 인플레이션을 막기는 커녕 오히려 인플레이션이 악화됩니다.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서는 긴축적인 금융정책을 실시 해 시중에 돈을 흡수해야 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3.08.23
0
0
경제 용어 '스놉효과' 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스놉효과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가 많이 알려지거나 대중화되면 오히려 그 제품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사람들이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는 욕구가 많아 대중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를 거부하는 심리로 인해 나타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8.23
0
0
인플레이션 스테그플레이션 차이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은 경제성장과 함께 발생하며 실질소득의 증가를 가져오는 반면에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는 성장하지 않는데 물가만 상승하여 실질소득의 증가를 가져오지 않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8.23
0
0
미국 국채 금리가 계속해서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에서 계속해서 재정지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국채 발행량 증가로 이어져 국채금리가 상승합니다. 또한 코로나 이후 현금이 많이 풀려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게 유지되고 있는데 높은 인플레이션과 이로 인한 연준의 고금리 정책 또한 국채금리 상승의 배경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8.23
0
0
현재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은 끝났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분명 우리나라 내수 시장은 저출산과 가계부채 증가로 좋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경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국가로 미중갈등으로 인한 세계 블록화 현상으로 좋지않은 전망들도 많이 하시지만 우리나라의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등 미래 신기술은 분명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완전히 암울한 상태라고만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8.21
0
0
팁플레이션이란 무슨의미의 경제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로 팁문화가 있는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 생기는 현상으로 서비스업 종사자들에게 지급하는 팁이 증가함으로써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8.21
0
0
748
749
750
751
752
753
754
755
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