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탄소먹는 세균이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원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일반적으로 탄소를 섭취하는 세균은 이산화 탄소를 활용한 에너지를 축정하는 세균을 말합니다. 보통은 박테리아 균입니다.이러한 세균들은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탄소 중립 기술에 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4.04.09
0
0
우주에 원전을 건설하겠다고 하는 우주프로젝트가 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우주에 원전을 설립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력으로는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주로 건설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옮겨야 할 뿐만 아니라 지구의 환경과는 상당히 다른 환경이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4.04.09
0
0
디젤과 가솔린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디젤과 가솔린은 화학적 구성이 다릅니다. 디젤에 비해 가솔린이 일반적으로 더 가벼운 탄화수소와 같은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디젤 연료는 가솔리에 비해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높은 에너지 밀도에 기인하여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해 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4.04.09
0
0
물과 기름이 절대 안섞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물과 기름은 밀도의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물은 분자간 거리가 짧으나 기름의 경우 물보다 분자간 거리가 멀어 물은 높은 밀도를 가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기름은 낮은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서로 섞이지 않고 다른층을 형성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4.04.07
0
0
바닥을 뚫는건 왜 한계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지구는 크게 지각, 맨틀, 외핵, 내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지구의 바닥을 뚫는 것의 한계는 대표적으로 압력과 온도에 의한 영향이 있습니다. 지구 내부로 갈수록 높은 압력과 높은 온도가 발생되며, 이를 버티기 위해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장비가 필요로 합니다. 이로 인해 많은 비용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실제로 구 소련에서 약 12000미터 이상의 깊이를 뚫은 프로젝트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4.07
0
0
led의 에너지 효율은 어느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백열전등의 경우 전기를 빛으로 변환할 때 상당량의 열에너지가 방출되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나, LED(light emitting diode)의 경우 전기에너지를 대부분 빛으로 변환시키며, 일반적으로 백열전등에 비해 80% 이상의 에너지 효율을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QLED, Nano LED 등과 같은 기술들이 기술개발이 되어지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4.07
0
0
화산 폭발이 지구의 기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화산이 폭발하게 되면 여러가지 물질들이 분출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화산재, 화산가스, 용암 등이 방출됩니다.이때 이러한 화산재가 대기에서 태양빛을 가리게 되면, 지구의 평균기온이 극도로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한 생태계의 변화, 기후 변화 등이 동반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4.04.07
0
0
얼마전에 기사를 봤는데 토성의 위성에 토양을 조사한다는데 왜?
안녕하세요. 토성에는 지구의 달과 같은 여러가지 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로써는 태양계 내에서는 생명체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지만, 그 중 생명체의 근원인 물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여지는 위성들이 관찰됩니다. 이 밖에도 여러가지 이유(태양계 형성, 지질학적 관점의 연구 등)에 의해 많은 탐사와 연구가 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4.04.07
0
0
열역학 제2법칙은 엔트로피와 어떤 관련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열역학 제2법칙은 가역과 비가역의 법칙으로, 고립된 계에서 엔트로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다는 법칙입니다.엔트로피는 시스템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질서 한 상태로 발전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물리
24.04.07
0
0
지구상에 척추동물이 지배적인 동물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포유류 중 가장 오래 산다고 알려져 있는 동물은 바다거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100년 이상 생존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4.04.07
0
0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