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사막에는 오아시스가 있다는데.. 증발하고 없어지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오아시스는 지하수가 드러난 것입니다. 조금만 고여있다면 표면은 금방 마르겠지만 안에 내장된 지하수가 많다면 계속적으로 존재하겠지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20
0
0
아침에 안개는 왜 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안개는 공기중의 수증기가 기온이 낮아지면 맺히는 작은 물방울입니다. 새벽이 기온이 가장 낮으니까 새벽에 맺히고요. 공기중의 싀증기가 많고 일교차가 클 때 잘 맺힙니다.
학문 /
화학
23.02.19
0
0
과학 달의 월식과 일식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1. 지구 자전으로 달을 보는 시간이 다른 것처럼 월식이 일어나는 시간이 다릅니다.2. 맞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8
0
0
과자 눅눅할때 각설탕을 넣으면 된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각설탕 표면에 수많은 공간이 있어서 수분을 흡수합니다. 보통 흡수를 잘하는 흡습제로 실리카겔을 넣어 두는 것과 같은 효과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2.18
0
0
기온이 올라가면 왜 얼음은 녹나요?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은 0°C이상이 되면 물이 됩니다. 고체가 온도가 높아지면 액체로 상태가 변하죠. 그래서 기온이 올라가면 물로 녹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6
0
0
압력밥솥에 밥을 하면 밥맛이 좋아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물질의 끓는점은 압력에 따라 변합니다. 압력이 높아지면 끓는점도 높아지죠. 압력밥솥은 2기압정도로 물이 120 °C정도 높은 온도에서 끓기 때문에 밥이 잘익고 맛있겠죠.반대로 높은 산에 가면 기압이 작아서 물이 100°C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기때문에 밥이 설익습니다.
학문 /
화학
23.02.15
0
0
하늘에서 비와 눈이 내리는 이유가 과연 무엇일까여?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와 작은 물방울과 얼음알갱이로 되어합쳐져서작은 물방울들이 합쳐져서 빗방울이 되기도하고, 수증기가 얼음알갱이에 달라붙어 커지면 눈이 되기도 합니다. 눈이 내리다가도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기온이 올라가면 비로 내리기도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4
0
0
유리가 특정 고음에 깨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물체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있는데 소리도 파동으로서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집니다. 유리의 주파수와 같은 파동을 일으켜서 증폭되어 깨어진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2.13
0
1
과학적으로 지구에 밤이 오지 않는 지역이 있다는데 진짜 있나요??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자전하면서 태양이 비추면 낮이고 안비출 때는 밤이 됩니다. 그런데 북극에서는 자전축이 태양으로 기울어져있을 때 자전을 해도 계속 태양을 향하고 있으므로 백야현상이 생깁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2
0
0
비가 오면 왜 안개가 생기는 거죠?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안개는 공기중의 수증기가 차가워져서 응결되어 생긴 것이므로 비가 오면 기온이 대부분 내려가고 공기중의 수증기가 많기 때문입니다. 산에 안개가 짙은 것은 기온이 낮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2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