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세종대왕이 통치 했던 시대는 어떤 환경 이였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 세종대왕은 조선 초기인 조선의 4대 임금입니다.2. 세종은 태종의 아들이며, 성군이자 전성기 시대라고 교육 되어지고 있지만 실제는 끔찍한 굶어 죽음의 시대였고 세종은 지독한 폭군이었습니다. 09 성군으로 둔갑한 폭군 세종대왕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3. 한글 창제는 세종이 했지만 조선은 한글을 폐지시켰습니다. 이유는 그 한글로 권력을 욕하는 글들이 나돌아서 권력에 방해가 된다는 것입니다.4. 그렇게 버려진 한글을 주워다가 연구 개선 및 교과서로 만들어 보급시킨 게 일본의 선각자 후쿠자와 유키치와 조선총독부입니다. 주시경도 그 후쿠자와 유키치의 제자입니다. 조선의 개화파 선각자들 대부분이 후쿠자와 유키치의 제자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한글창재 이후 어떻게 쓰였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같이 쓰임이 있었지만 애초에 한글 창제의 의미는자주정신애민정신창조정신실용정신 4가지로 모든 국민이 사용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K-pop이 갑자기 왜 인기가 많아 졌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양의 경우, 10년 전만 하더라도 케이팝 인지도가 사실상 없는 거나 마찬가지였습니다. 2011년에 sm이 프랑스 가서 콘서트를 했다는데 그때 기사들이 언플을 오지게 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그건 다 뻥튀기였고요. 2012년에는 모두가 알다시피 강남스타일이 전 세계적으로 히트를 쳤죠. 다만 그때도 케이팝은 서양에 그리 잘 알려지지 않았고 케이팝이나 싸이의 인기가 생각보다 그리 오래가지는 않았습니다. 그리나 2010년 말부터 방탄소년단이나 블랙핑크 등을 필두로 점차 케이팝이 서양에서도 젊은층을 중심으로 유의미한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Jpop의 경우에는 질문자님도 언급하셨듯이 수십년 전에는 서양에서도 꽤 인기가 많았던 편이었습니다. 그러나 영미권 팝하고 차별성이 그리 크지 않았기도 했고 일본 가수들이 해외 진출에도 다소 소극적이었던 것도 있었고 결정적으로 그냥 세계적인 가수가 등장하지 않았어서 인기가 떨어져 갔습니다. 왜 굳이 케이팝이냐면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로 퍼포먼스를 말하고 싶습니다. 서서 노래만 부르던 보통의 가수들과는 달리 노래에 춤이 들어간 것이 색다르게 보였던 것입니다. 여기에 케이팝 팬들은 커버댄스도 하고 전문 안무가들이 직접 안무를 짜 주니 지속적으로 주목을 받을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훨씬 건전한 가사, 뮤직비디오, 각종 콘텐츠 역시 케이팝이 잘 알려진 요인으로 꼽힙니다.
학문 /
음악
23.01.07
0
0
민주주의의 반대되는 사회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두개다 민주주의와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공산주의는 사유재산 불허공산 글자그대로 공공의 재산공동재산주의가 공산주의사회주의국가 주도 사회개인의 주체 자유보단 국가가 중심이 되어 국가 주체 중심 사회경제에 있어서 더 그렇죠공통점은 개인보다 국가나 당이 우선 중심인 거구요
학문 /
역사
23.01.07
0
0
삼국지는 누가 지은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 원나라 때의 소설가 나관중이 지은 장편 역사소설로사실을 바탕으로 꾸며낸 이야기 입니다..말 그대로 역사소설이란 역사을 바탕으로 있었던 일 혹은 풍문 기타 지은이나관중의 입장에서 쓴 소설이지여완전히 거짓도 완전히 정사도 아닌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고대 그리스에서는 올림픽 기간 중에는 전쟁을 하지 않았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776 ~서기 393>나체로 경기 벌인 고대 올림픽기록에 나타난 것으로 따지면 기원전 776년에 엘리스파는 그리스 도시 국가에서 고대 올림픽이 시작됐다. 그러나 그보다 1세기 이전부터 올림피아에서 올림픽이 열렸다는 추정대로라면 근 3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발생 배경은 여러 가지 학설이 있으나 제우스를 비롯한 신전에 제례의식에서 발뤈하여 젊은 사람들의 육체적인 기량과 정신적인 강인성을 경쟁시켜 인간을 강인하게 단련시키는 완전 교육의 이념이 깃들어 있고, 또 전쟁이 잦은 때라 무사를 훈련시키기 위한 군 술의 한 영역이었던 측면도 깃들어 있다. 고대 올림픽은 그렇게 1천 2백 년 동안 4년마다 한 번도 거르지 않고 모두 293회 개최됐다. 그리스 헬레니즘 문화의 광장이기도 한 올림픽이 종지부를 찍은 것은 그리스가 로마에 정복당한 뒤인 서기 393년 기독교인 데 오도시우나 황제가 올림픽을 이교도의 모임으로 낙인 찍어 금지시킨 때부터였다. 처음 달리기 한 종목에서 시작했다가 육상의 중거리, 장거리, 원반던지기, 레슬링, 권투, 전차 경주 등 다양하게 종목이 늘어난 고대 올림픽의 우승자들은 국가적인 영웅으로 칭송됐다. 그러나 고대 올림픽은 여자들이 일체 참가하거나 구경하지 못하게 한 금녀의 축제였고, 선수들은 모두 벌거벗고 경기에 참가한 것이 기록과 그림으로 나타나 있다. 전쟁을 하다가도 올림픽 기간에는 3개월의 <하나님의 휴전>을 선포하여 모든 살육과 반목을 중단할 만큼 고대 올림픽은 현대 올림픽보다 평화 정신이 훨씬 강렬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는 490년동안전란으로 뒤집혀진나라입니다무신정권100년과 몽고항쟁으로 백성들은 고난했죠.원간섭기 권문세족 친원파들이 득세하여왕은 꼭두각시이며 백성들의 고혈을빨아내어바람앞에 등불이었습니다원 간섭기 쌍성총관부 만호 이자춘이 고려에귀순하여공민왕과협력해 쌍성총관부를 무너뜨렸죠이성계가 고려에 귀순하여 많은 전투에 전공을세우고위화도회군으로 나라의 권력을얻으니나라를자세히보니 이미 고려라는 나라는썩어문드려졌죠 정도전중심으로 역성혁명을 일으켜새나라를 건국하여 백성이 잘 사는 나라를 만들고자건국했습니다 예로 무신정권 1대 집권자 이의방의 동생이린의 후손이 이성계입니다이의방은 무신정권시기 십팔자위왕 즉 이씨가 왕이된다라는 말이 돌았지만이의방이 정중부일파에게 암살당하고그의 후손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고이씨조선을 세움으로 예언이 맞아떨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신사임당의 업적과 상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율곡이이의 어머니인 신사임당은 양반가의 며느리로 들어갔지만 그 시대를 뛰어넘어서시와 그림 등이 아직도 남아 있고, 율곡이이를 낳고 키운 어머니이기 때문에여성이지만 조선시대의 다른 남성들과 비유를 해도 비길 수 없을 만큼 능력을 가졌고그전의 화폐에는 남성들의 그림만 있었기 때문에 여권신장과 남녀평등을 나타내기 위해서 일부러 신사임당을 선택을 하여 만든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가족들이 같이 볼만한 영화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극한직업, 엑시트 추천해요! 저도 가족이랑 같이 봤는데 재밌더라고요 재밌는 영화가 제일좋죠
학문 /
음악
23.01.07
0
0
라면의 역사 궁금합니다 정말 좋아해서 자주 먹는데 어떻게 도입이 됬는지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스턴트식품 중에서 단연 으뜸으로 손꼽히는 라면! 식품업계의 혁명으로까지 극찬 받았던 라면은 일본에서 시작됐다.라면은 1958년 일본 닛신(日淸)식품의 회장 안도 모모후쿠(安藤百福)에 의해 개발되어 시판된 식품이다.1950년대의 일본은 제2차 대전 패배의 후유증으로 인해 건국 이후 최대의 고난기를 겪고 있었다.이 때문에 식량이 부족하여 미국에서 밀가루를 지원 받아 빵을 만들어 먹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였다.안도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쌀밥을 주식으로 하던 식습관 탓에 빵만으로는 공복감이 채워지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밀가루를 이용한 새로운 식품을 개발하기로 결심했다.그러나 이는 쉽지 않았는데, 어느 날 술집을 간 안도는 덴뿌라를 기름에 튀기는 것을 보고 힌트를 얻게 된다.바로 집으로 돌아온 안도는 밀가루를 국수로 만들어 튀겨 보았고, 이후 몇 차례 실험 끝에 결국 라면 개발에 성공하였다.안도가 만들어 낸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인 아지츠케면(味附麵)은 국숫발에 양념을 묻힌 것으로 끓는 물에 2분만 넣고 끓이면 되었다.한편 국내에서는 1963년 삼양라면이 일본의 라면 제조기술을 도입해 삼양라면(치킨탕면)을 선보이면서 라면의 시대를 열었다.그러나 당시 일반인들에게 라면은 생소할 뿐이어서 초기 반응이 시큰둥했다.이후 박정희 정권의 혼분식 소비 권장정책에 힘입어 라면이 대중화됐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우리 일상에 빠질 수 없는 식품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