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가장오래된 성당은 어느나라에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에스파냐 바르셀로나 외곽에 있는 성당.구분 성당소재지 바르셀로나건립연도 1882~건립자 가우디 이 코르네트(Antonio Gaudi y Cornet)설계자 가우디 이 코르네트건축양식 네오고딕식규모 가로 150m, 세로 60m, 중앙 돔 높이 170m 에스파냐의 세계적인 건축가 가우디(Antonio Gaudi y Cornet)가 설계하고, 직접 건축감독을 맡았다. 그의 나이 서른 살 때인 1882년 3월 19일(성 요셉 축일) 공사를 시작해 1926년 6월 죽을 때까지 교회의 일부만 완성하였다. 나머지 부분은 2004년 현재까지도 계속 작업 중에 있고, 교회 전체가 완성되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지는 알 수 없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세계 전체에서 관객수가 가장 많았던 영화는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마 수입이 가장 많은 영화가 가장 많은 관객수를 동원한 영화가 아닐까 합니다.어벤져스 엔드게임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측우기는 누가만들었고 어떻게 강우량을 파악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영실은 조선 세종 때의 과학자로 본관은 아산(牙山)이다. 기생의 아들로 동래현의 노비 출신이었지만 농기구, 무기등을 고치고 만드는 솜씨가 뛰어나 세종대왕의 명으로 중국에서 공부하였다. 1423년(세종 5년)에 왕의 특명으로 상의원 별좌라는 벼슬을 가지게 되면서 노비의 신분에서 벗어나 궁중 기술자로 활동하였다. 그 후 행사직이 되고 1432년 중추원사 이천(李狀)을 도와 간의대(簡儀臺) 제작에 착수하고 각종 천문의(天文儀) 제작을 감독하였다. 1433년 호군에 오르고 혼천의(渾天儀) 제작에 착수하여 1년 만에 완성하고 이듬해 동활자(銅活字)인 경자자(庚子字)의 결함을 보완한 금속활자 갑인자(甲寅字)의 주조를 지휘감독하였으며, 1450년에 우리 나라 최초의 물시계인 자격루를 완성하고, 1437년에는 소간의와 대간의를 비롯하여 해시계인 현주일귀, 앙부일귀, 정남일귀 등을 만들었다.1437년부터 6년 동안 천체관측용 대 ·소간의(大小簡儀), 휴대용 해시계 현주일구(懸珠日晷)와 천평(天平)일구, 고정된 정남(定南)일구, 앙부(仰釜)일구, 주야(晝夜) 겸용의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태양의 고도와 출몰을 측정하는 규표(圭表), 자격루의 일종인 흠경각(欽敬閣)의 옥루(玉漏)를 제작 완성하고 경상도 채방별감이 되어 구리·철의 채광 ·제련을 감독하였다. 1441년 세계 최초의 우량계인 측우기와 수표(水標)를 발명하여 하천의 범람을 미리 알 수 있게 했다. 측우기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그냥 측우기의 통 안에 들어간 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강수량을 재는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한국사람은 서양문화에 놀랍다고 느끼고 새롭게 느낍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한국과 서양의 문화의 차이보다 동양과 서양의 차이로 서로 다른 문화를 흥미롭게 봅니다.쉽게 k-음악 , k-푸드가 열광하는이유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백색기가 언제부터 항복을 상징하게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의 '깃발연구센터'에 따르면 고대 중국과 로마의 역사학자들이 문헌에서 똑같이 "백기 사용은 항복을 뜻한다"고 밝히고 있는 것으로 보아 1∼3세기부터 유래된 관습이라고 설명합니다. 동양에서는 중국 한(漢) 왕조(서기 25∼250년) 때 유래된 것으로 알려졌고 서양에서는 비슷한 시기인 서기 100년쯤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로마의 코넬리우스 타키투스는 109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역사(Histories)'에서 서기 69년에 비텔리우스 황제와 베스파시언 황제가 벌였던 크레모나 전투까지만 해도 방패를 머리 위로 올리는 것이 항복의 표시였다고 증언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왜 흰색이었을까요? 염료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인데다 전투 현장에 널린 형형색색의 깃발과 구분이 잘 됐기 때문이라고 학자들은 말합니다.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1991년 걸프전에서는 지휘관들이 항복하지 못하게 군인들의 흰옷과 양말, 심지어 흰색 속옷까지 모두 압수하기도 했었는데, 당시 군인들은 손을 머리 뒤에 올리고 "삼촌!(Uncle!)"이라고 외치는 기지를 발휘해 투항에 성공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조선시대에 탈춤을 추면서 양반을 풍자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는 한편으로 생각하면 직설적인 '비난의 경우' 그것이 지배층에게 문제가 되었을 때 후환이 심할 수 있지만, 풍자를 통해 돌려 말했을 경우 지배층도 덜 문제시 하는(웃어 넘기는) 이유도 일부 고려를 하여야 합니다. 그런 까닭에 해당 작품들은 작자 미상인 경우가 많지요.(물론 구전 문학의 집단 전승과 창작의 측면도 큰 이유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떠돌이 탈춤과 도시탈춤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길거리 문화에서 문화의 발전에 따라 대중문화로 자리잡는 과정이 떠돌이에서 도시탈춤으로의 과정입니다.조선시대에 크게 유행한 탈춤은 한국 민중극의 극치임에 틀림이 없다.탈춤을 말 그대로 풀이해보면 탈을 쓰고 노는 놀이이다. 자신을 숨기는 탈(가면)을 쓰고 평소에 응어리진 한을 풀어내는 행위이다. 한마디로 서민들이 양반이나 무당, 아내와 첩, 또는 하인의 행색으로 분장하여 짜증스러운 현실을 놀이화한 것이다. 따라서 중국이나 일본처럼 직업적인 배우가 따로 있을 필요도 없다. 또한 무대와 관객을 따로따로 갈라놓는 다른 나라의 가면극과도 사뭇 다르다.공연자와 관객이 한 마당에서 어울려 즐기는 마당놀이이다. 그렇기 때문에 탈춤은 민중들의 마음을 대변하는 놀이로서 발전되어 왔다.거침없는 행동과 걸죽한 입담으로 양반들의 허위와 가식을 가차없이 풍자해내는 말뚝이의 모습이나 고명한 파계승이 여인을 희롱하는 모습 등 하나같이 민중들의 비판의식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일반서민들은 이런 행위를 통해 억압받는 자신의 울분을 통쾌하게 풀 수 있었던 것이다. 1980년대 들어 한국 대학가에 번진 민중운동과 연계되어새삼 널리 보급된 이 탈춤이 이제는 일반적으로 대중화되어 많은 사람들이 보고 즐기는또 하나의 민속놀이로 확고히 자리잡게 되었다. 일반인들이 취미로 직접 탈을 만들어볼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으며, 직접 탈춤을 지도교습하는 곳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물론 전문적으로 탈춤을 가르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우리 것을 직접 체험해보고 느끼도록 하는 데에 의미를 둔 것이다. 요즘은 서울마당 같은 곳이 있어서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직접 공연되고 있는 탈춤을 쉽사리 접할 수 있게 되었다.오랫동안 전승이 거의 중단되었던 탈춤이다시 일반대중의 일상적이고 보편화된 대중예술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학문 /
음악
23.01.07
0
0
부르고뉴 지방의 와인이 인기가 있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르고뉴는 프랑스 북동부에 위치한 와인산지다. 디종(Dijon)에서 남쪽으로 D974 도로를 따라 차를 달리면 우측으로 나즈막히 솟은 구릉이 계속 이어진다. 이 구릉에 부르고뉴의 포도밭들이 자리하고 있다. 동쪽과 남쪽을 향한 경사면과 석회질이 많은 토양은 피노 누아(Pinot Noir)와 샤르도네(Chardonnay)를 기르기에 최적지다. 다른 품종이 소량 재배되기도 하지만 부르고뉴 레드 와인은 대부분 피노 누아 100%, 화이트 와인은 샤르도네 100%로 만든다. 신기한 것은 단일 품종 와인임에도 부르고뉴 피노 누아와 샤르도네 와인은 마을이나 밭 별로 조금씩 다른 맛과 향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마을 사이 거리는 지하철 한 정거장 정도나 될까. 심지어 같은 마을 안에 위치한 밭은 몇 걸음 떨어져 있지 않다. 부르고뉴 와인을 마신다는 것은 피노 누아와 샤르도네가 표현하는 테루아(terroir, 토양과 기후 등 포도 재배 환경)를 즐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테루아의 산실, 부르고뉴2억 년 전 부르고뉴는 바다 밑에 잠긴 땅이었다. 약 3천만 년 전 지각 변동으로 지금의 유럽 대륙이 생기기까지 긴 시간 해양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석회질 토양은 우아한 와인을 생산하는 가장 주된 요소다.부르고뉴를 와인산지로 본격 개발한 것은 기원 후 1세기 로마인이었다. 전염병 예방을 위해 물에 와인을 섞어 마셨던 로마인들은 부르고뉴에도 포도밭을 건설하고 와인양조를 전파했다. 로마 패망 이후 와인을 더욱 발전시킨 것은 가톨릭 교회와 수도원이었다. 왕실과 귀족의 헌납으로 포도밭을 소유한 이들은 포도 재배와 와인 양조에 대한 경험을 꼼꼼하게 기록했고, 천 년 넘게 쌓인 이 자료는 곧 부르고뉴 와인 생산의 거대한 노하우가 됐다. 축적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들은 마을과 밭 별로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여러 밭 가운데 유난히 더 뛰어난 밭도 가려낼 수 있었다. 그런 밭 주위에는 돌담을 쌓았는데, 부르고뉴 밭 중에 이름이 클로(Clos, 돌담이라는 뜻)로 시작하는 것은 이미 중세 때부터 특별한 밭으로 인정 받았던 곳임을 의미한다. 이렇게 쌓인 지식은 훗날 부르고뉴의 밭을 지역 단위, 마을 단위, 프르미에 크뤼(premier cru, 1등급), 그랑 크뤼(Grand Cru, 특등급)로 구분하는 기반이 됐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이방원과 정도전을 죽인 계기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방원이 정도전을 죽인 진짜 이유는 정도전을 없애 달라는 주원장의 요구에 응한 충실한 개 노릇이었습니다. 또한 이방원이 뭐라고 설명해도 정도전을 그토록 비참하게 살해한 것은 권력을 독점하려는 정치적 살인일 뿐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일반적으로 표절이라함은 논문이나 책,음악..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표절은 전분야에서 적용됩니다적용되는 범위는 분야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겠지만아이디어 자체에 대해서는 저작권이 인정되지 않으며, 그 아이디어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에 관해 저작권이 발생합니다.그리고 다른 사람의 것을 모방하지 않고 스스로 창작한 것이라면, 설령 결과물이 비슷할지라도 침해를 구성하지 않습니다.
학문 /
음악
23.01.07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