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학문
사랑니 발치할때 잇몸을 찢으면 보통 얼마정도면 아물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매복 사랑니 발치의 경우 국소마취 후 잇몸을 절개한 후 치아를 빼게 됩니다. 이때 사랑니가 앞니에 걸려서 쉽게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경우는 사랑니를 잘라서 조각내어 뽑게 됩니다. 마취를 한 후 진행하기때문에 발치과정에서의 통증은 거의 없습니다만 발치 후 1주일 정도까지는 불편감이 지속될 수 있고, 발치 후 붓기가 당분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뺀 자리의 잇몸은 개인마다 회복 속도가 다르지만 보통 2개월 정도면 거의 다 낫습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21.03.20
0
0
치과 문의 입니다 크라운 문의?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충치가 심해서 치아의 온전한 구조를 유지하기 힘든 경우에는 치아를 360도 감싸주는 크라운으로 치료합니다. 만약 충치로 인한 치아구조의 손상이 심한데 크라운으로 치료하지 않을 경우 저작시 힘을 견디지 못하고 치아가 부러질 수도 있습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21.03.20
0
0
잇몸이 약할 때 이가 흔들거리면 빼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치아가 거의 빠질 정도까지 흔들린다면 이미 치주염이 심한 상태일 것입니다.이러한 상태에서는 잇몸치료를 하더라도 치아를 살리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치아를 발치한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치료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법입니다.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1.03.20
0
0
잇몸으로 음식을 씹어 먹어야 치매예방에 도움이 된다는데 틀니로 씹어도 같은 효과가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치아로 음식을 씹는 습관이 치매를 예방한다는 것의 이론적 근거는 치아 신경이 뇌신경의 분지라는 사실입니다.어떠한 원인에 의해 치아가 빠졌더라도 해당 부위의 잇몸과 잇몸뼈에 분지하는 신경 또한 뇌신경의 분지라는 점을 동일하기 때문에 사실상 저작시 자극으로 인한 효과는 동일하다고 생각되어 집니다.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치아가 있을때에 비해 치아가 빠진 후 틀니로 식사하시는 환자분들의 저작력은 1/10에 불과하기 때문에 저작으로 인한 자극효과도 더욱 작을 것으로 예상됩니다.알고계신것처럼 저작을 통한 치매예방도 효과가 있으나, 치매라는 질환에는 다양한 요소들이 영향을 주고 있기때문에 너무 걱정하시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1.03.20
0
0
이빨이 구멍이 났어요 떼워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치경부 마모증(Cervical abrasion)이라고 합니다. 양치질로 인한 치아의 마모, 저작시 과도한 측방력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됩니다. 말씀하신대로 치아의 시림을 유발하기때문에 찬물을 마시거나 아이스크림을 먹을때처럼 구강내 낮은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GI나 레진이라는 재료를 이용하여 떼우는 방식으로 치료합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1.03.20
0
0
사랑니 발치시 꼭 대학병원을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적으로 하치조 신경이 사랑니 뿌리와 직접 닿아있는 경우는 발치 과정에서 신경손상의 위험성이 있기에 대학병원에서 발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개인의원에서도 발치를 진행할 수 있고 문제가 생기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만, 만약 문제가 발생될 경우 대학병원쪽에서 진행하신 것이 문제에 대응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입니다.신경과 닿아있지 않다면 개인의원에서 진행하셔도 큰 상관이 없겠으나, 신경과 직접 닿아있다면 대학병원으로 가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1.03.20
0
0
가벼운 충치치료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가벼운 충치라고 하심은 아마도 신경치료 없이 진행될 수 있는 정도의 충치치료라고 생각이 됩니다.일반적으로 충치의 범위에 따라서 치료 방향이 결정되는데, 가벼운 충치 정도면 레진 혹은 GI나 인레이 정도의 충치일 것이라고 생각되네요.레진이나 GI 치료의 경우 충치 범위를 제거한 후 레진이라는 재료를 채워서 굳히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인레이 치료의 경우 치아 삭제를 통해 와동을 형성한 후 본을 떠서 보철물을 제작하여 치료하는 방식입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1.03.20
0
0
구강 건조가 너무너무 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하신 것은 구강건조증이라고 하는 증상입니다. 구강건조증의 증상은 인공타액을 사용하시거나, 레몬처럼 타액분비를 촉진시키는 식품을 드심으로써 개선하실 수 있으나, 단순히 구강건조뿐만아니라 질문자님의 경우처럼 안구건조를 동반한 증상을 보일 경우 쇼그렌증후군의 가능성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대학병원에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특히 구강건조의 경우는 방치될 경우 치아우식증(충치)가 다발성으로 생길 수 있기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1.03.20
0
0
통증없는 사랑니 꼭 뽑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랑니가 똑바로 자라있고 구강위생관리가 잘이루어진다면 굳이 발치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그러나 일반적으로 사랑니는 관리가 힘든 곳에 위치해있고 누워서 나오는 경향이 많기때문에 치태의 침착으로 인해 염증을 유발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문제가 생기기전에 예방적으로 발치를 시행하는 편입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1.03.20
0
0
하악 매복사랑니 발치 후 4개월이 지났는데 아직도 해당 부위에 딱딱한 멍울이 있는데 정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랑니 발치 후 필요시 콜라겐이나 지혈제를 넣습니다. 그러나 이는 창상 치유에 도움이 되는 목적으로 넣는 것이기에 현재 말씀하시는 멍울이 생기는 것과는 연관성이 없어 보입니다. 아마도 다른 원인에 의해 멍울이 생기지 않았을까 의심됩니다.일반적으로 사랑니 발치 후 멍울이 생기지 않기때문에 이는 검사를 받아보셔야할 부분이라 생각되네요.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21.03.20
0
0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