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올해 (2021년) 최저시급은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성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2021년 최저시급은 8,720원 입니다. 최저시급을 월급으로 환산할 경우 1,822,480원이 됩니다(1주 40시간, 주휴수당분 포함). 구직활동 열심히 하셔서 좋은 직업 찾으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5.01
0
0
육아기단축근무자 대체인력 채용시 지원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성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대체인력 지원비1. 지원요건출산전후휴가, 유사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이하 모성보호제도)을 30일 이상 부여모성보호제도의 시작일 전 60일이 되는 날부터 대체인력을 채용하여 30일 이상 고용모성보호제도가 끝난 후 휴가 및 휴직을 사용한 직원을 30일 이상 고용2. 지원기간모성보호제도기간 중 대체인력을 채용한 기간3. 지원수준사업주가 대체인력에게 지급한 임금의 80% 한도로 지원인수인계 기간(최대 60일): 우선지원대상기업 월 120만원이후 채용 기간: 대체인력 1인당 우선지원대상기업 월 80만원, 대규모 월 30만원4. 지원주기모성보호제도 종료 후 30일 이상 해당 직원을 계속 고용한 날과 대체인력을 채용하고 6개월이 경과한 날 중 “더 늦은 날”부터 신청5. 신청서류출산육아기 고용안정장려금 신청서 1부직원이 출산전후휴가, 유사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하였음을 증명하는 사본(예. 휴직원, 인사발령 문서, 근로계약서 등)신규 고용한 대체인력의 근로계약서 사본 및 월별 임금대장 사본기타 고용센터 담당자가 요청하는 서류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5.01
0
0
병원급과 의원급의 연차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성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종전에는 공휴일이 법정휴일이 아니었기 때문에 근로기준법 제62조 소정의 연차대체가 가능했습니다. 그런데 2018년 3월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이 법정유급휴일이 되었고, 공휴일에 대한 연차대체가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2. 다만 위 개정 근로기준법은 5인 이상 3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해서는 2022년 1월 1일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올해까진 공휴일에 대한 연차대체가 가능합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5.01
0
0
노무사 시험 공부 기간은 얼마나 잡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성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모든 시험이 그러하듯 개인 마다 천차만별입니다. 다만 수험가에선 통상 2년 정도로 잡고 있습니다. 수험 1년 차에 2차 시험 또한 전력으로 준비하신다면 2년 차에 합격 확률을 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5.01
0
0
근로자의날 근무에대해 대체휴무지급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성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근로자의 날에 대해서는 휴일대체가 불가능합니다. 여기서 휴일대체란 휴일을 통상의 근로일로, 통상의 근로일을 휴일로 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2. 다만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로 휴일근로수당 지급에 갈음하여 휴가를 부여할 수는 있습니다. 이를 보상휴가제라 합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5.01
0
0
입양한 부모에게도 육아휴직을 부여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성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고평법 제19조 제1항은 "사업주는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입양한 자녀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를 양육하기 위하여 휴직(이하 "육아휴직"이라 한다)을 신청하는 경우에 이를 허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육아휴직 부여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4.30
0
0
5월1일 근로자의날 연봉직 수당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성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근로자의 날은 법으로 정해진 유급휴일 입니다. 따라서 근로제공이 없더라도 해당일에 통상의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지급했을 임금(100%)을 지급해야 합니다.2. 월급제의 경우 근로자의 날이 토요일(무급휴일 또는 무급휴무일)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월급여에 해당일에 대한 임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근로자의 날에 근로제공이 있을 경우 사용자는 "해당일 근로의 대가 100% + 가산임금 50%" 총 150%의 임금을 추가적으로 지급해야 할 것입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4.30
0
0
휴직기간중에는 생리휴가가 아예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성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휴직이란 근로를 제공할 의무가 정지된 기간을 의미합니다. 또한 휴가는 일정 기간 근로를 제공할 의무를 면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미 근로제공 의무가 정지된 기간에 대해 재차 근로제공 의무를 면제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습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4.30
0
0
근로자의날 토요일 근무수당 지급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성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근로자의 날은 법으로 정해진 유급휴일 입니다. 따라서 근로제공이 없더라도 해당일에 통상의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지급했을 임금(100%)을 지급해야 합니다.2. 만일 시급제 근로자가 근로자의 날에 근로를 제공하는 겅우 "근로를 제공하지 않았어도 지급해야 할 임금 100% + 해당일 근로의 대가 100% + 가산임금 50%" 총 250%의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3. 월급제 근로자가 근로자의 날에 근로를 제공하는 경우 근로를 제공하지 않았어도 지급해야 할 임금 100%는 이미 월급여에 포함되어 있는바, "해당일 근로의 대가 100% + 가산임금 50%" 총 250%의 임금"을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4.30
0
0
출산전후휴가기간에 휴일이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성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출산전후휴가 90일(다태아 120일)은 역상의 90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휴가기간 중 휴일이나 휴무가 있는 경우 이를 포함하여 계산하게 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4.30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