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원화도 무한정으로 자국내에서 찍어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성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원화는 한국은행에서 통화신용정책으로 만듭니다 이는 독립적으로 판단하는 기관이므로, 한국은행이 자체적으로 결정합니다 하지만 통화량을 높이게 되면 높은 인플레이션과 원화평가절하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설립목적에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이 있기 때문에 통화량을 계속 뽑아낼 수는 있으나, 할 가능성은 없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4.04.03
0
0
주식매도할때 팔릴때까지 주문을 유지하는 기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성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은 장이 끝나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장마감 시 기존 미체결 주문은 취소됩니다 코인은 거래소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증권사 어플에서 매일 주문을 넣으실 계획이시라면 "예약 주문"을 하시면 됩니다 예약 주문은 일정 가격에 일정 수량을 장후 또는 장전에 예약하는 주문입니다 기간으로도 설정이 가능하며, 보통 최대 한 달간 유지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4.03
0
0
지난과거를볼때 모든게 몇배는 오르잖아요
안녕하세요. 박성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가와 집값 모두 우상향 하는 것은 인플레이션에 의해 상승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다만, 가파르게 오른 주가와 부동산 가격은 유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과하고 올랐다는 것은 거품(버블)이 꼈다는 의미입니다 실제 가치와 가격간 괴리가 과하게 커지면 이를 거품이라 부르고 거품은 언젠가 꺼집니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30년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4.03
0
0
ETF 분배금 입금시간이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성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ETF분배금 입금은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차이가 커도 1일 정도 이내(보통 5시간 정도 차이납니다)에 입금이 완료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4.03
0
0
펀드에 관한 질문입니다 . 주부이구요 있는돈을 펀드 투자하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박성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펀드상품은 금융투자상품이므로,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펀드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모르겠으나, 장기적으로 투자를 하실 계획이라면 자유적립식으로 펀드를 매수하여 적금처럼 일정 금액을 일정 기간마다 매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펀드는 펀드매니저가 관리를 해줍니다 하지만, 패시브 펀드의 경우 크게 펀드매니저가 관리를 한다기보다 특정 섹터나 지수 등을 그대로 담는 포트폴리오이므로, 알아서 굴려주길 바라시면 액티브 펀드 매수를 하시면 됩니다 다만, 액티브 펀드는 패시브 펀드에 비해 수수료가 높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4.03
0
0
화폐의 시간 가치란 용어의 개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성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화폐의 시간가치는 화폐가 시간에 따라 다른 가치를 가짐을 의미합니다 현재의 1만원과 10년 뒤 1만원은 가치가 다르다는 것이며, 가치 차이가 변하는 이유는 인플레이션과 기회비용 때문입니다 만약 지금 1만원을 맡기면 10년 뒤에 합리적 가격으로 돌려준다고 합니다 이때 합리적 가격은 2만원으로 가정하겠습니다 화폐가 10년이라는 시간동안 얼마만큼의 가치가 하락하는지를 의미합니다즉, 미래에 화폐 1단위의 가치를 현재 화폐 1단위의 가치로 얼마인지 계산하거나 현재 화폐 1단위의 가치로 미래 화폐 1단위의 가치를 계산할 때 화폐의 시간가치 개념이 필요합니다화폐의 시간가치는 PV(화폐의 현재 가치), FV(화폐의 미래 가치)PMT(화폐의 정기적 현금흐름), I(수익률, 금리, 이자율), N(기간) 이렇게 5가지 중 3가지만 알면 시간가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년 뒤 1억을 모으고 싶은데 금리가 5%라면, 적금으로 매월 얼마씩 납입해야 하는지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FV = 1억, N=10, I = 5이므로, 3가지를 알고 있는 겁니다 그리고 구해야 하는 값은 PMT입니다 보통 화폐의 시간가치는 쌀집계산기로도 구할 수는 있으나, 과정이 복잡해지므로 재무계산기를 활용하여 구합니다 BA II(BA2 계산기 또는 BA2 플러스)가 대표적이며, 어플로도 있습니다계산할 때는, 1년에 12번 정기적으로 납입할 것이기 때문에 N=12, I =5/12로 환산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계산해보면 PMT가 8,144,081원으로 나옵니다 즉, 계산된 PMT*12를 하면 원금이 되고 이 원금은 97,728,978원입니다 이 원금이 1년 뒤 1억이 되므로, 화폐가 N과 I에 따라 다른 시간가치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4.04.03
0
0
적금과 예금의 이자 중 어디가 더 많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성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같은 금액이라고 하더라도 금리에 따라 이자가 달라지므로, 계산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금리도 같다고 가정하면 예금 이자가 더 많습니다 적금은 목돈을 만드는 목적이며, 예금은 목돈을 굴리는 목적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4.04.03
0
0
주식에서 반대매매가 발생하는 요인으로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성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보통은 신용으로 주식을 사거나 미수를 사용한 경우 반대매매가 나옵니다 신용으로 샀지만, 일정 비율로 자산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그 이하 수준으로 떨어지면 반대매매가 됩니다 미수금 역시 결제일 차이를 이용한 대출로 생각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결제당일에 돈이 없다면 반대매매가 나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04.03
0
0
1500만원을 1년 5프로 이자로 빌리면 이자는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성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거치 후 상환이라고 가정하면 만기일에 원금 15,000,000원과 이자 750,000원입니다 총 15,750,000원입니다
경제 /
대출
24.04.03
0
0
요구불예금이 늘면 어떤 현상이 나타나나요?
안녕하세요. 박성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요구불예금은 입출금 계좌입니다 금리가 점차 하락중이므로, 예금 매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입출금 계좌에만 두는 겁니다 요구불예금이 늘었다는 것은 저축이 아닌 소비에 돈이 몰린다거나 부동산 또는 주식 등에 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4.04.03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