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근면한하마253
근면한하마25324.04.02

주식에서 반대매매가 발생하는 요인으로 어떤것이 있나요?

주식을 공부하면서 반대매매에 대한 용어를 접했습니다. 반대매매는 어떤경우에 발생하며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반대 매매의 경우 내가 가진 돈 보다 더 많은 금액(미수)으로 주식을 샀는데, 그 주식의 가격이 떨어져서 소위 담보비율이 충족되지 못할 때 증권사가 투자자금 회수를 위해 임의로 반대 매매를 낼 때 대표적으로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대매매의 경우, 보유한 돈 보다 더 많은금액(미수)으로 주식을 샀는데 그 주식의 가격이 떨어져서 담보비율이 충분하지 못할때, 증권회사가 투자자금 회수를 위해 임위로 반대 매매를 하여 원금을 잃지 않도록 조치하는 경우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은 신용으로 주식을 사거나 미수를 사용한 경우 반대매매가 나옵니다 신용으로 샀지만, 일정 비율로 자산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그 이하 수준으로 떨어지면 반대매매가 됩니다 미수금 역시 결제일 차이를 이용한 대출로 생각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결제당일에 돈이 없다면 반대매매가 나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을 매수하려고 하는 상황에서 주식을 매수하려는 증거금이 모자란 경우에는 증권사로부터 자금을 빌려서 주식을 매입하지만 이렇게 증권사의 자금을 빌려 주식을 매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향후 이 주식을 매도하거나 혹은 미수거래의 경우에는 2일뒤에 증권사에게 빌린 자금을 갚아야 해요. 그러나 만약 증권사로부터 자금을 빌려서 매입하였던 주식의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자금을 빌려준 증권사가 손해를 보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될 수 있어서 증권사는 고객의 동의 없이 고객이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매도 하게 되는 것이 바로 반대매매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대매매와 같은 경우 고객이 증권사의 돈을 빌리거나 신용융자금으로 주식을 매입하고 난 후, 빌린 돈을 약정한 만기기간 내에 변제하지 못할 경우 발생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주식을 담보로 하여 투자하거나 신용을 끌어다 쓰는 경우 주식의 담보가치가 빌린 돈보다

      적어질 만큼 주가가 하락하면 자동으로 청산되는 것을 반대매매라고 합니다

    • 이는 주가가 떨어질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