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코인 거래소에 코인 상장 기준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거래소마다 조금씩 조건은 상이한데요, 가령 업비트에서는 기반 프로젝트의 투명성, 거래에 대한 지원 가능성, 투자자의 공정한 참여 가능성 등을 중요한 상장 조건으로 보고 있다고 해요.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코스피 거래소 상장 조건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표적인 코스피 상장 조건은 자기 자본 300억원 이상, 설립 3년 이상, 3년 평균 매출 700억 이상, 상장주식 100만주 이상 등이 있어요. 코스피 거래소에 상장한다는 것 자체가 우량주식에 대한 시그널을 의미하는 장점에 더해, 우량주에 대한 수요, 즉 자금이 더 활발하게 흐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테더 라는것이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테더는 스테이블 코인이고, 달러가 아닙니다. 따라서 달러의 가치와 연동되어 가치의 안정감을 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달러처럼 사용할 수 있지는 않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그리고 테더에 대한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시각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하모닉패턴 공부할때 유용한자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승률이 상당히 높으신 것으로 보입니다. 제 짧은 소견으로는, 하모닉 패턴이라고 판단되더라도 실제로는 그 패턴에 필요한 측정값들이 특정 비율값과 잘 맞지 않아 결과적으로 하모닉 패턴이 아니게 되는 경우가 있어, 서적 보다는 경험으로 하모닉 패턴은 기본 패턴에 대한 이해가 마스터 단계에 있을 때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리오프닝주식, 턴어라운드주식 등은 어떤 지표를 보면 알 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리오프닝 주식은 실물경제를 이해해야합니다.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해당 주식 기업의 주력 상품/서비스가 무엇인지 확인한 후, COVID-19 전후 위축이 되었는지, 그리고 회복되면 해당 기업에 호재인지를 따져봐야 합니다. 턴어라운드주식은 해당 실적을 알고 있어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적자 상태에 있다가 실적이 개선되어 당해 연도 흑자 전환이 예상되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코인에서 보면 자사주매각? 같은 코인 소각이 있던데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코인을 소각한다는 의미는 발행한 총발행량의 코인 수 중에서 특정한 양을 없앤다는 의미입니다. 결국 해당 코인들은 유통되는 코인에서 제외됩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자신 배분은 어느정도로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제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요즘처럼 경기가 침체되어 있는 시기에는 상당부분 예금 및 적금으로 최소 70% 이상으로 배분하는 것이 안전할 것 같습니다. 나머지 30% 이내의 경우, 가령 주식의 포트폴리오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각 산업별 1~2등 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짜서 보수적으로 투자할 것 같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1
0
0
금리는왜 오르는건가요?! 오르면 경제가나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번에 세계 경제에서 금리가 오르는 원인은 인플레이션 즉, 물가상승 압박을 꺾기 위해서입니다. 코로나 대응으로 세계 각국 정부가 상당한 양적완화를 진행했는데, 물가상승이라는 부메랑이 되어 돌아왔어요. 이에 대한 대응으로 금리를 상승시켜, 과열된 투자 심리를 낮추고, 시중의 돈을 다시 흡수하는 정책 방향성을 가지고 있어요. 다만, 금리가 오르게 되면, 돈을 빌린 경제 주체들이 대출금 상환 압박을 크게 느끼거나, 기존에 돈을 더 보수적으로 투자에 반영하는 등, 국가 경제는 경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0
0
0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는데, 한국은 금리를 내린다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시장의 금리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면(우리나라 시장 대비) 한국에 넣어두었던 외국자본들을 빼서, 수익률이 높은 미국시장으로 옮길 유인이 커집니다. 따라서, 미국 금리와의 갭을 크게 두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0
0
0
CBDC와 스테이블 코인은 똑같은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스테이블 코인을 지향하겠지요. 하지만, 그 가격 변동을 완전히 통제하기는 어렵습니다. 결국 해당 코인도 수요와 공급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그 부분보다 일반 스테이블 코인과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CBDC는 중앙정부가 보증하기 때문에, 제도권에 편입되어, 기존 시장의 코인보다는 더 안정적일 가능성은 크다고 사료됩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0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