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대공수미법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유성룡이 건의한 이 같은 대공수미법은 곧장 課收量의 상정(1결에 쌀 2말씩)을 거쳐 그 해 가을부터 전국에 시행되었다. 貢案의 개정(貢納制의 지속)을 주장하는 일부 관료들의 반대가 없지는 않았지만, 시급한 군량의 조달 방안이 달리 없었고, 또 민심의 慰撫가 다급하였기 때문이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원자폭탄의 제 2의 피해국이 한국인 이유?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한국이 제2의 피해국인 이유는미국이 원자폭탄을 투하했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는 조선인 징용 노무자들이 많이 거주했습니다. 일제가 침략전쟁을 벌이며 부족해진 본토의 노동력을 조선인으로 충당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고려 시대 '서희의 외교 담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서희는 고려의 문신이다. 본관은 이천, 내의령 서필의 아들이다. 자는 염윤이다. 960년 과거에 급제한 후 원외랑을 거쳐 병관어사로 재직 중, 993년 거란의 침입 때 거란 측 장수인 소손녕과 담판을 하여 교전을 치르지 않고 퇴각시켰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우리나라 최초 기상관측은 언제부터 실시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904년 8도 5개 지역에 설치된 임시 관측소가 국내 근대 기상의 시작점. 비록 일제가 한반도 지배를 위한 정보 수집 차원에서 설치한 시설이었지만, 기온·강수량·해상기후 등 체계적인 관측 활동이 진행됐다는 점에서 국내 현대 과학 기상을 있게 한 중요한 시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왜 독일에서는 맥주가 명물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독일맥주가 유명한 일면에는1516년에 빌헬름 4세의 '맥주 순수령'으로 맥주의 순수성을 보장했는데, 맥주에 호프.물,보리의 순수 자연원료 외에 방부제 같은 화학처리를 할 수 없도록 하고있기때문입니다.
학문 /
음악
23.02.14
0
0
왜 프랑스는 와인이 유명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서유럽 대륙에 위치한 프랑스는 토양이나 기후 등이 와인 생산에 매우 적합합니다. 특히, 드넓은 평야를 중심으로 낙농업이 발달해 있는데 프랑스에서 생산하는 농산물 중 약 10%는 와인이 차지합니다.이로 인해 프랑스인들 사이에서도 와인을 사랑이 매우 대단하면서도 그 어느 나라보다 와인 문화가 발달해 있어 현재 프랑스 와인의 위상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출처: 티스토리
학문 /
역사
23.02.14
0
0
빵은 어느나라에서 누가 젤루 먼저 만들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빵의 기원은 정확하지는 않다. 서기전 3000년경의 바빌로니아인들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효모를 넣은 희고 부드러운 빵은 서기전 2000년경에 이집트인들에 의하여 만들어졌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는 조선 말엽에 비밀리에 입국한 선교사들에 의해 알려졌을 것으로 추측된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학문 /
역사
23.02.14
0
0
세계 7대 불가사의는 어떤 기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세계에 존재하고 있는 신비한 건축물중 7개를 선정한것을 7대 불가사의라고 하는데고대 불가사의는 2세기 수학자 필론에 의해 정해졌다고 합니다.동방원정을 다녀온 알렉산드로대왕의 증언을 바탕으로한 저서 세계 7대 경관에서 밝힌 7가지가 처음이었습니다.이집트 쿠푸왕의 피라미드, 바빌론의 공중정원,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상, 로도스섬의 크로이소스 거상,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 할리카리나소스의 마우솔레움, 알렉산드리아 파로스의 등대입니다.-출처: 티스토리
학문 /
역사
23.02.14
0
0
루브르 박물관 포함해서 세계 3대 박물관은 어디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세계 3대 박물관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과 바티칸시티에 위치한 '바티칸 박물관', 영국의 '대영 박물관' 이라고 한다.
학문 /
미술
23.02.14
0
0
동지가 지나면 푸성귀도 새마음이 든다는데 왜 하필 푸성귀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추운 겨울 몸을 움츠리고 있던 각종 푸성귀들이 동지가 지나면 다가올 봄을 기다리며 마음을 가다듬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학문 /
역사
23.02.14
0
0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