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러시아가 미국에게 알레스카를 헐값에 판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러시아 제국은 크림 전쟁의 여파로 인해 재정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있었고, 나중에 분쟁이 생겨 특히 영국의 해군이 방어하기 어려운 지역을 쉽게 점령할 경우에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하고 알래스카를 잃을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떨어 알렉산드르 2세는 이 영토를 미국에 팔기로 결정했다.
학문 /
역사
23.02.10
0
0
콜라는 처음 만든 회사는 알겠는데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868년 영국인 존 노스와 레이가 요코하마 외국인 거류지에 '노스 앤 레이' 상회를 열면서, 사과와 파인애플 맛이 나는 복합향료를 사용해 '샴페인사이다'라는 이름의 탄산음료를 개발했다.
학문 /
음악
23.02.10
0
0
인류역사에서 손톱꾸미는 네일아트의 시작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네일아트는 5,000년 전 고대 이집트와 중국에서 신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그당시에는 매니큐어가 없었기에 사람들은 관목에서 추출한 헤나를 신분이 높을수록 진한 적색으로 발랐고 낮을수록 연하게 발랐다.--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미술
23.02.10
0
0
부모님 3년상은 언제부터 했던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삼년상(三年喪)은 유교 문화권에서 치른 장례 방식의 일종이다. 흔히 조선시대의 풍속으로 알려지나, 꽤 이른 시기부터 유교의례를 수용했기에 이미 삼국시대부터 삼년상을 행했음을 중국 측의 기록으로 알수 있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0
0
0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영화감독은?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주 메뉴 열기검색박남옥언어PDF 다운로드주시편집박남옥(朴南玉, 1923년 ~ 2017년 4월 8일)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1923년 경상북도 하양에서 태어났으며, 이화여전을 중퇴하였다. 1944년 대구에서 잠시 신문 기자를 지내다가 사직 후 서울로 다시 상경하였다. 1955년에 영화 《미망인》을 발표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영화 감독으로 평가받고 있다.--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10
0
0
렉싱턴 전투라는게 정확하게 뭘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렉싱턴 콩코드 전투(Battles of Lexington and Concord)는 1775년 4월 19일에 일어난 ‘미국 독립 전쟁’의 포문을 연 영미 간의 전투이다. 영국군이 보스턴 북서쪽에 위치한 콩코드에 있던 미국 식민지 민병대 무기고 접수 작전을 실시했다. 그 조치에 반발하여 움직였던 식민지 민병대와 무력으로 충돌, 렉싱턴과 콩코드에서 영국군과 민병대가 격렬한 전투를 벌여 식민지군이 영국군을 격파했다. 규모는 작지만 미국 독립 전쟁의 서전을 장식한 의미있는 전투가 되었다.--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10
0
0
광주학생독립운동은 어떤계기로 일어나게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광주학생항일운동(光州學生抗日運動) 또는 광주학생독립운동(光州學生獨立運動)은 1929년 10월 30일 나주역 사건을 계기로 하여 11월 3일부터 광주에서 시작되어 11월 12일에 두 차례의 학생시위를 거쳐 1929년 11월 말에서 1930년 3월 혹은 5월까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던 학생독립운동을 말한다.-출처: 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2.10
0
0
말짱도루묵이란 말이 왜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도루묵은 원래 '묵' 또는'목어'라고 불리는 동해에 사는 생선이었는데 조선시대 선조가 함경도로 피난을 갔을 때 한 어부가 '묵'이라는 물고기를 임금에게 바쳤다.임금이 먹어보니 이 물고기가 너무 맛이 좋아 은어(銀魚)라는 이름을 하사했다.전쟁이 끝난 뒤 다시 서울로 돌아온 임금은 피난 때 먹은 은어(銀魚)의 맛을 잊지 못해 다시 청했으나 그 맛이 예전과 달라 도로 '묵'이라 부르도록 했고 그래서 '도루묵'이 됐다고 한다.
학문 /
역사
23.02.10
0
0
우리나라 최초 발라드 노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정석적인 '발라드'라는 장르의 시작은유재하의 1987년에 발매가 된'사랑하기 때문에'가 사실상 시초로 봅니다.
학문 /
음악
23.02.10
0
0
성악설과 성선설의 중간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성무선악설(性無善惡說)은 인간의 본성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으며 욕구(식욕, 색욕)만 가지고 태어났고 인간 외의 동물도 동일하다는 고자의 주장이다. 성무선무악설(性無善無惡說)이라고도 부른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철학
23.02.10
0
0
838
839
840
841
842
843
844
845
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