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에는 문화생활을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후기 당시 형편이 나아진 서민들의 높은 교육열로 서당 교육이 확산되면서 의식 수준이 높아진 덕분이기도 했어요. 그래서 조선 후기에 한글 소설, 사설시조, 탈춤, 판소리, 민화 등 서민 문화가 발달하였어요.-출처: 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2.05
0
0
관상이 어떤 근거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관상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얼굴을 3부분으로 나눈다. 각 3부분은 이마와, 코, 턱으로 상징된다. 이마를 상정(上停)이라고 부르고, 눈썹부터 시작하여 코를 중심으로 광대뼈를 포함하는 부분을 중정(中停), 인중부터 시작하여 턱까지 포함하는 얼굴 아랫부분을 하정(下停)이라고 부른다. 그 부분은 인생의 각 부분을 지배한다. 그리고 상정은 30세까지의 운을 보고, 중정은 40대까지, 하정은 50세부터 그 이후의 운을 본다.--자료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05
0
0
치우천왕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치우천왕은 기원전 2,747년에 태어나 기원전 2,706년 42세에 환웅으로 즉위한 후, 기원전 2,598년까지 109년 간 재위하면서 모든 전쟁에서 불패의 신화를 갖고 있다. 여러 역사서가 공통적으로 치우천왕을 표현하는 수식어는 ‘동두철액(銅頭鐵額)’으로 구리로 된 머리와 쇠로 된 이마를 말한다. 치우천왕의 철갑투구를 처음 보는 동시대인들의 놀라움이 드러난다.
학문 /
역사
23.02.05
0
0
조선 건국 시 과전법은 왜 만들어졌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과전법은 고려 말과 조선 초에 관리에게 토지에서 세금을 걷을 권리를 주던 제도 가운데 하나이며, 그러한 토지를 과전이라 불렀다. 현직, 퇴직관료에게 수조권을 준 것으로 관료 본인 즉, 일대에 한하여 수조권을 인정해 준 제도이다. -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05
0
0
순장은 무엇이고 왜 일어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순장(殉葬)은 고대에 왕이나 귀족 등 고위층이 사망하였을 경우 처자와 노비(때때로 가축)를 장례식에서 함께 매장하던 일이다. 왕이 죽을 경우 그 수하의 시녀나 내관을 함께 매장하기도 했다. 순장되는 사람들은 스스로의 의지에 따라 택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05
0
0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신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독립신문(獨立新聞)은 1896년 4월 7일에 한국에서 발간된 민간 신문이자 한글, 영문판 신문이다. 서재필을 중심으로, 독립협회(獨立協會)의 기관지로 발간되었으며 미국인 선교사 호머 헐버트가 신문 창간과 발행 작업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서재필은 당시 4,400원을 발급받고 또 조선정부의 지원을 받아 4월 7일에 처음 발간했다. 4면 중 3면은 순국문, 1면은 영문으로 문장을 썼다. 필진으로는 유길준, 윤치호, 이상재, 주시경 등이 참여하였다.--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05
0
0
주사위는 어디 나라에서 누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주사위는 정확히 언제 처음 만들어졌다는 기록은 없지만 기원전 10세기 이전으로 추정되는 고대이집트 유적에서 상아나 동물의 뼈로 된 주사위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2.05
0
0
거문고와 가야금은 같은 악기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거문고와 가야금의 차이먼저 거문고는 줄이 6개며, '술대'라는 대나무로 만든 막대기로 줄을 치면서 연주를 한다. 반면 가야금은 줄이 12개로, 손가락으로 직접 줄을 튕겨 소리를 낸다.
학문 /
음악
23.02.05
0
0
도토리묵의 유래에 대해서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도토리묵에 대해 있는 최초의 공식적 기록은 임진왜란 시기이다. 당시 피란을 가던 선조가 토리나무의 도토리로 만든 묵을 먹고 별미라고 느껴, 궁궐에서도 찾았다. 이를 두고 원래 토리나무의 이름이 상수리나무로 바뀌었다고 한다.
학문 /
역사
23.02.05
0
0
공공재는 금방 훼손이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내것이 아니라는 애착이 소홀한심리에서 물건의 소중함을 애써 가지려고 하지않기때문이 아닐까요?
학문 /
음악
23.02.05
0
0
856
857
858
859
860
861
862
863
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