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결혼식전에 약혼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예서에 의하면 남자는 17세 이상 20세, 여자는 14세 이상 20세에 의혼을 하는데, 먼저 중매로 하여금 왕래하게 하여 혼담을 통하도록 하고, 여자쪽의 허락이 나면 납채를 보낸다고 하였다. 여기서 여자쪽의 허락과 함께 납채를 보내는 것이 정혼 즉, 약혼에 해당한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학문 /
역사
23.02.02
0
0
왕으로 있을 때 독살된 왕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독살된 가능성을 추정하는 임금과세자로서는 단종, 소현세자,경종, 효장세자, 고종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2
0
0
갑오농민전쟁은 어떠한 전쟁이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갑오농민전쟁』은 이후 30여년 뒤 1892년 무렵부터 시작하여 평범한 농민이자 민란 주도자의 후손인 오상민이 농민전쟁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과정을 농민의 각성, 전봉준과의 사제 관계 등을 중심으로 풀어낸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
학문 /
역사
23.02.02
0
0
대몽항쟁은 어떠한 항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고려의 대몽 항쟁은 고려가 몽골에 맞서 싸운 전쟁을 일컫는다. 좁게는 고려-몽골 전쟁을, 넓게는 삼별초의 항쟁을 비롯한 공민왕 때의 원나라와의 전쟁까지도 포함되기도 한다. 그러나 흔히 대몽 항쟁이라 하면 고려-몽골 전쟁과 삼별초의 항쟁만을 가리킨다.--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02
0
0
힙합이란 장르는 어떻게 시작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힙합(Hip Hop)은 1970년대 미합중국 뉴욕의 브롱스에서유행하기 시작한 춤과 대중음악으로부터 파생된 거리문화이다. 또한 미합중국 뉴욕의 브롱스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캐리비안 미합중국인, 히스패닉계 주민의 커뮤니티에서 행해지고 있었던 블록 파티에서 태어난 문화이다. 힙합은 랩, 비보잉, 크래피티, 비트박스, (디제잉) 크게 4요소로 이루어져 있다.--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음악
23.02.02
0
0
도자기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도자기는 신석기시대 토기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덧무늬토기를 시작으로 청동기시대에는 무늬가 없는 민무늬토기가 나타납니다.
학문 /
역사
23.02.02
0
0
그리스신화에서 저승의 강이 네개인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아케론(Acheron)아케론은 다른 강들과는 달리 오로지 뱃사공 카론의 배로만 건널 수 있는데.. 이때, 강을 건너는 비용으로 금화 1개가 필요하기 때문에 죽은이를 묻을 때는 반드시 금화 1개를 같이 묻어줬다고 전해진답니다. 코퀴토스(Cocytus)2번째 강인 코퀴토스는 건너는 동안 죽은 영혼들의 과거를 보여주는 신비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때, 대부분의 영혼들은 자신이 살아생전 했던 행동에 대한 후회, 아쉬움, 미안함 등의 복잡한 감정을 느끼게 되고.. 강을 건너는 내내 눈물조차 흐르지 않는 시름에 잠긴다고 하여시름의 강이라 불린다고 하네요.플레게톤(Phlegethon)불길의 강이라 불리는 플레게톤은 보통의 강처럼 물이 흐르는 것이 아닌 활활 타오르는 불이 흐르는 곳인데요. 플레게톤을 지나는 동안 대부분의 영혼들은 자신이 지었던 죄까지도 모두 불태워져 맑은 영혼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답니다.레테(Lethe)저승의 강 마지막 단계인 레테는 강물을 마시는 이들의 기억을 지우는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 망각의 강이라 불린답니다.
학문 /
철학
23.02.02
0
0
차례상 향을 입으로 불면 안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향을 입으로 불어서 끄면안되는 이유는 우리가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 그 숨 속에우리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수많은 생명들이 섞여 있다고 하기 때문에,입으로 불어 끈다는 것은 나의 숨 속에 들어 있는그 수많은 생명들을 불에 태우는 것이기 때문에 금기시 하는 것입니다.
학문 /
음악
23.02.02
0
0
이름을 지을때 아무렇게나 지으면 안된다는데..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좋은 이름은 부르기가 쉽고담은 뜻이 좋아야합니다.예전에는 좋은 이름을 지으려면 타고난 사주에 맞는 행운의 별을 찾아 그 별의 기운이 담긴 글자로 지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름은 시대에맞게 지어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학문 /
역사
23.02.02
0
0
어떠한 질문에 네.예 라고 대답하는것중 어떤것이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표준어 규정 제18항에 복수 표준어로 되어 있습니다. 1988년 이전에는 '예'만을 표준어로 인정하였으나 서울말에서는 오히려 '네'가 더 보편적으로 쓰여 왔고 또 쓰이고 있으므로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2
0
0
865
866
867
868
869
870
871
872
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