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어릴적 불렀던 동요 같은데 작가는 누구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고추먹고 맴맴'은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2리가노래의 발상지로 윤석중 작사·박태준 작곡의정겨운 전래동요 입니다.
학문 /
음악
23.01.29
0
0
프랑스 파리 에펠탑은 어떤 문화적 가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에펠탑은 그 높이가 330m이며,이는 81층 높이의 건물과 맞먹는 높이이다. 1930년 크라이슬러 빌딩이 완공되기 전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다. 방송용 안테나를 제외하고도, 2004년 지어진 미요 교에 이어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높은 구조물이다. 1991년에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자료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1.29
0
0
자유의여신상이 오른손과 왼손에 들고 있는것은 무엇이고 어떤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자유의 여신상은프랑스가 19세기 말에 미국의 독립 10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제작한 동상으로오른손에 햇불, 왼손에 독립선언서를들어 평화를 상징합니다.
학문 /
미술
23.01.29
0
0
우리나라 도깨비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도깨비의 기원은 신라 시대의 비형랑 설화, 두두리 같은 풍요신 숭배, 흥부전의 원형으로 추정되는 방이 설화로 본다. 도깨비를 연구한 민속학자들은 목장신(목수), 야장신(대장장이), 자연 현상(용) 숭배같은 기원들이 있다고 주장한다.즉 원시적인 정령 숭배에 의해서 만들어졌지만, 이후에는 풍요의 신이 되거나, 잡신으로도 배척받는 복합적인 존재다.--자료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1.29
0
0
최초의 영화는 어느나라에서 제작됐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L'Arrivée d'un train en gare de La Ciotat(라 시오타 역에서의 열차의 도착)》1895년 프랑스의 뤼미에르 형제에 의해 만들어진 영화. 세계 최초의 상업 영화로 흔히 알려져 있으나, 사실 최초의 상업적인 목적으로 상영된 영화는 단편 영화 모음집이었다. --자료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1.29
0
0
서예할때 붓의 종류별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털의 종류에 따른 분류 * 양모필 염소의 털로 제조하며 붓이 부드러운 것이 특징입니다, * 황모필 족제비 꼬리털로 제조하며 붓이 힘이 있습니다. 작은 글씨 를 쓰는데 주로 사용합니다. * 장액필 노루의 털로 제조하며 붓 가운데 가장 부드럽습니다. * 닭털붓 닭털로 제조하며 비백과 특수효과를 나타냅니다. * 마필 말털로 제조하며 붓에 힘이 있어 큰 글씨를 쓸 때 사용됩 니다. * 산마필 말털로 제조하며 붓에 힘이 있어 큰 글씨를 쓸때사용됩니다. 산마의 털로 제조합니다. * 낭모필 이리털로 제조하며 탄력이 좋습니다. * 죽필 대를 잘게 쪼개어 제조하며 비백과 특수효과를 나타냅니다. * 갈필 칡줄기를 이용하여 제조하며 비백과 특수효과를나타냅니다.
학문 /
미술
23.01.28
0
0
조선시대 갑옷의 재료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의 갑옷은 방호재인 금속제 혹은 가죽제 미늘을 가죽끈으로 서로 연결한 찰갑(札甲)이 일반적이었으나 그 밖에도 쇄자갑(鎖子甲), 경번갑(鏡幡甲) 등 여러 종류의 갑옷이 사용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갑옷)]
학문 /
역사
23.01.28
0
0
조선시대 관복 색의 급수 기준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초기 1392년에 정해진관복 규정에정1품~종2품은 적색포,정3품~종6품은 청색포,7품이하는 녹색포를 입었던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옛 어른들께서 잠을자면 눈썹이 하얜진다고 했던날은?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수세는 ‘음력 섣달 그믐날 밤에 잠을 자지 않고 등불을 켠 채 지키면서’(守) ‘새해’(歲)를 맞이한다는 뜻이다. 만약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변한다는 속신(俗信)에 따라 잠을 자지 말고 귀한 손님이 올 때 마중 나가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비롯된 관습으로 전해진다.
학문 /
역사
23.01.28
0
0
장희빈은 알려진대로 정말 악녀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장희빈 인생은 희빈에서 왕비로 다시 희빈으로 급기야 사약을 먹고 자진하기까지 파란만장하였는데, 이것은 당시 서인과 남인의 대립, 그것을 타개하기 위해 숙종이 실시한 환국정치라는 정치적 소용돌이에서 발생한 것이었다. 장희빈은 바로 정치 문제의 핵이었고, 또한 갈등, 대립의 기폭제가 되었던 것이었다.-출처: 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1.28
0
0
883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