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중국이 대만을 전쟁을 통해 합병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의 의도는 시진핑 정부의 민족주의적 성향과 지난 경제발전의 성과, 군사력 성장에서 오는 자신감에 근거하여 시진핑 정부는 대만과의 통일이 중국의 부흥을 이루는 “중국몽”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삼국지소설에 나오는 삼고초려는 어떤 일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융중에 기거하던 제갈량을 얻기 위해 몸소 제갈량의 초가집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던 일화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신라의 포석정은 경애왕이 죽음을 맞이한 곳으로, 왕의 놀이터라고 알고있었는데 이게 사실이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포석정은 신라시대 왕과 신하들이 모여 연회를 즐겼던 장소로 추측되기도 하며, 『삼국유사(三國遺事)』에 헌강왕이 포석정에서 남산 신을 보고 춤을 추었다는 기사를 통해 왕실이 의례를 지내던 곳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포석정은 왕실과 밀접한 연관이 있던 장소로 통일신라시대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문화재이다.출처:역사문화유산
학문 /
역사
23.07.18
0
0
독립운동에 큰 공을 세운 김구선생은 왜 암살당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구 암살사건은 당시 정부 발표처럼 한국독립당의 노선을 둘러싼 내분 과정에서 안두희가 개인적 차원에서 우발적으로 저지른 사건이 아니라, 면밀하게 준비·모의되고 조직적으로 역할이 분담된 정권 차원의 범죄 행위로암살범 안두희의 1차적 배후는 ‘군부’였으며, 포병사령관으로 안두희의 직속상관이자 같은 서북청년단 출신인 장은산(張銀山)이 암살을 명령하였습니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7.18
0
0
조선시대 정전에 참여할 수 있는 품계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의 품계는 정1품부터 종9품까지 총 18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반 관료들은 조회, 하례와 같은 국가의 주요 행사 때 정전 앞뜰에 모여 행사를 진행했는데, 품계석을 세워 관료들이 품계에 따라 설 자리를 지정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와플의 원조는 어느나라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와플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됐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모리스 버머쉬(Maurice Vermersch)라는 벨기에 사덕이 1964년 뉴욕의 한 박람회에서, 그가 와플에 생크림과 딸기를 얹어 판매하면서 이 와플을 '브뤼셀 와플'이라 소개한것에서비롯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조선시대 왕후라고 하면 다 왕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비(王妃)는 왕의 아내를 뜻합니다. 임금과 혼인한 여성이며 내명부와 외명부의 수장직을 맞고있습니다. 군주의 정실부인(正室夫人, 정식으로 혼인한 부인을 높여 이르는 말)으로 조선시대 왕비는 왕후(王后), 중궁(中宮), 중전(中殿) 등으로 불렸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조선이 활자 개발은 서양보다 빨랐으나 출판업의 진흥으로 이어지지 못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금속활자가 최초로 발명된 13세기까지는 활자끼리 맞물리게 하는 기술적인 부분이 미흡했기 때문에 밀랍으로 두 활자를 붙여서 찍어내는 불완전한 방식을 채택했으므로 한번에 통째로 찍어내는데 무리가 많았습니다. 금속 주조 능력의 부족으로 글자의 모양이 바르지 못하고 획의 굵기가 불안정했으며, 인쇄 중에 흔들림이 많아서 글자가 번지거나 흐려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많은 양을 찍지 못하고 중간중간마다 밀랍을 부어서 재조립해야하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7.18
0
0
김유신이 원래는 신라사람이 아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유신은 삼국시대 신라의 삼국통일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 장수입니다. 595년(진평왕 17)에 태어나 673년(문무왕 13)에 사망했으며, 신라에 투항한 가야왕족의 후손으로, 진골 귀족 출신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거북선은 누가 만들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587년 32세가된 이순신의 부하였던나대용은 훈련원 봉사를 사직하고 거북선 연구를 시작해서 1590년 거북선 제작을 완료하여 실전에투입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8
0
0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