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에드가 드가는 왜 발레리나 그림을 많이 그렸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에드가 드가는 발레와 무용수들에게 관심이 많았습니다. 지금과 달리 당시 무용수들은 어린 나이에 ‘돈을 벌기 위해서’ 춤을 추었던 최하층민들이었기 때문에 관심을 가졌고, 그는 아름다워 보이기만 한 발레의 이면에 감춰진 고단한 삶을 드러내고 싶어했기 때문이었습니다.
학문 /
미술
23.06.24
0
0
우리나라에 바나나가 수입된 역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바나나 수입의 계기는11952년경에 상공부가 구상무역으로 사과를 수출하는 대신 바나나를 수입했다는 내용의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6.24
0
0
사람들은 개고기를 먹었습니다.그런데 이제는 잘 먹으려 하지 않는이유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애완 반려견을키우는 이유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외국에 비춰진 우리나라 개고기 문화가적잖게 반감을 가지게된 원인이크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역사
23.06.24
0
0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에서 각 사람들의 표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같은 그림이라도 보는 사람에 따라 느끼는 감동의 수준이 달라 그림 속 상황을 자신의 감정과 비교하게 되는'파라고네' 인데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파라고네를 정확히 이해하고 똑같은 그림을 감상하더라도 감상자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예술 작품이 감상자들에게 미칠 수 있는 효과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했던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감상자의 위치까지 고려해 그린 작품이 바로 ‘최후의 만찬’이다.출처:사이언스
학문 /
미술
23.06.23
0
0
칸트의 정언 명령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칸트가 주장한정언명령은 '네 의지의 준칙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될 수 있도록행위하라'이를 기준삼아'너 자신과 다른 모든 사람의 인격을 언제나 동시에 목적으로 대하도록 행위하라' 라는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며 그에 합당한 존엄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했다.
학문 /
철학
23.06.23
0
0
신라에 화랑은 왜 얼굴을 흰색으로 칠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랑은 낭도와 구분을 짓고자신의 권위를 드러내기 위해 백분으로 얼굴을 희게하고홍화꽃으로 입술과 볼을화려하게 치장을 했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06.23
0
0
문화유산과 예술품의 보존과 복원에 있어 윤리적 고려사항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화유산과 전통이 있는 유물은한민족이 살아온 흔적이며 동시에미래에 대한 소중한 자료가 되는역사입니다.보다나은 후손의 삶을 위해서변질없이 지켜나가야 하는게유산과 유물을 접하는 자세라고생각합니다.
학문 /
역사
23.06.23
0
0
국선도와 국학기공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선도(밝돌법)는 9,800년의 역사와 전통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한국 고유의 심신 수련법으로, 남녀노소, 인종, 종교, 질병 유무와 무관하게 누구든지 심신 수련을 통해 건강한 몸, 마음과 정신을 가진 전인적인 인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돕는 자기계발 수련법입니다.국선도와 달리 국학기공(國學氣功)은 대한민국에서 유래된 체조이며,한국의 전통 수련법을 현대인의 생활에 맞게 체계화된 스포츠입니다.
학문 /
철학
23.06.23
0
0
중세시대 때 귀족남성들은 왜 스타킹을 신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시대에 남자들이 신은 스타킹의 기원은 군복이었습니다. 갑옷의 쇠에 피부를 긁히는 것을 막기 위해 스타킹을 착용하게 되었는데, 훗날 총기의 등장함으로 갑옷이 사라져 전투복으로서의 스타킹은 점점 사라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3
0
0
고려시대 조선시대에도 여름에 얼음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얼음을 보관하는 냉장고가 없던옛날에는 한겨울에 강이나 개울에서체취한 얼음을 온도유지가 가능한지하 석빙고에 보관했다가 여름에 꺼내어 썼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6.22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