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언제부터 하루가 24시간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루의 시간을 24시간으로 정하게된 이유로 지구의 자전 즉 지구가한바퀴 도는 시간이 24시간이 채되지않는고 하는데에서 하루를24시간으로 나누어 정하게 되었답니다.
학문 /
역사
23.06.20
0
0
조선시대에 왕을 가르치는 역활을 했던 사람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왕자의 교육과더불어 예의범절 교육도 일찍부터 가르쳐 자연스럽게 몸에 배도록 했습니다. 아동기에는 경륜과 심신 강화 교육, 유교경전으로 덕성과 자질을 함양하고 역사교육을 통해 역사적 지식과 안목을 길렀습니다. 이 시기에 특별한 점은 왕이 왕세자에게 수시로 묻고 답하는 방식을 통해 지혜로운 판단력과 언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0
0
0
중국에서는 키보드를 어떻게 만들어 쓰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키보드 각 글쇠에 한자의 자형을 할당하고 글쇠를 입력해 한자로 조합하는 방식이 시도된 1970년대에 '창힐수입법' 개발로 첫 결실을 보았습니다. 뒤이어 한자의 발음을 표기하는 '한어병음'과 '주음부호'를 통해 한자를 입력하는 방식의 입력기가 개발되면서, 단시간에 한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중국어도 기계화가 이루어졌으며, 또한 이러한 입력기들은 처음에는 한글자씩 입력하는 방식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며 성능이 향상되어 단어 단위로도 입력이 가능해졌고, 중국어의 빠른 입력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학문 /
음악
23.06.20
0
0
625 전쟁의 기간은 얼마나 되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6.25 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일요일 새벽 4시경 북한군의 남침으로시작되었으며 대한민국 국군과 유엔군, 중국 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한 국제전으로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이 체결되기까지 사실상 3년 1개월(1129일)간의 전쟁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0
0
0
꽃다발(축하화환, 근조환)을 주는 문화가 조성된 역사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환은 크리스마스 때 악귀를 쫓고 행운을 불러들이는 의미로 벽에 걸어두던 것에서 출발했다고 합니다. 한국으로 치면 일종복조리와 같은것인데, 점점 의미가 추가되어 영원한 사랑을 의미하게 되었다고 합니다.그래서 경조사가 있는곳에는 꽃으로의미를 장식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0
0
0
이슬람 문화에서는 경전 코란에도 쓰였다고 하는데, 왜 히잡을 쓰도록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히잡’은 순결성과 관계가 있다 할 수 있습니다. 18세기 무렵부터 히잡은 경제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표시였으며, 순결과 처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0
0
0
중세, 근세, 근대는 정확히 어떤시기들을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근세는 서양의 중세와 근대 사이의 시기를 말합니다. 이를 다시 근세와 근대로 나누게 되는데, 근대는 대개 영국 산업 혁명 이후부터 20세기 초반(주로 제1차 세계대전)까지를 구분지으며, 근세는 그 이전을 일컫는 시대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0
0
0
울릉도에 호박엿과 오징어가 유명한 이유는 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울릉도를 개척할 당시에 육지에서 들어온 한 처녀가 가져와 심은 호박씨에서 호박이 주렁주렁 열려 울릉도 사람들이 이 호박으로 죽을 쑤어 먹었는데 그 맛이 엿과 비슷했다 합니다. 여기에서 호박엿이라는 말이 유래되었고 호박을 많이 생산하게 되었다고 합니다.오징어 역시 많이 잡혀 일본인들이불법으로 많이 잡아가 울릉도 오징어가유명한 특산물이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0
0
0
음악의 호모포니에 대해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음악에서의'호모포니'는 바로크시대부터 등장하였습니다. 합주시 높은 성부를 담당하는 악기가 주도적으로 선율을 연주하고, 한편 저음역을 담당하는 악기는 독립적 선율 대신 '화성반주'를 하는 형식을 말합니다.
학문 /
음악
23.06.20
0
0
철학과 수학은 연계되어있는 학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학이 철학으로부터 독립하여 세분화되었지만 철학의 논리구조와 핵심은 수학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단지 철학은 근본적인 원리규명을 통한 확립의 과정을 중시한다면 수학은 그러한 과정을 통해 확립된 수학 원리에 따라 각종 응용과정을 종합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 철학 서적, 특히 분석철학 계통의 서적에서는 수학과에서 사용하는 논리 기호를 심심찮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철학
23.06.20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