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한글중에 없어진 글자에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훈민정음에서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글자에는 아래아(ㆍ), 반치음(ㅿ), 옛이응(ㆁ), 여린히읗(ㆆ)이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02
0
0
고려시대 불교가 번성할 수 있었던 시대적 배경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가 흔히 고려를 불교국가라 할 만큼 고려시대에 불교가 차지하는 비중은 큰 것이었다. 고려의 불교는 위로 왕실로부터 아래로 일반백성에 이르기까지 신앙의 대상이 되면서 사상면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까지 깊은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고려사회에서 불교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큰 것이었지만, 나말려초의 정치적 혼란기에는 이것 역시 많은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없었다. 고려가 통일되기 이전의 신라사회는 敎·禪간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경전 중심의 교종에 반대하고, 不立文字·見性悟道를 중시하여 修心과 실천을 강조하고 나선 선종이 지방호족의 지지를 받으면서 크게 번성하게 되었다. 그런데 불교계의 분립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교종과 선종 내에서도 다시 종파간에 대립이 일어나 그 양상은 더욱 복잡해져 갔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6.02
0
0
조선에서 승과에 합격한 스님들은 무슨일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승과 합격자에게는 교종 · 선종의 구별없이 대선(大選)이라는 법계(法階 : 승려들에게 주어지는 품계)가 주어졌다. 이 대선을 시발로 하여 대덕(大德) · 대사(大師) · 중대사(重大師) · 삼중대사(三重大師)의 순으로 승진할 수가 있었다. 그 위로 교종계에서는 수좌(首座) · 승통(僧統), 선종계에서는 선사(禪師) · 대선사(大禪師)의 법계가 있었다.승과(조선시대에는 승과를 일반적으로 禪科라고도 하였음.)에 합격하면 선 · 교의 구별없이 대선의 법계를 받았다. 그리고 거기에서 다시 중덕(中德)을 거쳐 교종에서는 대덕 · 대사로, 선종에서는 선사 · 대선사로 각각 올라가게 되었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6.02
0
0
백제 왕에게도 성씨가 있었나요? 백제 왕의 성씨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여씨(扶餘氏)는 백제의 국성이다. 온조왕을 시조로 하고 스스로 고구려와 같이 부여에서 갈라져 나왔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삼국유사》에서는 초기 백제 왕족의 성씨를 해씨(解氏)라고 밝히고 있고, 고이왕과 그의 자손인 책계왕, 분서왕, 계왕 등은 우씨(優氏)였다는 견해가 있어 백제 왕족이 전 시대에 걸쳐 부여씨를 성씨로 삼지는 않았을 것으로 본다. 백제의 왕위가 맏아들로 이어지게 된 것은 고이왕에서 근초고왕 사이의 어느 시기였을 것이고, 부여씨는 백제 후기에 자칭하여 붙인 것일 수 있다. 왕이 성씨를 만들거나 바꾼 시점에서 그 선조들의 성씨와 휘도 다시 정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온조왕과 비류에 대한 이야기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조금씩 다른데, 성씨 역시 해씨, 우씨 등으로 다르다. 여기서 해씨는 부여의 해부루왕을 자신의 조상으로 내세우는 주장이고, 우씨는 소서노의 첫 남편 우태의 자손이라는 주장이다. 이는 온조와 비류가 형제 지간이 아니라 한성과 미추홀을 거점으로 한 서로 다른 세력이었음을 암시한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2
0
0
조선시대 기마병은 언제 없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병은 1882년 6월 훈련도감 군병이 주도한 임오군란이 청군에 의해 진압된 이후 훈련도감의 기능이 마비되고 이를 대체할 군영으로 친군영(親軍營) 체제가 갖추어지면서 자연스럽게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출처:sillokwiki
학문 /
역사
23.06.02
0
0
데칼코마니는 누구의 의해서 언제 만들어진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스카르 도밍게스(Oscar Dominguez, 1906~1958)가 개발하였다. 어원은 프랑스어로 '옮긴다'는 뜻. 도장의 원리와 동일한데 그림을 반만 그린 후 접어서 인쇄하는 미술 방식이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미술
23.06.02
0
0
안토니 가우디의 건축물은 정말 수치를 계산해서 만든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우디만의 트렌카디스(Trencadis 기법은 구엘 공원에서는 정점을 찍습니다. 트렌카디스는 유리나 대리석, 에나멜이나 유약의 도자기 조각으로 만드는 모자이크 기법입니다. 쉽게 말해 기존에 만들어진 유리나 도자기 등을 깬 후 그 패턴을 그대로 살려 다른 타일에 붙이는 방식입니다.-출처:한화건설공식블로그
학문 /
미술
23.06.02
0
0
경복궁앞에 해태가 왜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태는 왕실에서 민간에 이르기까지 수호의 상징으로도 여겨졌다. 해태는 궁궐이나 사찰에 석상과 벽화로 장식되었는데, 물의 신수로써 화재를 막아주고 벽사의 상징으로 재앙을 막아준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또한 설화에 따르면 해태는 물에 사는 짐승이기 때문에 오행설(五行說)에 따라 불에 강한 동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출처:역사문화유산
학문 /
역사
23.06.02
0
0
드라마 선덕 여왕에서 비담은 실존 인물인지 가상 인물인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담은 신라 제 27대 선덕여왕 말기의 진골로 추정되는 귀족이다. 성은 김이며, 상대등을 역임했고 반란을 일으킨 역신이다. 삼국사기 선덕여왕조, 김유신 열전에 등장한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2
0
0
우리나라의 자동차 수출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자동차 수출 최초 공식 기록은 1976년 6월 에콰도르에 수출한 현대자동차 포니 6대입니다. 이후 우리나라는 1986년 엑셀과 르망을 미국에 수출하며 자동차 수출국 반열에 올랐고, 1995년에는 세계 5대 자동차 생산국으로 우뚝 서게 됐습니다.-출처 :멀티미디어
학문 /
역사
23.06.02
0
0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