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의 조박은 어떤 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박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평양, 자는 안석, 호는 우정, 시호는 문평, 군호는 평원군이다. 문하시중 조인규의 4세손으로, 증조는 조충신, 조부는 조후이다. 1356년에 전의령 조사겸의 아들로 태어났다. 영의정 조준의 7촌 조카이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31
0
0
신민회 조직이 해체 계기가 된 105인 사건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05인 사건은 1911년 1월 1일부터 일본 제국 조선총독부가 서북 지방의 신민회, 기독교, 부호, 지식층 등의 항일세력에게 데라우치 마사타케 암살 모의 누명을 씌우고 대거 체포하여 한국의 민족운동을 대대적으로 탄압한 사건이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31
0
0
순금사는 어떤 곳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의용순금사는 야간에 군사들이 대오를 이루어 위엄을 갖추고 호령을 하면서 순찰하면서 광범위하게 모역, 방위, 일반적인 방도금란, 직책상 징계 등에 관련되는 치안 업무에 종사하였다. -출처:sillokwiki
학문 /
역사
23.05.31
0
0
3.1운동 때 쓰였던 태화관은 원래 어떤용도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화관(泰和館)은 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있던 음식점 겸 술집으로, 유명한 요리집이던 명월관의 부속 건물이었다. 위치는 현재의 서울 종로구 인사동이다. 현재의 지번은 종로구 인사동 194번지-27호로 태화빌딩이 서있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31
0
0
청장관전서는 언제 만들어졌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후기 학자 청장관(靑莊館) 이덕무(李德懋 1741(영조17) ~ 1793(정조17))의 저술 총서로, 정조 19년(1795) 내탕금을 받아 아들 이광규가 편집, 간행하였다. 저자의 다채로운 학문 성향을 알 수 있으며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당세의 실학 중심 학풍 가운데 박학하고 계몽적인 성격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출처:한국의지식콘덴츠
학문 /
역사
23.05.31
0
0
중일전쟁의 시작인 노구교 사건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구교 사건. 중일전쟁의 발단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7.7 사변(七七事变)이라 부른다. 이 사건의 배경이 된 '루거우차오(盧溝橋, 卢沟桥, Lúgōu Qiáo)'는 베이징시 펑타이구에 있는 다리의 이름으로, 한국 한자음으로 읽어 '노구교'라고 부르기도 한다. 서양에선 마르코 폴로가 이 다리를 언급했던 탓에 '마르코 폴로 다리'라고도 부른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31
0
0
성경에서 아담과 이브 이야기에서 사과말고 먹었던 음식에 대한 기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아담과 이브에게 모든 채소와 열매를 맺는 모든 나무를 원초적 먹거리로 주셨지만, 동물의 고기는 허용하지 않았다. 동물을 먹거리로 주시지 않은 것은 에덴동산의 모든 생명들에게 평등과 평화를 주신 것이다. 모든 생명이 동물을 먹거리로 먹는 순간 에덴동산의 평화는 깨지고 약육강식의 세계로 바뀌는 것이다.-출처:가스펠투데이
학문 /
역사
23.05.31
0
0
뼈속까지 사무친다에서 사무치다 유례는 어디서 왔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연 <사무치다>의 의미와 어원은 무엇일까?그러면 한국어의 조상어인 세소토어를 참조하자.세소토어 sa는 치우다, 계속하다 (to clear up, still)의 뜻이며, mahlatsa는 게우다 (to vomit)의 뜻이다.사무치다의 15세기 고어는 <다(通) (석보상절)>이다.한국어 <사뭋다>는 세소토어 <sa (to clear up, still) + mahlatsa (to vomit)>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계속 게워서 깨끗이 하는 것> 즉, <적체된 것을 모두 치워서 속이 통하는 것>을 의미한다.<사뭇>은 세소토어 <sa (to clear up, still) + mahlatsa (to vomit)>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깨끗이 게워 치운 것> 즉, <아주 상당히 달라진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무치다>는 <세소토어 sa (to clear up, still) + mahlatsa (to vomit) + 르완다어 y (수동태)>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계속 게워서 깨끗하게 하는 것> 즉, <적체된 것을 모두 치워서 속이 통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출처:네이버블로그따라서, <가슴속에 사무친 것>은 <가슴 속을 비우고 통하여서 채워진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학문 /
역사
23.05.31
0
0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통합한 사람과 활동 양상, 의의 등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시정부 통합 노력은 1919년 5월 내무총장으로 임명된 안창호(安昌浩)가 미국에서 상해로 오면서 급진전되었다. 안창호의 역할로 상해 임시정부와 대한국민의회를 동시에 해산하고 13도 대표가 조직한 한성정부의 정통성을 인정하여 새롭게 의회를 구성하자는 통합안이 통과되었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31
0
0
향약이라고 하는게 구체적으로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향약은 향촌규약(鄕村規約)의 준말로, 조선 시대에 향촌에서 양반들의 자치활동을 보장받고 하층민을 통제하기 위한 규율이다. 또한 유교적 예절과 풍속을 향촌사회에 보급하여 도덕적 질서의 확립과 미풍양속의 진작, 그리고 상부상조하기 위한 목적도 가지고 있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30
0
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