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 독립문제를 다룬 회담이 카이로회담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카이로 회담은 1943년 11월 22일~26일 카이로에서 미국의 루스벨트, 영국의 처칠, 중화민국의 장제스 세 연합국 수뇌가 모여 열린 회담이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에 대한 연합국의 대응과 아시아의 전후 처리 문제에 관해 협의했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6
0
0
직업공무원제도라는게 구체적으로 어떤 제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직업공무원제도는 소극적으로는 일생동안 공직에 근무한다는 뜻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공공봉사에 대한 보람을 갖게하는 일체의 제도적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단순한 종신직과는 구별된다. 이러한 직업공무원제의 확립요건은 공직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높아야 하고, 학교를 갓 졸업한 인재를 채용할 수 있어야 하며, 훈련ㆍ전직 등을 통한 능력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하고, 보수의 적정화와 연금제도가 보장되어야 하면서 공무원의 직급별 수급계획이 잘 짜여져 있어야 한다.-출처:국가 기록원
학문 /
역사
23.05.26
0
0
미술용어에 쓰이는 매너리즘은 어떤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매너리즘(영어: Mannerism, 이탈리아어: Manierismo 마니에리스모)은 르네상스 미술의 방식이나 형식을 계승하되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매너 혹은 스타일)에 따라 예술작품을 구현한 예술 사조를 말한다. 후대에 이들의 미술을 ‘매너리즘’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이는 이들이 자신만의 개성적인 스타일에 따라 그렸기 때문이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문학
23.05.26
0
0
조선은 왜 일부다처제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초기는 일부 일처제를 지향하고자 하는 법제의 확립 시도와 일부다처제가 적지 않게 행해지고 있는 실제의 다처관행이 서로 상충되는 시기로서 이에 따른 쟁송과 논란이 적지 않게 나타났다. 이에 관한≪조선왕조실록≫의 사료 가운데 대표직인 것은 다음과 같다.① 태종 10년(1410)에 品官 康順이 4처 1첩을 두고 그 중 3처를 연달아 버렸는데 이에 대하여 憲司는 엄히 그 죄를 규탄하고 또한 형조에서는 처가 있는데도 또 처를 얻은 사실을 탄핵하여 職牒을 거두고 律에 의해 그 죄를 논죄하도록 주청하였다(≪太宗實錄≫권 11, 태종 10년 정월 기묘).② 태종 13년(1413)에 사헌부가 時弊를 논하여 前朝末에 예교가 化行하지 못하여 부부의 의가 문란하여 경·사대부간에는 有妻娶妻한 자, 첩을 처로 삼은 자가 많아 마침내 처첩이 서로 소송을 제기하는 폐단을 이루었으니 지금부터 이들을 律에 의하여 처단하고 嫡庶를 정함에 먼저 취한 처를 嫡으로 할 것을 건의하였다(≪太宗實錄≫권 25, 태종 13년 3월 기축). 위의 사료들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 초기에는 사대부들 사이에도 처가 있으면서도 다시 처를 취하는 자나 첩으로써 처를 삼는 자가 많이 있었다. 또 한 다처를 취하거나 처들 중 먼저 취한 자를 정실로 하고 나머지를 첩으로 하여야 한다는 논의 자체는 바로 당시 다처혼의 유습이 상당한 정도로 만연되어 있음을 알게 해주는 것이기도 하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6
0
0
강화도 조약이 불평등 조약임에도 체결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하야, 민씨 척족정권의 재등장으로 통교 교섭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또한 영의정 이유원(李裕元)과 우의정 박규수(朴珪壽)는 더 이상 통교를 거절하는 것은 국가 이익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건의도 교섭에 영향을 주었다.그런데 당시의 정치적 분위기도 서서히 변하여 대원군의 통상거부정책을 적극 지지하던 척사위정세력(斥邪衛正勢力)과는 달리, 북학과 서학의 영향을 받은 박규수· 오경석(吳慶錫) 등에 의해 대외 개방을 주장하는 개화 세력이 자라고 있었다.한편, 청나라는 조선에 대해 프랑스 · 미국과의 국교를 권고하였으며, 일본의 대만 정벌의 소식도 대일본정책의 전환을 촉구하는 내재적 영향력이 자라고 있었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6
0
0
독립운동을 펼쳤던 문학가들 중 이육사 시인의 가장 유명한 작품들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육사의 또 다른 대표작으로 ‘절정’이라는 시가 있는데, 고통스러운 상황 속에서도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와 일제에 대한 저항의식이 담겨 있어서 ‘광야’와 함께 대표적인 저항시라는 평가를 받고 있어요.-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6
0
0
석가탄신의 날이 다가옵니다. 불교 국가인 나라에서는 석가탄신일 행사를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등 남방불교 국가에서는 부처님의 탄신일인 웨삭이 1년 중 가장 큰 축제일입니다. 웨삭은 베사카라고도 하는데 음력 4월 중 달이 가장 큰 날인 만월일로, 음력 4월 15일을 말합니다. 이 때가 되면 지금도 불교도들은 가족의 평안을 기원하는 등을 만들어서 대문에 걸어 무명 중생을 위해 밝히는데 특기할 만한 것은 자신들의 미래 희망을 담은 등을 만든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자식이 항공기 조정을 원하면 비행기 모양의 등을 만들고 배를 타기를 원하면 배 모먕의 등을 만들기 때문에 아주 다양한 종류의 등을 볼 수 있습니다.-출처:연등회
학문 /
미술
23.05.26
0
0
CD와 DVD는 차이가 뭔가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디스크 표면에 홈을 파는 방식인 CD와 DVD는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정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저장용량에 차이가 있습니다. CD는 경로의 폭이 1.6μm인데 비해 DVD는 0.6μm로 더 촘촘하며 경로에 표시되는 홈의 폭도 CD는 0.83μm지만 DVD는 0.4μm로 더 좁습니다.-출처:한겨레
학문 /
음악
23.05.26
0
0
강화도 조약의 계기가 된 윤요호 사건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운요호가 부산항에 오자 당시 '부산 훈도'였던 현석운이 부산 주재(駐在) 왜관(倭館)을 항의 방문하여 군선 침투 사유를 물었고 운요호 함장 이노우에 소좌는 거짓으로 '일본과 조선 간의 상호 통상을 위해 방문하였으며 조선의 해안을 탐사하러 왔다'고 오리발을 내밀었다.운요호는 부산을 지나 남해안을 거쳐 서해안으로 북진하여 현재의 강화도 초지진 앞바다에 도달했고 9월 20일, 이노우에 소좌를 포함한 일부 승조원들이 단정을 타고 강화도의 초지진으로 접근하였는데, 때마침 경계를 서고 있던 조선 수군이 일본군 단정이라는 것을 알게 되자 단정을 향해 돌아가라고 명령과 함께 경고 포격을 가하였고 단정은 이에 맞서 소총으로 응사한 후 운요호로 돌아갔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6
0
0
6조(부)의 체계는 어느 시대에 확립됐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6조 직계제(六曹直啓制)는 조선 태종과 세조 시기에 존재했던 정치체제이다. 현대 대통령제와 유사하며, 당시 극도로 강력해진 왕권을 상징하는 제도이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6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