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신라시대 화랑의 기원과 주요활동은?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랑의 제도적 설치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 4권 진흥왕 37년(576)에 기술되어 있다.[2] 하지만 《삼국사기》에는 이보다 앞서 화랑 사다함(斯多含)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어 화랑도의 기원을 원화(源花)가 만들어진 때부다 훨씬 이전임을 암시한다.[3] 화랑도의 기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정설이 확립되지 않았지만 삼국 전체에 행해 오던 우리 고대 사회의 독특한 기풍, 애국심 혹은 종교가 신라에 와서 화랑도로 정립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화랑도의 이념은 오로지 개인의 수양과 단련을 통한 국가에의 봉사였으므로, 서로 도의를 닦았고[相磨以道義], 가악을 즐겼으며[相悅以歌樂], 명산대천을 찾아다녔다[遊娛山川, 無遠不至], 또한 원광법사(圓光法師)의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준수했다. 또 경문왕(景文王)의 고사에 관련되었듯이 ① 겸손하고 ② 검소하고 ③ 방자하지 않는 삼이(三異)를 생활신조로 삼았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6
0
0
선종 불교의 수행 방법론 중에서 '돈오점수'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종에서 단번에 진심의 이치를 깨친 뒤에 번뇌와 오랜 습기를 제거해 가는 불교수행법. 부처가 되기 위해서 진심(眞心)의 이치를 먼저 깨친 뒤에 오랜 습기(習氣)를 제거하여 가는 수행방법이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철학
23.05.26
0
0
조선시대에 지방의 사립 교육 기관으로 높은 수준의 학문교육을 받을 수 있었던 서원은 그 당시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원은 강학과 학문연구(藏修), 선현제향의 기능을 지니면서, 성리학의 발전을 촉진시키고 지역의 교육, 문화, 지성사의 수준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 지성과 인문학의 전당이었다.-출처:문화재청
학문 /
역사
23.05.26
0
0
포도주가 처음 나오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고학자들은 기원전 6000년경에 메소포타미아(현재의 이라크를 중심으로 시리아의 북동부, 이란의 남서부 지역)에서 처음으로 와인을 제조한 흔적을 발견하였다. 기원전 4000년경에는 나일Nile강 델타 지역에 포도를 생산하는 포도원이 있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출처:와인상식
학문 /
역사
23.05.26
0
0
수학은 누가 처음 발견하여 배우기 시작 했을 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그리스 최초 수학자인 탈레스는 기원전 640년경 소아시아의 이오니아 지방의 밀레투스(고대 그리스 항구도시로 현재 터키에 해당합니다.)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 때부터 그는 가게 점원으로 일하며 장사를 하였습니다, 그러다 그리스에서 지중해를 건너 당시 문명국가인 이집트로 갔습니다. 장사를 목적으로 이집트에 들렀다가 남는 시간을 이용해 이집트의 승려들에게 기하학, 천문학, 토지측량술을 배웠습니다. 탈레스는 젊은 시절에는 상인으로 돈을 벌었고 노년지에는 여행과 연구에 매진하였습니다. 당시 이집트가 그리스보다 수학과 천문학이 발달하였고 그 분야에 관한 많은 책을 읽으며 탈레스는 여러 분야를 배우고 그 후 그리스로 돌아와 수학과 천문학 공부를 계속 하였습니다. 탈레스는 수학과 천문학 뿐 아니라, 철학, 정치, 공학, 상업등 여러 가지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었으며 소크라테스 이전에 ‘철학자’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얻은 인물입니다. 그는 책을 한 권도 저술하지 않았다고 합니다.-출처:네이버 블로그
학문 /
문학
23.05.26
0
0
조선시대에 불법으로 재산을 모은 양반이나 탐관오리 재산을 빼앗아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던 임꺽정은 실존 인물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출귀몰하면서 도술도 능한 의적으로 알고 있는데 이는 소설 속의 인물이며, 실제의 인물은 연산군 때의 도적의 우두머리입니다. 또한 임거정(또는 임꺽정)은 예전의 TV드라마나 홍명희가 지은 현대소설로 알고 있는데 이도 역시 실존인물을 모티브로 작자가 구성한 것입니다.-출처:네이버 블로그
학문 /
역사
23.05.26
0
0
비변사는 어떤 역할을 하는 곳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변사[備邊司] 비변사는 조선후기 국방과 군사에 관한 기밀뿐 아니라 국정 전반을 총괄한 최고의 기구이다. 중종 대에 남북 변방에서 발생하는 국방관계의 긴급한 사안을 대처하기 위한 임시기구인 지변사재상(知邊司宰相)을 고쳐 비변사를 설치하였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6
0
0
판보이쩌우는 어떤 인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판보이쩌우는 베트남의 민족주의자, 혁명가, 독립운동가로서 20세기 베트남 민족주의의 선구자적 인물이다. 호는 사오남이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6
0
0
변법자강운동은 무슨 운동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술변법 또는 변법자강운동은 1898년 강유위, 양계초 등이 중심이 되어 추진한 정치 개혁 운동이었다. 청일전쟁 패배 이후 양무운동의 한계를 느끼고 정치, 교육, 법 등 청나라 사회전반의 제도들을 근본적으로 개혁하고자 하였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6
0
0
러시아의 전쟁이 왜 발생했는지 우리나라와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럽의 지형도를 보면 알 수 있는데, 동서로 뻗은 유럽 대륙의 북쪽지역은 프랑스까지 대부분 평지지만, 남부는 카르파티아 산맥, 알프스 산맥 등이 가로막는 자연국경이 있으며, 해상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북쪽 발트해에는 발트 3국, 남쪽 흑해에는 그리스와 터키가 있다. 발트 3국과 터키가 나토에 가입할 수 있었던 건 이런 지정학적 사정 때문이며, 나토와 러시아의 대치구도가 심화될 경우 양쪽이 모두 원하는 완충지대는 결국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라는 두 평지로 이루어진 나라인 것이다. 나토 역시 라스푸티차 때문에 연중 내내 군사작전을 벌이지 못하는 자연완충지대로서 우크라이나를 두고 싶기 때문에 계속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요청을 외면해왔다.따라서 과거 러시아 제국부터 소련에 이르기까지 우크라이나를 중시했으며, 이후 현대 러시아 연방의 푸틴이 옛 소련 영토 중에서도 유독 우크라이나에 집착하는 것 또한 이 때문이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5
0
0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