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법자강운동은 무슨 운동인가요??
안녕하세요.
변법자강운동이라는 것 무슨 운동인가요?
언제쯤 일어났으며 변법자강운동의 전개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변법자강운동은 1898년 강유위, 양계초 등이 중심이 되어 추진한 정치 개혁 운동으로 한국의 갑오개혁과 유사한 점이 많은 운동인데요. 중국이 근대화 되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운동입니다.
변법자강운동은 단어뜻만 봤을때 '법을 변화시키고 스스로를 강하게 하자'는 것으로 청일전쟁 패배 이후 양무운동의 한계를 느끼고 정치, 교육, 법 등 청나라 사회의 근본적인 개혁을 요구하고 나선 운동입니다. 당시 청나라 황제가 서태후에게 휘둘리며 국정이 어지러운것이 그 배경이었고 이 운동을 통해 과거제도 개혁과 부패한 관리들을 개혁하며 각종 경제 체제에 대한 개혁또한 담겨져있었습니다.
그전 양무운동의 경우 동양 체제를 유지하면서 서양기술을 받아들이는 취지였지만 전쟁의 패배로 인해 정치제도역시 받아들여 적극적인 근대화를 요구하는 움직임이었습니다. 하지만 변법자강운동은 권력이 약했던 자가 이끌었고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했기에 실패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청나라 말기에 강유위(康有爲, 캉유웨이)·양계초(梁啓超, 량치차오)를 중심으로 추진되었던 개량주의적 변혁운동. 청·일전쟁의 패전과 잇따른 열강의 중국분할로 젊은 지식인층은 위기감과 함께, 유럽의 무기·기술만을 도입하려 했던 이른바 양무운동(洋務運動)의 한계를 깨닫고, 봉건적인 정치·사회체제의 개혁을 부르짖게 되었다. 그리하여 국회개설·과거제의 개혁과 양식학교의 설립, 산업의 육성을 목적으로 하여, 주요도시에 학교를 세우고 신문을 발행하는 등 계몽·선전활동을 전개했다. 강유위가 고관의 후원을 받아 황제에게 의견을 올린 결과, 양계초·담사동(譚嗣同) 등 변법파 인사들이 등용되어 그들의 주장을 실현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변법운동은 서태후(西太后)의 쿠데타(무술정변, 1899)로 좌절되고, 강·양은 망명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변법자강운동 [變法自强運動] (한국근현대사사전, 2005. 9. 10., 한국사사전편찬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청일전쟁 패전과 그에 따른 제국주의 열강에 의한 중국 분할로 젊은 독서인층은 망국의 위기감을 절감하고 그들은 패전의 경험에서 유럽의 무기, 기술만을 도입하려는 양무운동의 한계를 깨닫고 전통적인 정치체제, 교육제도 개혁으로 부국강병을 실현해야만 중국이 근대세계 속에서 살아남을수 있음을 주장합니다.
헌법제정, 국회개설, 과거제 개혁과 양식학교 설립, 산업의 보호육성 등을 구체적 목표로 정하고 주요 도시에 학교를 설립, 신문 발행, 관료나 독서인 층을 대상으로 계몽, 선전활동을 했습니다.
외국인 선교사와 일부 고관들 중 그것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있어 고관들의 후원으로 캉유웨이는 황제에게 의견을 구신할 기회를 얻고 그의 의견에 공명해 량치차오, 담사동 등 변법파를 등용해 그들의 주장을 실행, 그러나 이 운동은 서태후의 무술정변으로 좌절, 캉유웨이와 량치차오는 망명했습니다.
20세기 헌법제정, 국회개설을 목표로 한 입헌 운동이 전개되었으나, 청조타도, 공화국 수립을 목표로 한 쑨원 등의 혁명운동이 활발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변법자강운동 > 청일전쟁 패배 이후 절충적 개혁인 양무운동의 한계를 느끼고 캉유웨이, 량치차오 등이 중심이 되어 정치, 교육, 법 등 청나라 사회전반의 제도들을 근본적으로 개혁하고자 한 운동 입니다.
무술변법 이라고 하며 청일전쟁 패전과 그에 따른 제국주의 열강에 의한 중국 분할로 젊은 독서인층은 망국의 위기감은 절감 하였습니다. 그들은 패전의 경험에서 유럽의 무기, 기술만을 도입 하려는 양무운동의 한계를 깨닫고 전통적인 정치체제.교육제도 개혁으로서 부국강병을 실현해야만 중국이 근대세계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음을 주장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근대화 속에서 개혁의 필요성을 느낀 캉유웨이 등의 주도로 1898년 발생한 중국의 개혁운동. 일본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함
1898년 중국에서 캉유웨이(康有爲, 1858~1927)와 량치차오(梁啓超, 1873~1929)가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본받아 단행한 개혁운동이다. 청일전쟁 패전과 그에 따른 제국주의 열강에 의하여 중국이 분할되자, 유럽의 무기ㆍ기술만을 도입하려는 양무운동(洋務運動)의 한계를 깨닫고 전통적인 정치체제ㆍ교육제도 개혁으로서 부국강병을 실현해야만 중국이 근대세계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개혁의 필요를 느끼던 광서제(光緖帝)의 지원을 받아 입헌군주제 실시, 군제 개혁, 과거제의 폐지, 농ㆍ공ㆍ상업의 진흥 등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서태후(西太后)를 중심으로 한 보수세력의 반격(무술정변, 戊戌政變, 1898)으로 103일 만에 실패하고 해외로 망명하게 된다.
한편 중국의 변법자강운동과 우리나라의 갑신정변은 모두 일본의 메이지유신을 모델로 하고 있으며, 입헌군주제를 추구한 위로부터의 체제개혁 운동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외세 의존적인 성격이 강하고, 대중적 지지기반이 약한 것이 특징이다. 두 운동 모두 실패 후 주요 인사들이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술변법 또는 변법자강운동은 1898년 강유위, 양계초 등이 중심이 되어 추진한 정치 개혁 운동이었다. 청일전쟁 패배 이후 양무운동의 한계를 느끼고 정치, 교육, 법 등 청나라 사회전반의 제도들을 근본적으로 개혁하고자 하였다.
-출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