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려 시대는 청자가 유명했는데 왜 조선에서는 백자가 유명해지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해설을 하고 있는 김찬우 입니다.조선시대에도 청자는 생산을 했습니다만 생산을 조선 중기까지만 하였습니다. 조선시대에 왜 고려시대때부터 이어져 오던 청자를 생산하지 않았던 이유는 수요가 백자쪽으로 몰려서 생산을 하지 않은 사실 아주 단순한 이유였습니다.조선시대 성리학이 발전함에 따라 흰색의 무명옷과 흰색의 백자는 성리학에 기조한 청렴과 결백의 순수함을 잘 나타내어 청자의 인기는 사그라들고 모든 도공들이 백자를 만들기 시작하였습니다.이때문에 조선시대에 백자가 유행하게 된것 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4
0
0
자기 목소리로 AI 노래 만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요즘 ai 를 활용하여 만들어내는 창작물은 정말 무궁무진 합니다.찾아본 결과 가수들의 목소리를 활용한 사이트는 많은데 본인 목소리를 활용하여 커버곡을 만드는 사이트는 보이질 않습니다. ai 노래 커버 사이트를 몇개 알려드립니다.https://www.voicify.ai/https://musicfy.lol/그럼 도움이 되셨길 빌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음악
23.08.24
0
0
한복에서 발목은 왜 보이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 한복을 입을때 발목을 보이면 안된다 라는 이야기는 아마 잘못 들으신게 아닐까 합니다. 어떤 자료를 찾아봐도 조선시대 한복을 입을때 발목이 보이면 안된다는 사료는 보이지 않습니다.의복과 발목의 관계성을 나타내는건 일부 중앙아시아나 아프리카 등지에서 발목을 보면 더럽고 헤픈여자란 설이 있었다곤 하지만 조선시대 한복에는 없었던 내용입니다.그럼 도움이 되셨길 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24
0
0
아직까지 칭기츠칸의 묘를 발견하지 못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칭기즈 칸의 무덤은 어디에 있는지 미스터리다. 보르항 산 등 여러 후보지가 있지만 전부 확실하지 않습니다여기에 대해선 좀 재미있는 전설이 하나 있는데, 칭기즈 칸의 무덤을 옮기는 과정에서 마주친 살아있는 모든 것을 몰살시켰고 칭기즈 칸의 무덤은 묻은 후 파헤쳐지는 것을 막기 위해 기병대가 수없이 짓밟음으로써, 무덤을 평지로 만들어 아무도 찾을 수 없도록 만들었다고 합니다. 돌아온 기수들도 미리 준비해둔 자들에 의해 몰살되었다고 전해집니다. 다만 전설일 뿐 확실한건 아니라 학계에서도 실체성 논란이 있으며 학살자 칭기즈 칸을 미워한 자들이 만든 근거없는 낭설로 보는 편이다.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를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나치는 왜 핵폭탄을 먼저 준비했으면서 개발은 늦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38년에 핵분열현상이 발견되자, 과학자들은 "저 핵분열로 일어나는 엄청난 에너지를 무기로도 쓸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당시 나치 독일은 전쟁을 준비하면서 핵분열현상이 무기로 쓰일 수 있음을 알아채곤 물리학자들을 초빙해 우란페어라인 (Uranverein/우라늄 클럽)을 조직하고 핵분열의 무기화, 무기이용가능성을 연구해왔지만 폴란드 침공을 앞두고 이들을 군에 동원하는 바람에 계획은 그대로 중단되었습니다.이후에도 개발을 재개 하였으나 설계 등의 문제로 개발은 실패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독일이 전황이 유리하게 돌아가고 있었기 때문에 핵무기 개발에 크게 투자를 하지 않았다는 설도 있습니다.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를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조선시대 화폐의 기준은 어떻게 나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후기 주화인 상평통보 1개=닢(葉)은 1푼(文)이고, 10푼이 1전(錢), 10전이 1냥(兩)이었다. 냥과 전은 조선뿐만 아니라 한자 문화권 전체에서 금속 화폐를 헤아리는 단위였습니다. 이러한 화폐 단위는 무게 단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상평통보 한 개의 무게는 원료인 동의 시세에 따라 4.5∼9.4g 였습니다. 1894년에 조선 정부가 중국에서 쓰던 멕시코 은화의 단위인 원(元)을 차용하여 신식 화폐 5냥을 1원으로 헤아렸습니다. 1905년 식민지 권력에 의한 화폐 정리 사업에서 은본위 구화폐 10냥(2원)은 금본위 신화폐 1원(圜)으로 교환되었는데, 원은 일본의 화폐 단위인 원(圓, 약자로 円)과 가치를 같이 하였습니다. 어느 1원도 100전입니다. 한국은행이 한일 병합 직후 발행한 화폐의 단위도 원(圜)이었으나, 그 명칭을 바꾼 조선은행이 1911년부터 발행한 화폐의 단위는 원(圓)이었다. 일본인은 ‘圓’을 ‘엔’으로 읽으나, 조선인은 한자 발음 그대로 ‘원’으로 말하고 썼습니다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를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우리나라의 최초의 궁은 언제 지어 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궁은 1392년 조선 건국 후 태조는 3년 뒤에 수도를 개경(지금의 북한 개성)에서 한양(지금의 서울)으로 옮기기 위해 종묘와 사직, 그리고 궁궐을 지었다. 제일 처음 지어진 경복궁인데 백악산(지금의 북악산) 아래로 넓은 지형에 건물을 배치한 법궁으로, 태조는 이곳에서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그러나 1398년 정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수도를 개경으로 옮겼다가 태종이 왕위에 오른 후 1405년(태종 5) 수도를 다시 한양으로 옮겼습니다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를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한국 근대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와 작품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해설을 하고 있는 김찬우 입니다한국의 근대 라고 하면 그 기준을 언제부터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근대화가 시작된 19세 후반 조선말기를 부터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전인 20세시 초를 기준할 수 있는데 이를 기준으로 대표적인 작가 몇분을 알려드리겠습니다.고희동 : 자화상, 정원나혜석 : 봄은 오다, 농가이인성 : 가을 어느날, 경주의 계곡에서오지호 : 남향집, 나부구본웅 : 친구의 초상(이상)이중섭 : 황소, 흰소박수근 : 빨래터, 할아버지와 손자, 일하는 여인김환기 : 론도, 어디에서 무엇이되어 다시 만나랴이렇게 8명의 작가 이고 모두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한국근대미술 특별전에 나왔던 작가입니다대표작은 너무 많은데 작가별로 생각나는데로 두세개씩 만 적어드리겠습니다그럼 미술에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하고미술관련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주십시요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8.23
0
0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쇼군되려고 임진왜란 일으켰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킨 것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습니다1. 유력 다이묘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자신의 공명심과 영웅 심리에서 기인했다는 설.2. 뒤늦게 얻은 아들 쓰루마쓰가 죽은 비통함에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3. 해외무역 장악을 위해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4. 주군이었던 오다 노부나가의 대륙 진출 계획에 영향을 받아, 통일 이후 그것을 실현시켰다는 설.5.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야욕을 이루기 위해서였다는 설. 그래서 강화조건에 명나라 후비를 일본에 바치라는 것과 조선팔도의 절반을 내놓으라고 했다.6. 선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가신이 없고 막부를 세워 쇼군의 권위로 통치하는 것도 불가능하자 도요토미 정권의 불투명한 영속성 개선 즉, 영지하사를 통한 정권안정을 확보하려고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7. 일본 내부 갈등을 밖으로 돌리기 위했다는 설일본 내에서 최고의 세력을 장악한다 할지라도 세력가는 결국 천황의 신하에 불과합니다. 다만 그 세력가가 막부를 세운다면 천황의 명령을 수행하기 보다는 천황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독자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12세기 겐페이 전쟁에서 승리한 겐지에게 주어진 특권이었습니다. 다시 말해 겐지의 피를 이어 받은 자만이 쇼군의 지위에 올라 막부를 세울 자격이 있다는 게 상례였기때문에 말씀하신 쇼군이 되기 위한것 이란것도 틀린말은 아닙니다.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언어가 발달하지 않은 아주 오래전엔 어떻게 의사표현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언어 발생 이전의 의사표현 방식은, 언어의 기원에 관한 이야기과 맞닿아 있습니다.인류의 조상을 호모사피엔스 부터라고 정의를 내린다면 호모사피엔스는 기록은 남아있지 않으나 아주 원시적이면서 단순한 초기 형태의 언어를 구사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인원이라 할수 있는 원숭이나 고릴라 등도 언어를 통한 소통을 진행하는걸로 유추해보면 글자가 발전하기 이전엔 표정과 언어를 통해 소통해왔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