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주식에서 일반주와 우선주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간단히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일반주 - 보통주 : 주주로서 권리 행사 가능 (의결권) , 배당도 받음우선주 : 주주로서 행사 불가능 , 배당을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음, 배당수익률이 보통주보다 높음, 보통주보다 가격이 싼 편딱히 주주권리에 신경안쓰고 배당을 받을 목적이라면 우선주로 사시면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9
0
0
경제 수지에 대한 궁금한 사항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경상수지 중요한 경제 지표로서 국제 간의 거래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쉽습니다. 그중에서 상품수지는 무역수지랑 통용해서 씁니다.쉽게 설명드리면 우리가 흔히 뉴스에서 컨테이너 나오면서 보여주는 것들 있죠?? 그게 일반적인 상품, 무역거래 -> 수출입을 수치로 +-로 나타낸게 무역,상품 수지입니다.그 밖에 서비스는 외국으로 이송할 때 배송 서비스 등을 예로 들을 수 있고 소득수지는 국내의 외국인이 버는 돈, 해외에서 한국인이 버는 돈을 비교 하여 나타내는 것이고 마지막 경상이전수지는 기타 종교단체, 교포 등 해외 동포들이 보내오고 나가는 돈을 말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19
0
0
우리나라가 월드컵을 우승하면 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월드컵에서 우승이라는 타이틀 전세계적으로 나라를 알리는 일입니다.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우승한다고 하면한국을 모르는 해외 많은 나라와 사람들이 한국에 축구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위상과 관심을 가지게 된다는 것 만으로도 한 나라의 경제에 엄청난 파급력으로 작용합니다. 프로축구에 대해 한국 선수들의 몸값이 오르고 해외활동이 더 많아 질 것이고 축구관련된 산업에서 해외투자가 많아짐은 물론 한국관광산업도 활성화가 될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9
0
0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면 주식시장은?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도 무시할 순 없습니다.러시아만 보는게 아니라 러시아로 인하여 다른 나라의 물가상승률은 돌고 돌아 도미노현상으로 우리에게 돌아오기 때문이죠.전쟁이 종료되면 그동안 러시아에서 막았던 부분들이 풀리면 물가는 낮아질테고 생산, 수출입이 보다 더 활발해져 경기가 좋아 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지금보다 주식시장은 활성화될 것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9
0
0
신용대출 금리는 약정 1년사이에도 변동금리면 계속 오르는지 ᆢ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은행마다 어떤식으로 알려주는지는 다르지만 보통 문자,이메일로 몇일부로 % 인상,인하를 통보해줍니다.보통은 변동이여도 많이 변하지않았는데 지금같은 시기에는 월마다 더 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대출
22.12.19
0
0
내년 한국 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 금리인상과 더불어 무역수지적자 등 계속적인 악재로 작용하는 것들이 약간은 더뎌졌으나 그 여파가 내년엔 국민에게 피부로 느껴질 해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아직도 고물가이고 미국 인상폭과 속도는 줄겠지만 연준의장의 매파적인 성향으로 봐서 5%~5.5%정도까지는 올릴 것보여 한국도 3.5~4% 정도까지는 더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9
0
0
12월 fomc결과와 향후 한국의 금리변동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확실한 건 없지만 이번 12월 수입물가 지수가 감소한 것으로 봐서 겨울이 지나면 향후 생산자, 소비자 물가 지수가 낮아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는 점과 현재 한국 물가 5% 라는 점, 미국 물가수치가 감소한 것 을 고려했을 때 개인적인 견해는 이번엔 많이 올려도 0.25%정도로 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5
0
0
채권에 수익률 변화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매수당시 채권이 변동금리가 적용되었다면 변화 가능성이 있습니다만채권은 그 회사의 상황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꼭 금리만으로는 책정하기 어렵습니다.금리가 오른다해도 회사의 매출이 높고 수익이 높다면 굳이 수익률의 변화를 주지 않아도 되니까요.
경제 /
대출
22.12.15
0
0
전기배터리 시장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전기차 시장이 거시적으로나 너무 올랐기에 현재 조정기간으로 보시면되고 아직은 시기상조여도 분명한건 점차 시장이 확대되고 머지않아 점유율이 화석연료와 비슷한 수준으로 도달하고 이내 역전해 나갈것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4
0
0
강달러/약달러의 경제적의미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강달러라하면 반대로 원화가치가 약하다는 뜻입니다.한국은 아시다시피 미국 수출입 의존도가 굉장히 높은편입니다.경제적으로 상품, 수량 같다고 가정하면 이전보다 수출액이 줄어든다는 얘기이고 반대로 수입액은 증가하여 무역수지 적자를 초래를 발생시켜 경제가 약화됩니다.그리고 수입물가가 증가되면 생산자물가 , 소비자물가가 높아지게 되니 결과적으로 기업뿐만아니라 소비자들도 타격을 입습니다.그렇기때문에 미국금리인상시에 한국도 적당선에서 따라 갈 수 밖에 없고 저희가 미국 경제상황을 중요시 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4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