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주 소정 근로시간 요청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나륜 노무사입니다.주의 소정근로시간을 구하려면 1일 4시간 근무에 주 몇일 근로하는 지를 알아야 합니다.주5일 근로한다고 가정 시 근로시간은 주 20시간이며 주휴시간은 4시간입니다.24시간×4.345주=월 104.28시간
고용·노동 /
임금·급여
22.12.05
0
0
1분지각시 10분 지각 처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나륜 노무사입니다.1분 지각했으면 1분만 지각처리하여 해당시간만큼 임금 공제를 해야지, 1분 지각한 것을 10분 지각한 것으로 처리하여 10분치 임금을 공제하면 부당한 임금공제일 것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2.12.05
0
0
아르바이트 1일 한 뒤 무단결근 돈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나륜 노무사입니다.사실 회사에서 요구하는 서류가 작성의무가 있는 서류들은 아닙니다. 설령 서류 작성을 하더라도 인터넷 메일(스캔), 사진촬영 등으로 다 전송 가능할 것이므로, 굳이 직장에 가지 않더라도 임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2.12.05
0
0
연차를 마음대로 쓰는게 휴가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나륜 노무사입니다.연차유급휴가는 근로자의 자유사용이 원칙입니다. 사용자는 근로자의 연차유급휴가 사용에 대하여 사업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 한해 시기변경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2.12.05
0
0
알바를 그만두고 월급은 14일 이내에 받아야되나요?
안녕하세요. 나륜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36조(금품 청산)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월급 정기지급일은 재직중이 직원에게 적용이 됩니다. 퇴사 직원에게는 퇴직일부터 14일 이내 규정이 적용 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2.12.05
0
0
회사에서 급여 인상분 지급하지 않을 때
안녕하세요. 나륜 노무사입니다.급여 인상분이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에 근거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지급의무가 있음에도 지급을 하지 않고 있다면 사업장 관할 고용노동청에 진정제기가 가능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2.12.04
0
0
투 잡 할 때 최대 몇시간까지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나륜 노무사입니다.주15시간 이하면 고용보험 등에서 가입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만,보험관련 아니라 투잡의 허용요건으로서 주 몇시간 근무 기준은 현재 없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2.12.04
0
0
강제저축금지라는게 있다는데 어떤 건가요?
안녕하세요. 나륜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22조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22조(강제 저금의 금지) ① 사용자는 근로계약에 덧붙여 강제 저축 또는 저축금의 관리를 규정하는 계약을 체결하지 못한다.② 사용자가 근로자의 위탁으로 저축을 관리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지켜야 한다.1. 저축의 종류ㆍ기간 및 금융기관을 근로자가 결정하고, 근로자 본인의 이름으로 저축할 것2. 근로자가 저축증서 등 관련 자료의 열람 또는 반환을 요구할 때에는 즉시 이에 따를 것동법 제110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22조제1항......
고용·노동 /
기타 노무상담
22.12.04
0
0
회사 노무팀은 어떠한 일을하나요?
안녕하세요. 나륜 노무사입니다.노무팀은 대노동조합업무, 노사협의회 업무를 수행할 가능성이 많습니다.회사 노무팀 직원은 노동위원회 사건(부당노동행위구제신청, 공정대표의무위반사건 등)도 담당할 수 있습니다.노조가 없어도 노무팀은 있을 수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노조가 있는 회사의 노무팀 업무가 좀 더 본질적인 노무팀 업무를 수행할 것입니다.
고용·노동 /
구조조정
22.12.04
0
0
초과 근무에 따른 수당 미지급 경우 어떤 처벌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나륜 노무사입니다.1.근로기준법 제109조(벌칙) ① 제36조, 제43조, 제44조, 제44조의2, 제46조, 제51조의3, 제52조제2항제2호, 제56조, 제65조, 제72조 또는 제76조의3제6항을 위반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근로시간을 입증하는 근무일지, 업무메일, 출퇴근지문인식기록, 본인 출퇴근용 차량의 회사 주차출입기록 등3.정당한 업무지시 불이행->징계 가능, 부당한 업무지시 불이행->징계 불가능4.관련한 형사처벌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사용자가 민사상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2.12.04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