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격증
ai가 지속적으로 발달하게 되면 더 많은 곳에 ai가 사용되면서 더 많은 수요가 생겨서 전기의 공급이 수요를 못따라 갈까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네 맞아요. AI의 폭발적인 전기사용으로 전력의 부족현상이 대두되어 요즘 전력인프라 구축에 각 국들이 현안을두고 노력하는데요. 그래서 원전이 최근 부각되었죠.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10
5.0
1명 평가
0
0
AI 데이터 센터에 냉각 장치에 관련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요즘은 액체 냉각 방식 도입이 많아지는데요. 기존의 공랭식방식으로는 고성능 AI 칩의 발열을 감당하기가 어려운게 현실인데요. 그래서 열 전달 효율이 훨씬 높은 수랭식이나 액침 냉각 즉 서버를 비전도성 액체에 직접 담가 열을 식히는 방식기술이 주목받고 있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10
0
0
배전반 차단기와 배선 관련문의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하나의 차단기에 병렬로 이중결선된거 같은데요.어떤용도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서 용량이 어느정도인지 여부를 확인하셔야 하는데요. 근데 보통은 1부하로만 쓰는게 좋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10
5.0
2명 평가
0
0
ai가 사람과 동일하게 생각하고 판단한다고하는데 사람이 가지고 있는 행동이나 그런것들을 따라하지 못하는 것은 뭐가 있을까요?? 생각의 차이가 있을수 있지만 의견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AI는 결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최적의 답안을 찾는데 최적화되어 있는데요. 사람은 이성과 본능 그리고 감정을 갖고있기에 생각치도 못한 대답과 생각 즉 창의력을 갖기 때문에 다른거죠.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9
0
0
블루투스 마우스가 사용을 하지 않으면 자체적으로 꺼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네 맞아요. 대부분의 블루투스 마우스는 전력 절약을 위해 사용하지 않으면 자체적으로 멈추는데 이걸 절전 모드 혹은 대기 모드라고 하죠. 목적은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9
0
0
밤에는 전자파가 직접적으로 오지 않앗서 선크림을 바르지 않아도 되지 않나요? 아니면 그래도 발라야하나요?? 과학적으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밤에는 선크림을 바르지 않아도 됩니다. 선크림은 피부 노화와 손상의 주원인인 자외선(UV)을 차단하는것이지 전자파와는 거의 무관하다고 봐야죠. 어두 컴컴한 즉 해가 완전히 진 밤에는 자외선이 거의 없기에 선크림은 무의미합니다.감사합니다 .
학문 /
전기·전자
25.11.09
0
0
ai가 많은 것을 할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럼 하지 못하는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진정한 감정과 공감 능력이 아닐까 싶어요. AI는 인간의 감정을 분석하고 그에 맞춰 반응을 모방할 수는 있다고 합니다만 실제로 기쁨, 슬픔, 공포와 같은 감정을 느끼거나 진정한 공감 능력을 가질 수는 없죠. 이는 그래서도 안될 인간의 고유영역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9
0
0
삼성 엑시노스 칩이 퀄컴칩에 밀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삼성 엑시노스 칩이 퀄컴 칩에 밀리는 주된 이유는 결국 성능과 효율성 문제이죠. 실제로 행해진 벤치마크 테스트 결과, 퀄컴의 스냅드래곤 칩이 CPU, GPU 등 여러 부문에서 엑시노스 칩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고 하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9
0
0
적외선은 구름에 흡수되거나 산란이 크게 발새오디나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적외선은 구름에 흡수되기도 하지만, 산란은 가시광선에 비해 적외선에서는 적게 일어나죠. 구름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적외선을 흡수하여 열로 변환하게 되는데요. 결국 이런 흡수 효과 때문에 적외선이 구름을 뚫고 통과하는 데 방해가 되는거죠.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8
5.0
1명 평가
0
0
꽃병에 물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 있는 물체의 크기가 더 커보이고 작게 보이는건 결국 빛에 굴절에 의한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꽃병에 물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이 다르게 보이는 것은 빛의 굴절이 이유이죠. 공기 중에 있던 물체에서 나온 빛이 물을 통과하게되면 빛의 경로가 꺾이는데요. 이 빛이 다시 물 밖으로 나오면서 또 꺾이는 현상으로 물체의 크기나 형태가 달라 보이게되는거죠.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11.08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