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워런버핏은 우리나라 기업에 투자를 한 적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워런 버핏은 한국 기업에 직접적인 지분 투자를 한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다만 과거에 포스코 주식을 대규모로 매입한 적이 있었고, 당시 철강 수요가 급증하던 시기라 꽤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후 매각하면서 큰 수익을 남겼죠. 그 외에는 삼성전자나 현대차 같은 대기업에 대한 관심은 언급된 적 있지만 실제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한국 시장 규모가 작고 환율 리스크나 지배구조 문제 같은 요인도 버핏이 조심스럽게 접근한 이유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3
0
0
미-중 무역 전쟁은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미중 무역전쟁이 길어지면 한국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가 직접적인 타격을 받게 됩니다. 두 나라가 서로 관세를 올리면 교역량이 줄고, 글로벌 공급망이 꼬이면서 반도체나 전자부품 같은 중간재 수출이 위축됩니다. 환율도 불안해져 원화 약세가 심해질 수 있고, 투자심리 위축으로 주식시장도 흔들립니다. 트럼프는 자국 제조업을 되살리고 무역적자를 줄이려는 명분으로 관세를 무기처럼 쓰지만, 실제로는 세계 공급망 전체를 압박하면서 미국 중심의 경제 질서를 만들려는 계산이 깔려 있습니다.
경제 /
무역
25.10.13
0
0
금값이 오르면 세계 경제가 그리 좋지 못한 신호인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금값이 오를 때는 대체로 시장이 불안하거나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시점인 경우가 많습니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라 주식이나 채권보다 위험이 낮다고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전쟁, 인플레이션, 달러 약세, 금리 인하 기대 같은 요인이 겹치면 투자자들이 금으로 몰리면서 가격이 오릅니다. 반대로 경기가 좋아지고 위험자산 선호가 커지면 금값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금값 상승은 경제가 불안하다는 신호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10.13
0
0
예금자 보호가 1억으로 올랐는데..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예금자 보호 1억 원 상향은 원화 예금과 저축성 상품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즉, 증권계좌에 있는 미국 주식이나 etf, 국채 같은 투자상품은 예금보험공사 보호 대상이 아닙니다. 증권사가 망해도 고객 명의로 예탁된 자산은 별도로 분리돼 있어서 원칙적으로는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다만 예치금(미체결 현금)이나 환전 중인 달러 예수금은 보호한도 1억 원 내에서만 적용됩니다. 뱅크런 같은 극단적 상황이 오면 일시적인 인출 지연은 있을 수 있지만, 실물자산과 예탁증권은 예탁결제원 시스템을 통해 대부분 복구됩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10.13
5.0
1명 평가
0
0
디파이 안전하게 수익 내는법, 디파이 추천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디파이에서 안정적으로 수익을 노리려면 변동성 큰 코인 대신 스테이블코인 기반 상품을 이용하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 usdc, usdt, dai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해 이자를 받는 렌딩 플랫폼(아베, 컴파운드 등)은 비교적 리스크가 적습니다. 또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STeth, SFRXeth 등)을 활용한 예치나, 중앙화 거래소의 디파이형 예금 상품도 안전한 편입니다. 단, 스마트컨트랙트 해킹 리스크는 항상 존재하니, 공식 인증된 대형 플랫폼 위주로 분산 예치를 하는 게 좋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3
5.0
1명 평가
0
0
보조금을 지급해도 지방으로 이전을 하지 않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기업들이 보조금이 있어도 지방 이전을 꺼리는 이유는 결국 인력, 인프라, 네트워크 때문입니다. 수도권은 인재풀과 협력업체, 투자자 접근성이 압도적으로 좋고 교통물류 인프라도 이미 완비돼 있어 효율성이 높습니다. 반면 지방은 인력 확보가 어렵고 생활 인프라도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해 이전에 따른 기회비용이 큽니다. it기업처럼 원격근무가 가능한 산업이라도 핵심 개발자나 협력사와의 물리적 거리, 생태계 연결성 때문에 수도권을 쉽게 떠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10.13
0
0
금 가격 성장에 대한 생각 공유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금은 안전자산 성격이 강해서 경기 불안이나 달러 약세가 나타날 때 가격이 오르지만, 단기적으로는 금리와 환율 움직임에 따라 꽤 출렁일 수 있습니다. 최근엔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상승세를 보였지만, 금리가 다시 높아지면 금값은 주춤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3개월 정도의 짧은 기간이라면 무조건 오른다고 보긴 어렵고, 장기 분산 투자 관점에서 일부 비중을 두는 게 더 안정적입니다. 금 etf나 krx 금현물 계좌도 접근하기에 괜찮은 방법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3
0
0
펀드 기준일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펀드는 etf와 달리 실시간 거래가 불가능하고 하루에 한 번, 기준가가 정해지는 구조입니다. 보통 오후 3시 기준으로 펀드 자산이 평가되고 그날 장 마감 후 계산된 기준가가 다음 영업일 아침에 공시됩니다. 그래서 오늘 가입하거나 환매해도 실제로 적용되는 가격은 다음 영업일 기준가인 경우가 많습니다.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는 시차 때문에 1~2일 더 늦게 반영되기도 합니다. 즉 실시간 매매가 아닌 하루 단위 정산 방식이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3
0
0
저예산으로 투자하기 좋은 주식 품목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예산이 많지 않다면 처음엔 대형 우량주나 etf로 시작하는 게 좋습니다. 개별 종목보다 시장 전체를 따라가는 etf는 변동이 덜하고 공부하기에도 좋아요. 예를 들어 삼성전자, 현대차 같은 꾸준한 실적 기업이나, 코스피200·나스닥100을 추종하는 etf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입니다. 배당 etf나 반도체친환경 에너지 etf도 소액으로 분할 매수하기 좋습니다. 중요한 건 종목보다 투자 습관이니, 꾸준히 기록하면서 시장 흐름을 익히는 게 훨씬 큰 자산이 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3
0
0
미국 상장 기업 중 자사주매입을 하는 기업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기업의 자사주 매입 정보는 sec에 제출되는 공시자료, 특히 10-q(분기보고서)나 10-k(연간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기업이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하면 보통 뉴스룸이나 투자자 관계(ir) 페이지, 블룸버그야후파이낸스 같은 금융 포털에도 바로 반영됩니다. 여러 기업을 한눈에 보고 싶다면 나스닥이나 마켓워치, 인사이더몬키 같은 사이트에서 ‘SHARE REPURCHASE’ 필터를 걸어 최근 매입 기업 목록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직접 일일이 찾지 않아도 이런 플랫폼을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13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