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코끼리의 코는 왜 특이하게 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그렇다면 코끼리의 코가 유난히 긴 이유는 무엇일까. 최근 코끼리에게는 놀랄만한 후각 능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코끼리의 코가 긴 이유에 대해 ‘냄새를 잘 맡기 위함이 아닐까’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프린터기가 여러 색깔을 만들어내는 방법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컬러 프린터의 장점사진만 출력할 목적을 컬러 프린터를 구입하는 것은 잘못된 선택일 수도 있다. 사진을 제대로 출력하려면 소모품 비용이 만만치 않게 들기 때문이다. 또한 잉크젯으로 출력한 이미지는 일반 사진에 비해 내구성이 떨어진다. 오랜 기간이 지나는 동안 잉크의 색상이 바래거나 물이나 습기 등에 의해 색상 값이 변할 수 있다. 오히려 제대로 필름을 이용한 사진과 비슷한 품질을 얻기를 원한다면 인터넷 출력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 사이트의 인쇄물은 실제 사진과 거의 동일한 품질을 보이며 진짜 사진처럼 내구성도 좋으며, 잉크젯 프린터와 비교할 때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하지만 한 가지 확인할 것은 사진 출력과정이다. 필름 사진은 4x6처럼 미리 정해진 비율로 제작된다. 인터넷 출력 사이트도 이같은 사진 비율을 그대로 적용한다. 하지만 디지털 카메라의 해상도는 이같은 비율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아 사진의 상하, 좌우의 일부분을 잘라내야 하기 때문에 비율을 제대로 맞추지 않으면 원치 않는 부분이 잘릴 수 있다. 하지만 집에서 프린터를 통해 찍은 이미지는 이같은 원치않는 삭제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싫은 사진을 출력하기는 어렵다는 것도 인터넷 출력의 단점 중 하나다. 결정적인 문제는 사진의 색감의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물론 잉크젯 프린터에서도 이러한 색상차를 극복하기는 어려운 문제이지만 노력여하에 따라 어느 정도 격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출력 사이트를 이용하면 최소 하루나 이틀정도의 기간을 기다려야 하며 많은 사진을 인화하지 않는다면 비용이 오히려 더 많이 들수 있다.한마디로 제대로 된 잉크젯 프린터를 갖췄다면 노력 여하에 따라 인터넷 사진 출력 사이트 보다 효과적일수도 있는 셈이다. 물론 프린터를 제대로 갖추어여만 충분히 사진 같은 품질의 출력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사진출력을 위한 프린터의 선택기준은 가장 자연스러운 색상 표현력을 갖춘 제품을 고르는 것이다. 대부분의 프린터 전문 매장에 가면 출력물을 비치해 놓았다. 하지만 이러한 출력물의 품질에 현혹되는 것은 좋지 않다. 가장 원본과 비슷한 색상을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를 고를 수 있도록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는 장소를 찾거나 주변의 사용자의 프린터를 사용해보는 것도 좋다. 또한 소모품의 가격도 파악해 보아야 한다. 아무리 좋은 프린터를 구입해도 결국 소모품의 비용이 비싸다면 제 기능을 하기 어렵다. 제대로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좋은 소모품을 저렴하게 살수 있는지도 중요한 요소이다.
학문 /
화학공학
22.12.08
0
0
부탄가스 통에는 무엇이 들어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캔이나 가스통에 담긴 부탄가스를 연료로 사용합니다. 화력이 강하고,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연료입니다. 일반 부탄가스는 영하의 온도에서는 점화가 안될 수 있습니다. 겨울철 야외 활동시에는 영하에서도 점화가 가능한 이소부탄가스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2.12.08
0
0
질량보존의 법칙을 무시하면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닫힌 계의 질량은 상태 변화에 관계없이 변하지 않고 같은 값을 유지한다는 법칙이다. 물질은 갑자기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고 그 형태만 변하여 존재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1] 매우 단순하고 당연한 말 같지만 수많은 과학 이론들의 받침이 되는 아주 근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는 법칙이다. 닫힌 계에서의 화학 반응에서는 (반응물의 총 질량) = (생성물의 총 질량) 이란 수식을 만족하는데, 변화가 일어나기 전 물질의 총 질량과 변화가 일어난 후 원자의 배열은 바뀌지만 물질의 총 질량은 서로 같다. 즉 물체가 고체, 액체, 기체 중 어떤 상태가 되어도 본래 그 물체가 가지고 있던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 화학에서는 정량분석(定量分析)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법칙이다. 중3 과학 시간에 중요하게 다뤄지는 법칙.[2]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등장 후 에너지 보존의 법칙과 통합되어 명칭이 '질량-에너지 합의 보존 법칙'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질량과 에너지의 상호전환은 '일상적인 스케일'의 변화에선 완전히 의미가 없을 정도로 적은 양이기 때문에[3] 일반적인 화학반응에는 평범한 질량보존의 법칙이 성립하며 상대론을 고려할 경우에도 에너지 보존 법칙은 성립한다. 즉, 일반적인 화학 반응에서 물질의 에너지가 증가해도 그 질량변화 정도는 굉장히 작아서 관측할 수 없는 정도다. 빅뱅 우주론 같은 우주의 기원을 설명할 때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법칙이기도 하다.
학문 /
물리
22.12.08
0
0
전압에 관련하여 궁금한게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해외여행을 갈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것 중 하나가 그 나라의 정격전압이다. 미국·일본·대만 등은 정격전압 100∼120V 전기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한국·유럽·중국 등은 정격 전압 200∼250V 전기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이 같은 국가별 정격 전압의 차이는 전기 사용의 역사와 관련이 깊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美·日·대만 110V와 韓·中·유럽 220V20일 한전과 전력업계 등에 따르면 110V의 전압의 사용은 미국에서 시작됐다. 토마스 에디슨이 1879년 탄소 필라멘트를 이용한 백열등 전구를 발명했지만 220V 전압을 버틸 수 없었다. 에디슨의 라이벌이었던 니콜라 테슬라가 220V의 안전성을 입증했음에도 백열등을 이용하지 못하자 미국에서는 정격전압 110V 전기가 표준이 됐다. 하지만 1899년 독일의 베를린전기회사(BEW)는 새로 개발된 금속 필라멘트 전구가 높은 전압에도 잘 견딘다는 점을 이용하여 220V 전기 시스템을 도입했다. 세계 각국은 미국이나 독일 중 한 나라에서 전기 시스템을 도입할 수밖에 없었고, 그에 따라 나라마다 정격전압이 제각각이 됐다. 1906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설립 이후, 전기 규격을 통일하려는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제1차,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인해 해당 시도는 무산됐다. 일부 유럽국가들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110V 전력을 채택한 적이 있지만 1950∼60년대에 220V 전기로 승압사업을 하여, 마침내 유럽은 전기 시스템이 통일됐다 반면 미국·일본·대만 등은 막대한 비용 때문에 승압사업을 추진하지 못했다. 전기 선로를 교체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가정의 전기·전자제품까지 모두 바꿔야 했기 때문이다.
학문 /
전기·전자
22.12.08
0
0
블랙홀의 생성 과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중력의 당기는 힘이 너무 강해서 빛을 포함한 모든 전자기파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우주 공간이다. 물질은 만유인력에 의해 모든 다른 물질을 잡아당기는 힘을 낸다. 모든 물질은 중력을 갖고 있다. 우주 공간에서 물질이 어떠한 이유로든 작은 공간에 압축되면 강한 중력이 발생해 주변의 물질을 당기게 되고, 점점 커진다. 이렇게 물질이 많이 압축돼 중력이 빛을 빨아들일 정도가 되면 블랙홀이 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이온음료는 어떤 성 음료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땀으로 빠져나간 필수 전해질을 보충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스포츠 음료다. 격렬한 운동을 하는 스포츠 선수나 높은 온도에서 일을 하는 노동자의 경우 일시적으로 몸에서 염분과 수분이 다량으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가 바로 스포츠 음료를 섭취하기에 적절한 때다. 일상적인 스포츠 활동으로는 전해질 균형이 깨지는 일은 거의 없기 때문에 굳이 이온음료를 찾을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이들 제품에 포함된 당으로 인해 열량섭취가 많아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학문 /
화학
22.12.08
0
0
막걸리 마시는데 탄산을 준이는 방법이 뭐가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막걸리는 삼국유사 등 문헌에도 기록이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꽤 오래 전부터 서민들이 마셔온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려시대 송나라 사신의 기록에 “맛이 텁텁하고 색이 진한 서민용 술”에 대한 언급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는 막걸리가 대중화 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이후 막걸리는 농민들이 주로 마셨다고 해서 농주(農酒)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유신시절을 비롯한 군사정권시기 막걸리에 대한 인식은 그다지 좋지 못했다. 막걸리를 좋아하는 ‘서민 대통령’, ‘농민의 아들’ 이미지를 부각시키고자 했던 박정희는 역설적으로 막걸리를 푸대접한 대통령이기도 하다. 쌀로써 술을 빚는 것을 금지한 탓에 밀가루에 화공약품을 섞어 만든 막걸리가 유통돼 애주가들이 막걸리를 등지게 만든 것이다.민주화 이후 쌀을 주요 원료로 한 전통막걸리가 보급되면서 막걸리 애호가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또한 한류 열풍과 건강에 좋은 술이라는 이미지로 일본을 비롯한 해외 각 국에 막걸리 열풍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러나 2011년을 정점으로 막걸리 수출량이 폭락하게 되는데, 90%이상 일본으로 수출되던 것이 ‘혐한’ 등 한일관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수출용 막걸리는 멸균처리한 상태에서 탄산을 주입한 것으로 전통적 방식의 막걸리와는 거리가 멀다. 멸균된 막걸리의 경우 유통기한이 상당히 늘어나기 때문에 수출에 유리하지만 전통방식의 생막걸리는 유통기한 문제로 수출에 한계가 있다.
학문 /
화학
22.12.08
0
0
역사적으로 왜 좌측 통행이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왜 우측통행으로 바꾸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세상 많은 사람들과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규칙'이 꼭 필요합니다. 그래서 사회에서 정한 규칙에 따라 맞춰나가는 것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가장 기본적인 규칙 중 하나인데요, 우측통행과 좌측통행이 생겨난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으나 고고학자들이 고대 로마시대의 채석장 유적지 주변의 도로를 연구한 기록에 따르면 오른편보다 왼편의 도로가 더 깊게 파여있는 것을 확인하고는 먼 옛날부터 통행 규칙이 존재했고 기본적으로 좌측통행으로 통행을 했을 것이라고 추측이 가능합니다. 최초의 좌측통행 국가는 영국인데요, 마차의 경우 오른손에 채찍을 들어 오른쪽에 있는 보행자가 위험할 수 있고 기사들이 오른손에 창을 들고 있어 공격을 위해 왼쪽으로 통행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이렇게 좌측통행 규칙은 영국의 식민지 또는 전쟁이나 무역 등으로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는 국가에서 번져 각 나라의 규칙으로 굳어지게 된 것입니다. 또, 우측통행의 기원은 나폴레옹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지는데요, 한때 유럽 땅을 제패했던 나폴레옹은 영국의 좌측통행 규칙을 역이용하여 우측통행을 기본으로 하여 우측 대신 좌측으로 공격을 하는 기마법을 고안해냈다고 합니다. 이렇게 전 세계의 도로규칙은 프랑스의 우측통행과 영국의 좌측통행이라는 두 갈래의 통행방법으로 나뉘게 된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8
0
0
대한민국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우루과이까지 터널을 뚫은 다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각 밑에 멘틀이 있고 중앙에 핵이 있기때문에 관통해서 뜷을 수가 없습니다. 고로 어렵다는 말씀.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