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마시는데 탄산을 준이는 방법이 뭐가 좋은가요?
통통 $ 두드리는게 효과가 있는건지 누르는게 호가가 의쓴건지. 알러즈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기가. 걸려 있습니다. 도와주세요. 그리고뭐는 분목이네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막걸리 입구 주변을꾹 눌러 주세요. 한 10초간..
그리고 난 뒤 뚜껑을 열어 주시면 사방에 막걸리가 튀는 일은 없습니다.
이는 병에 압력을 가해 기체가 녹는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통통 두드리거나 굴리게 되면 내부에 불안정하게 존재하는 탄산이 압력을 받게되 안정적이게 돼 탄산이 터져 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막걸리는 삼국유사 등 문헌에도 기록이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꽤 오래 전부터 서민들이 마셔온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려시대 송나라 사신의 기록에 “맛이 텁텁하고 색이 진한 서민용 술”에 대한 언급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는 막걸리가 대중화 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후 막걸리는 농민들이 주로 마셨다고 해서 농주(農酒)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유신시절을 비롯한 군사정권시기 막걸리에 대한 인식은 그다지 좋지 못했다. 막걸리를 좋아하는 ‘서민 대통령’, ‘농민의 아들’ 이미지를 부각시키고자 했던 박정희는 역설적으로 막걸리를 푸대접한 대통령이기도 하다. 쌀로써 술을 빚는 것을 금지한 탓에 밀가루에 화공약품을 섞어 만든 막걸리가 유통돼 애주가들이 막걸리를 등지게 만든 것이다.
민주화 이후 쌀을 주요 원료로 한 전통막걸리가 보급되면서 막걸리 애호가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또한 한류 열풍과 건강에 좋은 술이라는 이미지로 일본을 비롯한 해외 각 국에 막걸리 열풍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러나 2011년을 정점으로 막걸리 수출량이 폭락하게 되는데, 90%이상 일본으로 수출되던 것이 ‘혐한’ 등 한일관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출용 막걸리는 멸균처리한 상태에서 탄산을 주입한 것으로 전통적 방식의 막걸리와는 거리가 멀다. 멸균된 막걸리의 경우 유통기한이 상당히 늘어나기 때문에 수출에 유리하지만 전통방식의 생막걸리는 유통기한 문제로 수출에 한계가 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을 줄이는 방법을 물어보시는건지요? 빠르게 줄이는 방법은 흔들어서 탄산을 빼주는 방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