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어린이들은 왜 채소를 싫어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애들 입맛이라고 표현을 많이 합니다. 아이들의 입맛에는 채소의 향과 맛 그리고 느낌이 아니라는 것이죠. 그래서 게임을 하듯 채소를 먹이곤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8.05
0
0
콩나물은 빚이 없는 곳에서 어떻게 그렇게 잘 자라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어둠 속에서 콩나물을 기르는 것은새싹의 성장을 조절하고 맛과 식감, 영양분 함량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새싹 재배에 있어서는 중요한 단계입니다!콩나물을 어두운 환경에서 기르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우선 새싹이빛에 노출되면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빛에 노출되면 새싹이 길어지고 가늘어져서 맛, 식감, 영양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데이로인해 어둠 속에서 새싹을 기르는거죠! 콩나물을 짧고 건강한 형태로 유지시키고더 높은 품질의 콩나물이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8.05
0
0
불을 끄고 난 후 처음엔 안 보이는데 시간이 지나면 다시 보이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암순응- 우리가 어두운 환경에 들어가면 처음에는 빛이 부족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 눈은 빛에 더 민감해짐으로써 어두운 조명 조건에 적응하기 시작합니다. 이를 통해 어둠 속에서 점차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8.05
0
0
고산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산소가 부족하다고 느끼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은 환경에 잘 적응하는 생물인지라 그곳에 오래머물면 몸이 자연스럽게 적응을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에베레스트산 원정을 가는 셰르파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평범한사람이 갑자기 고도가 높은곳으로 가게되면 호흡곤란이 올수도있고 머리가 띵하거나 귀가 멍멍해지는 느낌이 오기도합니다 심하면 고산병이 생기는경우가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05
0
0
골격근의 근육세포가 다세포인 이유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근육세포라고도 한다. 근조직을 구성하는 경우 각각의 근세포는 일반적으로 방추상(紡錘狀) 또는 섬유상을 띤다. 해면동물은 근조직이 없으나, 규각해면류(珪角海綿類)에서는 체표의 편평상피세포가 얼마간 수축성을 가지며, 체표 특히 유출공(流出孔) 주변에 미오사이트(myocyte)라고 하는 긴 방추형의 수축성 세포가 존재한다. 또 석회해면류의 소공세포(小孔細胞)에도 수축성이 인정된다. 이들은 어떤 종류의 원생동물 몸 전체에 나타나는 수축성과 더불어 근세포가 나타나는 시작 형태로 간주된다.강장동물의 폴립형에서는 외배엽 세포층 속에 있는 상피근세포에 진정한 근원섬유가 있다. 이것은 가장 흔히 있는 원주상피세포, 즉 지지세포(支持細胞)의 기저부(基底部)가 방추형으로 늘어나서 그 부분에 한해서 근원섬유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표의 상피세포에서 근세포로 분화하는 도중의 것이다. 해파리형에서는 방추형 근세포가 완성된다. 편형동물 이상에서는 피근층(皮筋層)·기관근(器官筋) 등 분화가 현저한다.
학문 /
생물·생명
23.08.05
0
0
해수욕장의 모래가 부드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돌이나 바위가 침식작용을 툥해 조각에 나면, 그 조각이 바다의 밀물과 썰물, 파도에 의해 부서지고 고운 가루로 변하게 됩니다. 이것이 파도에 의해 해안선을 따라서 퇴적되면서 모래사장이 만들어 집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8.05
0
0
최근 장마로 인한 기사 중에 지구과학 용어 인 거 같은데 조위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풍랑이나 놀, 항만의 고유진동 등에 의한 단주기의 해면승강을 제외하고 일정한 기준면에서 해면을 측정했을 때의 높이를 말한다.풍랑이나 놀, 항만의 고유진동 등에 의한 단주기의 해면승강을 제외한 것을 말한다. 추산하는 경우의 기준면과 관측하는 경우의 기준면이 있는데, 이 둘의 관계는 지반변동이나 다년간의 해면승강 등으로 다소 변한다. 전자에 대해서 한국에서는 해도의 기준면과 합쳐서 기본수준면으로 하고, 후자는 검조소에서 얻은 최저 조면(潮面)에 가까운 값을 택하고 있다. 이 경우의 측정은 검조기를 이용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05
0
0
코의 콧구멍이 2개인 이유가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의 신체는 신비롭습니다. 특히 짝을 이루는 신체 부위는 경이롭습니다. 팔과 다리, 얼굴의 눈과 귀 등은 둘이 한 쌍입니다. 팔과 다리는 직접 움직이거나 도구를 활용하는데 사용하고, 얼굴에 있는 주위 부위는 감각기관입니다.다시 말하면, 얼굴에 있는 뇌와 가까운 감각기관은 뇌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얼굴이 아닌 몸통에 달린 기관은 뇌로부터 신호를 받는 기관이라는 말입니다.얼굴에 있는 감각기관 중 한 쌍으로 이뤄진 기관은 눈과 귀, 그리고 콧구멍입니다. 눈은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귀는 양 방향의 소리를 듣기 위한 것입니다. 즉, 방향과 거리감을 인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기관입니다.눈은 빛을 통해 밝고 어두운 정도, 사물의 위치가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 등을 판별합니다. 귀는 소리를 통해 사물과의 거리가 가까운지 여부와 함께 몸의 회전과 기울기를 느껴 균형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8.05
0
0
불이 안 붙는 부탄가스 원리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좁은 노즐을 통해서 부탼가스가 나오기 때문에 나오는 압력이 상당히 강합니다. 불이 붙지만 나오는 압력때문에 가스통 내부로 불이 번지지 못합니다.
학문 /
화학
23.08.05
0
0
은하계에는 태양보다 큰 별들도 엄청나게 많은데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큰 문제가 에너지 및 연료 문제 입니다. 태양광을 이용한 것도 태양 빛이 비치지 않으면 없어집니다. 연료와 에너지 문제만 해결 된다면 10광년 이상도 갈 수 있슬것 같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05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