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혈액형이 결정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혈액형은 항원에 따라서 나누어져요. 크게 RH형으로 나뉘는데요. D항원을 가지고 있으면 RH+,가지고 있지 않으면 RH-로 분류돼요.동양인의 5%가 RH+형을 가지고 있답니다. RH형에서 3가지로 나뉘는ABO형도 있는데요. 혈구에 A항원이 있으면 A형, B항원이 있으면 B형,전혀 없으면 O형으로 분류되며,둘 다 가지고 있다면 AB형으로 불려요. 이 두 형을 합쳐서 RH+A형, RH+B형 등으로 불린답니다. 『혈액형은어떻게 유전되나요?』혈액형 유전자는 아빠와 엄마에게서 1개씩 받아 2개를 가지게 돼요. 그중 A형, B형은 우성 O형은 열성이며, A와 B는 우열을 가릴 수 없어요. 예를 들어 A와 O를 하나씩 받으면 A형이 되고,A와 B를 하나씩 받으면 AB형이 된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31
0
0
남극 빙하가 녹으면 그 안의 바이러스는 다시 살아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2022년 10월 영국 가디안지의 보도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로 전 세계 빙하가 빠른 속도로 녹아내리면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고대 바이러스의 출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과학자들은 빙하 속에 갇혀 그동안 잠들었던 바이러스가 나오면서 새로운 팬데믹을 불러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그도 그럴 것이 올해 폭염과 이상 기후 등으로 알프스 빙하는60년만에 최대 폭으로 녹았고 다른 빙하도 빠른 속도로 사라졌다. 캐나다 오타와대학 스테판 아리스브로수 박사를 주축으로 한 연구팀은 빙하가 녹은 물이 유입되는 하젠호수에서 토양과 퇴적물 샘플을 수집해RNA와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바이러스·박테리아의 특징을 식별했다. 또 이들 바이러스가 유기체를 감염시킬 가능성을 평가했다.그 결과 빙하와 영구동토층에 잠들었던 이 바이러스와 박테리아가 깨어나 지역 야생동물을 감염시킬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번 연구는 빙하 유실로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바이러스 등장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한 최신 연구였다고 가디언은 강조했다.실제 이와 유사한 사례로 사망에 이른 일도 있었다.2016년 북부 시베리아에서 발생한 탄저병으로 어린이가 사망하고 최소 7명이 감염된 것이 바로 그 예다. 당시 폭염이 영구 동토층을 녹이면서 순록 사체가 드러났고 이같은 전염병이 발생했다.바이러스의 경우 최장10만년까지 빙하 속에서 버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사이 빙하가 녹게 되면 활동을 재개한다.2014년에는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3만년 된 바이러스가 발견되기도 했다. 과학자들사이에서는 수만년간 잠들어 잇던 바이러스나 박테이가가 다시 활동을 재개할 경우 , 현대과학에서 해결할 수 없는 전염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비관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인류는 코로나 바이러스등 새로운 질병으로부터 끊임없이 도전받고 있고, 신약등의 개발로 대처해 나가고 있다. 지구 온난화는 피할 수 없는 대세이고, 그로 인하여 생기는 새로운 도전에 대하여 인류는 지혜롭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는 것이 대다수 과학자들의 견해이다. 빙하속 바이러스에 대하여 너무 비관적으로 보아서 인류의 대재앙 이라고 보는 것은 지나친 걱정이라고 생각한다.
학문 /
생물·생명
23.07.31
0
0
통신에 적용 되는 과학 용어인 거 같은데, 다중입력다중송출(MIMO)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통신 속도 향상이나 통신거리 확장을 목적으로 여러 개의 공중선을 이용하여 동시에 신호를 송 · 수신하고 신호처리를 통해 신호 변별력을 높인 기술을 말한다(「무선설비의 적합성평가 처리방법」 제3조).휴대폰 · 태블릿PC 등 단말기 하나로 여러 통신 신호(call)를 주고받는 방식으로서, 주파수 폭과 전력에 좌우됐던 통신 용량을 다중 안테나(MIMO)방식으로 해결한다.서비스 범위와 용량을 늘리려고 전력을 키우거나 따로 주파수 이용면허를 얻을 필요가 없다.이동통신 기지국에 안테나 여러 개(Multi-Input)를 장착하되 단말기에는 하나(Single-Output)만 심거나, 이를 거꾸로 적용할 수도 있다.사업자 전략과 서비스 환경에 따라 여러 방식을 채택하되 한정적인 전파(주파수)자원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게 MIMO의 핵심 방식이다.
학문 /
전기·전자
23.07.31
0
0
모든 은하는 지구로부터 멀어지는데 안드로메다은하는 왜 지구로 돌진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안드로메다 은하가 우리은하로 돌진하는 속도는 시속 50만㎞로,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인 38만㎞를 1시간도 안 돼 주파할 수 있는 꽤 빠른 속도입니다. 전문가들은 대략 45억 년 후에 두 은하가 충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우리가 죽고 나서도 한참 후에나 벌어질 일이지만, 어쩌면 그래서 더 궁금합니다. 두 은하가 충돌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아마 두 은하가 폭발해 전멸하는 모습을 떠올리는 분이 많으실 겁니다. 두 은하의 충돌로 항성 간 충돌도 불가피해지고, 이때 발생하는 엄청난 열과 가스, 빛에 의해 살아남은 행성의 모든 생명체마저 돌이킬 수 없는 최후를 맞이하는 상황. 종국에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중심에 자리한 초거대 블랙홀이 남은 잔해들을 깔끔하게 설거지를 할 것 같은 비극적인 그림 말입니다. 하지만 워워~. 전문가들은 이런 비극적인 결말로 치달을 확률은 제로에 가깝다고 말합니다. 두 은하가 충돌하면 치명적인 충격 없이 둘이 밀가루 반죽처럼 합쳐진다는 게 학계의 중론입니다. 안드로메다 은하의 블랙홀이 우리은하를 잡아먹을 확률도 희박하며 두 은하의 별들이 충돌할 확률 역시 매우 낮습니다. 별과 별 사이는 매우 멀기 때문입니다. 한 예로 태양과 가장 가까운 별이 프록시마인데, 이 둘 사이 거리만도 4.22광년입니다. 태양이 약 2,800만 개나 들어갈 수 있는 공간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1
0
0
지구 온난화로 북극이 녹으면 일어날 현상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육지 절반 이상이 물에 잠기게 됩니다. 현재도 태평양 섬들의 경우 해수면이 점점 올라오고 있습니다. 해변이 사라지고, 집들이 잠기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1
0
0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수성은 얼음도 있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성은 태양과 가장 가까운 곳입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태양이 비치지 않는 극지방에는 기온이 낮아서 얼음이 발생 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1
0
0
바다가 짠 이유는 소금때문인데, 바다의 염분기는 어떻게 해서 생성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흘러내려오면서 토양이나 바위 기타 지역에서 염뷴을 함유해서 바디로 모이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7.31
0
0
그늘막으로 가로수에 어떤 나무 심으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타나스 나무와 같은 활엽수 나무가 좋을 것 같습니다. 잎이 넓어서 그늘도 잘 지고, 은행나무처럼 냄새도 안 나구요.
학문 /
토목공학
23.07.30
0
0
모든 인류가 채식만 한다면 지구환경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채식만 하는 경우, 돼지, 닭, 소 등을 키울 필요가 없다보니 메탄 가스 발생이 줄어들어서 온난화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무분별한 식물 채취로 더 안 좋은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30
0
0
지렛대의 원리를 정리해봤는데 이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레는 막대의 한 점을 물체에 받쳐 고정하고(받침점), 한쪽에는 물체를 올려놓고(작용점), 다른 한쪽에는 힘을 가해서(힘점) 적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수 있는 도구입니다. 가위, 병따개, 펀치, 핀셋, 젓가락 등이 모두 지레가 사용된 예야. 지레는 힘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가 작용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보다 길어야 가한 힘보다 더 큰 힘이 작용점에 작용하지요. 그리고 작용점에 작용하는 무게와 힘점의 힘이 균형을 이루면 지레는 수평을 이루게 돼요. 이때, '힘점에서 주는 힘×힘점에서 받침점까지의 거리'의 값이 '작용점에 있는 물체의 무게×작용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의 값과 같을 때 수평을 이루지. 이것을 '지레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학문 /
물리
23.07.30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