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화성은 어떤 물질로 구성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성은 태양계의 네 번째 행성이다. 산화철로 인한 붉은 빛이 감도는 사막 지형을 가지고 있다.[8]지구를 제외한 태양계 내 모든 행성 중 표면 탐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행성이며, 물의 존재가 확인되고 테라포밍의 가능성이 점쳐지는 등 인류 문명의 우주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여겨지는 천체이다.[9] 화성 표면에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과거부터 논의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화성에서 생명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애초에 표면온도도 평균수치가 지구의 남극 수준으로 낮은데다가 대기도 희박하고 태양풍을 막아주는 행성의 자기장도 약해서 고등 생명체가 살기에는 여전히 혹독한 환경이고, 생명체가 만약 존재한다고 쳐도 미생물정도일 것이다.2. 물리적 특성[편집]화성의 자전주기는 약 24시간 37분으로, 24시간인 지구와 비슷하며, 공전주기는 약 687일[10]로, 지구보다 약 1.88배 길다. 남극과 북극에는 극관이라는 거대한 드라이아이스 덩어리가 있으며, 이는 여름에는 작아지고 겨울에는 커진다.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천체 중 달과 금성, 그리고 목성 다음으로 밝다. 단, 충에 위치한 경우 목성보다 겉보기 등급이 미세하게 더 낮다. 표면에 산화철이 많아 붉게 빛나며, 지구에서 육안으로 보기에도 유독 주황빛을 띠어 다른 천체와 쉽게 구분된다. 베텔게우스와 같이 지구 대기 안에서 붉으면 그저 붉게 보이는 별이 있지 화성과 같이 아주 밝게 빛나는 주황색 별은 상당히 흔치 않기 때문이다. 대기권은 이산화 탄소와 소량의 질소와 아르곤, 그리고 극미량의 산소로 구성되어 있다. 의외로 화성 대기에서 산소의 비율은 지구 대기의 이산화 탄소 비율보다 높으나, 화성 지표의 기압이 0.0063기압 밖에 되지 않는 관계로 생명체가 호흡하기에는 부적합하다. 0.0063기압은 지구상에서 해발 80km[11] 정도의 고도에 해당되는 기압으로 거의 진공 상태나 다름없는 정도라 공기가 존재한다고는 거의 볼 수 없는 정도다. 공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평균 온도는 영하 63도로 낮고 너무 낮은 기압으로 인해 물이 끓는 온도가 섭씨 27도[12]밖에 되질 않아 물로 구성된 생명체가 살 수 없는 환경이다. 화성에 대기가 희박해진 이유는 태생적으로 작은 질량으로 인해 중력이 약해[13] 산소와 같이 분자량이 작은 기체를 많이 잡아둘 수 없음과 동시에 화성의 핵이 지질학적으로 식어버린 상태이기 때문에[14] 행성 자기장이 지구 자기장의 1/800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약한 자기장으로는 태양풍으로부터 행성을 보호할 수가 없어 태양풍으로 인해 화성의 대기가 거의 다 날아가 버려 화성에는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AI가 스스로 학습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많은 학습 데이터를 주기만 한다면, 딥러닝은 문제를 잘 풀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0개의 카테고리에 대해 130만 장의 분류된 이미지가 있는 ImageNet 태스크에 대해 딥러닝 알고리즘은 Top 5 기준 98% 이상의 정확도를 달성하며 사람의 판별 정확도를 뛰어넘었습니다.하지만 태스크에 맞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비쌉니다. 세상에는 이미지가 넘쳐나지만, 각각의 이미지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사람이 일일이 분류해 라벨을 만드는 것은 오래 걸리고 힘이 듭니다.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그리고 자기 지도 학습데이터와 라벨이 주어질 때 라벨을 이용해 태스크를 수행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이라고 부릅니다. 이미지 분류, 양불판정, 감성 분석 등 우리가 생각하는 ‘인공지능에 시킬 수 있는 일’ 대부분이 이러한 지도 학습 방식으로 학습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10
0
0
주파수와 안테나의 길이는 반비례 한다고 하는데, 어떤 원리에 의해서 반비례 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안테나의 길이는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에 따라 결정됩니다.안테나의 길이는 전파의 파장과 관련이 있으며,전파의 파장은 사용하는 주파수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따라서, 안테나의 길이는 사용하는 주파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안테나 길이는 전파의 파장의 1/2, 1/4 또는 5/8 등의 길이로 설정됩니다.이러한 길이는 안테나의 효율과 임피던스 매칭을 최적화하기 위해 결정됩니다. 무선 주파수가 낮을수록 파장이 길어지므로 안테나의 길이도 길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AM 라디오 방송은 대략 535 kHz에서 1605 kHz의 주파수 범위를 사용합니다.이 범위에서 전파의 파장은 대략 560m에서 190m로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안테나의 길이도 대략 140m에서 47.5m 범위 내에서 결정됩니다. 반면에, FM 라디오 방송은 대략 88 MHz에서 108 MHz의 주파수 범위를 사용합니다.이 범위에서 전파의 파장은 대략 3.4m에서 2.8m로 범위가 비교적 좁기 때문에,안테나의 길이도 대략 0.85m에서 0.7m 범위 내에서 결정됩니다. 즉, 안테나의 길이는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며,전파의 파장과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주파수가 높을수록 안테나의 길이는 짧아지고,주파수가 낮을수록 안테나의 길이는 길어집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0
0
0
선풍기와 에어컨을 함께 이용하면 더 빨리 시원해 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선풍기가 차가운 바람을 보내주는 송풍기 역할을 하며, 분산 시키는 역할 그리고 모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0
0
0
우주에서의 총알속도는 지구보다 빠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 총을 쏘면 공기저항 및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지구에서 보다 빠르게 날라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우리나라 철탑 분류에서 사각형태의 철탑을 주로 사용한다고 전해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철탑 종류는1. 사각 철탑- 4면이 동일한 모양과 강도를 가진 철탑-- 2회선용으로 주로사용2. 방형(직사각형) 철탑- 서로마주보는 2면이 동일한 모양과 강도가진철탑- 1회선 철탑사용3. 우두형 철탑-철탑중심부 좁게 윗부분 넓게 한 형태 철탑-초고압 송전선로, 산악지대 1회선용 철탑4. 문형(갠트리) 철탑-문 門 모양 한 철탑-전차선로나 도로, 하턴 횡단시 사용하는 철탑
학문 /
토목공학
23.07.10
0
0
기압에 따라 물의 끓는점이 달라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끓는점(-)은 액체 물질의 증기압이 외부 압력과 같아져끓기 시작하는 온도이다. 비등점 ( )% W)이라고도 한다.끓는다는 것은 운동에너지가 상대적으로 큰 분자들이 모 여서 외부압력을 이기고 기포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므 로, 다른 물분자들의 인력이 약한 액체 표면에서 탈출하 는 증발과 달리 지속적인 에너지를 열로 전달받을 수 있 는 곳이 통상 기포가 발생하는 곳이 된다. 보통은 1 기압 에서의 값을 말하며 그 물질의 고유한 상수(유빛)가 된다.예를 들어 물의 경우는 100°C이다.끓는점은 액체의 증기 압이 외부의 압력과 같아지는 온도이므로 외부의 압력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외부의 압력이 커질수록 끓는점은 높 아지고 외부압력이 낮아지면 끓는점도 낮아지는데 실제 에베레스트산 정상에서의 대기압은 250Torr정도이며 이 때 물의 끓는점은 80°C이다(1atm= 760mmHg).
학문 /
화학
23.07.10
0
0
해무리는 신기하던데 어떤 원리로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해무리는 하늘 높이 있는 얼음결정들에 의해 태양빛이 굴절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태양과의 분리각이 약 22도가 됩니다. 또는 그 크기는 이보다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 달무리도 이와 마찬가지 이유로 생깁니다. 해무리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대기중에 얼음결정이 있어야 하는데, 얼음 결정은 주로 높은 대기층에서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해무리 또는 달무리는 하늘에 엷은 권층운이 꼈을때 주로 나타납니다.권층운은 높은 고도에서 만들어지며, 빙정으로 되어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화학 용어 중에 알데하이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포르밀기(-CHO)를 가지고 있는 탄소 화합물을 알데히드(알데하이드)라고 한다. 탄소수가 적은 알데히드는 물과 잘 섞이며, 환원성을 갖는다. 여기서 환원성이란 환원시키는 성질로, 알데히드 자신은 산화되기 쉬운 성질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알데히드는 자신은 카르복시산으로 산화되기 쉽다.알데히드의 환원성은 은거울 반응이나 펠링 용액 반응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은거울 반응에서 알데히드는 은 이온 Ag+을 은으로 환원시키며, 펠링 용액 반응에서는 구리 이온 Cu2+을 환원시킨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0
0
0
동물의 눈도 천연색으로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예민한 후각과 청각을 가진 동물인 개는 예상외로 시력이 나쁜 동물이다. 개는 빨간색과 녹색을 구분 하지 못하는 적록색맹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시각 장애인을 도와주는 안내견도 신호등의 색깔을 구별 하여 시각장애인을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점등위치 를 훈련받아 움직이는 것이라고 한다. 눈이 내릴 때 개가 좋아서 뛰어다니는 것도 물체의 움직임에 민 감하여 신기하고 자극적인 풍경이 마음을 흥분시키 기 때문이다.고양이의 눈동자는 동그랗지 않고 세로로길쭉한데, 눈동자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미세한 빛으로도 사물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이런 원리 때문에 고양이는 캄캄한 밤에도 사물을 잘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밤에 길고양이들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또한 눈의 망막 뒤에 거 울 같은 반사막이 있어 어둠속에서도 빛난다고 한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0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