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비와 우박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 알갱이는 기온이 0℃보다 높으면 떨어지는 도중에 비가 되고 기온이 0℃ 이하일 때는 눈이 되어 내립니다.얼음 알갱이는 기온이 0℃보다 높을 때는 '비', 0℃ 이하일 때는 '눈', 눈에 비가 섞여 '진눈깨비', 눈에 물 알갱이가 붙어 언 흰 얼음 덩어리로 5mm 미만의 '싸라기', 적란운으로 만들어지는 흰 얼음 덩어리로 5mm 이상의 '우박'이 됩니다.우박은 전란운이나 뇌우에서 주로 발생하며 과냉각된 물방울과 얼음이 먼지와 같은 미세 입자에 붙으면서 만들어지는데 상승 또는 하강 기류를 따라 과냉각된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물방울이 첨가되고 빙결이 반복되면서 우박의 얼음층이 늘어나면서 커집니다. 우박은 상승 기류로도 못버틸경우 땅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우박은 지름이 약 0.6cm가 됩니다. 하지만 1939년 인도 하이데라바드 주에 떨어진 우박의 무게는 3.5kg에 달했으며 1986년 방글라데시에서는 1.2kg의 우박이 떨어진 것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발견된 가장 큰 우박의 크기는 2003년 네브래스카 주에서 발견된 우박으로 지름이 48cm에 달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1
0
0
콘덴서의역활알려주세요 회로예시도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콘덴서는 직류는 흐르지 못하게 하지만 교류는 통하게 하며 용량이 클수록, 그리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잘 통하게 된다. 용량 단위는 F(패럿)이지만 그 단위가 너무 커서 pF(피코), uF(마이크로)의 단위를 주로 쓴다. pF 단위의 콘덴서는 세라믹 콘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 마이카 콘덴서가 있고 음질은 마이카 콘덴서가 가장 좋다. nF(나노) 단위에서는 일반 필름 콘덴서가 주로 사용되며 재질에 따라 폴리에틸렌(스치롤 콘덴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텔(마일러 콘덴서)로 나누어진다.폴리에틸렌 콘덴서는 음질도 매우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 콘덴서의 장점은 1000pF에서 10uF까지로 용량 범위가 넓다는 것이며 음질이 좋아 오디오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uF 단위의 콘덴서는 전해 콘덴서와 탄탈 콘덴서가 있다. 다 유극성 콘덴서로 탄탈 콘덴서는 200uF/25V 정도까지의 제품밖에 없으나 전해 콘덴서보다는 성능이 우수하다.유극성 콘덴서 : +, - 극성이 있다. 전해 콘덴서와 탄탈 콘덴서가 있다.무극성 콘덴서 : 극성이 없다.
학문 /
전기·전자
23.07.01
0
0
전기에서 임피던스의 뜻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임피던스는 매질에서 파동의 진행이나 도선에서 전기적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임피던스는 음향학, 전파, 전기 회로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로서, 어떤 매질에서 파동의 전파(propagation)을 방해하거나, 어떤 도선 및 회로에서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임피던스는 매체의 고유한 특성이며,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가진 매질의 경계면에서 반사가 일어난다. 개관적인 의미는 하나이지만 실제로 정의하는 방법은 실체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전기 관련으로는, RLC 회로의 교류전압과 전류의 크기 비에 해당하는 온저항 또는 임피던스, 송전선의 전류 전달과 관련된 특성 임피던스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음향이나 전자기파 진행 관련하여 파동 임피던스도 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01
0
0
1년 365일은 과학적으로 어떻게 계산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력이란 지구가 태양의 주변을 1회전하는 공전 주기가 1년임을 기준으로 하여 만든 역법이다. 통상 전세계 다수의 국가가 현행 사용중인 그레고리력을 말하는 것으로, 달(月, moon)의 변화는 무시하고 태양운행을 기준으로 하여 만들었다. 기원은 이집트에서 BC 18세기경 태양력을 만든 것이다.[1] 나일강(江)이 범람할 때면 동쪽 하늘의 일정한 위치에 시리우스(큰개자리 α별)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냄으로써 태양력을 만들 수 있었다.[1] BC 18세기경 이집트인들은 1년을 365일로 하고, 이것을 30일로 이루어진 12달과 연말에 5일을 더하는 식으로 달력을 만들었다.율리우스력편집<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율리우스력입니다.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집트로 원정갔을 때, 그곳의 역법이 간단하고 계절에 잘 맞는 것을 알고,[2] 알렉산드리아의 천문학자 소시게네스(Sosigenes)의 충고에 따라 로마력을 개정하였다.[3] 1년을 365.25일로 정한후 평년을 365일로 하고 4년마다 1회의 윤년을 두어서 366일로 하였다. 이 역법은 BC 46년 1월 1일부터 실시되었는데 1,3,5,7,9,11월은 모두 31일씩이고, 다른 달은 30일로 하되 2월만은 평년 29일, 윤년 30일로 정했다. 그런데 율리우스의 생질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가 로마황제가 되었을 때, 율리우스의 달 율리(July)가 31일인데 비해 자기의 달 아우구스트(August)가 작으므로 이것을 31일로 하고 9월과 11월을 30일, 10월과 12월을 31일로 하였으며, 2월은 평년을 28일, 윤년을 29일로 만들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1
0
0
맨발로 흙을 밟는 어싱이 건강에 좋은 구체적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어싱(접지)라고도 하는 맨발걷기란 맨발로 야외, 특히 잔디, 흙 또는 모래와 같은 자 연 표면을 걷는 것을 말합니다.지구 표면과 직접 접촉하면 신체의 전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되고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맨발걷기 어싱의 잠재적 이점 중 하나는 신체의 염증을 줄이는 능력입니다.염증은 부상이나 감염에 대한 자연스러운 면역 반 응이지만 만성 염증은 관절염, 심장병, 암과 같은 수많은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연구에 따르면 맨발걷기 어싱(접지)은 세포를 손 상시키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불안정한 분자인 활성산소의 수를 줄여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 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01
0
0
공중화장실 소변기에 얼음을 넣어두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암모니아 냄새는 온도가 오를 수록 심해 집니다. 소변을 보고 소변기에 온도가 내려가는 효과, 그리고 얼음이 녹으면서 계속 물이 생겨서 세척의 효과가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01
0
0
냉장고에 있던 수박을 먹다가 문득 궁금한게...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박씨를 모아서 물로 세척후에 말려주세요. 이후 씨를 뿌릴만한 장소에 3-4개의 씨앗을 한꺼번에 넣어주세요. 이후 자라나는 것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01
0
0
방탄유리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뚫을려면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특수 필름을 붙이거나 특수한 열처리로 총탄에도 뚫리지 않도록 만든 강화유리입니다. 방탄을 뜷을 만한 무기를 만들어서 뚫으면 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7.01
0
0
고도가 높을수록 온도가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 오는 태양빛의 절반은 땅을 따뜻하게 하는 데 쓰인다. 나머지는 반사에 의해 우주로 빠져 나가거나 대기에 흡수된다. 지표 부분의 대기는 지면에서 오는 열로 데워진다. 지표에서 데워진 대기는 가벼워서 위로 올라간다. 높은 곳은 기압이 낮아 대기는 팽창해서 온도가 내려간다. 이것이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내려가는 원인이다. 공기는 대류 운동이나 바람에 의해 뒤섞여 같은 표고의 기온은 해진다. 그래서 표고가 높은 산 위에서는 지면에 가까워도 기온은 낮다.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내려가는 것은 고도 11km 정도까지이다. 이 범위에서는 대기가 대류하기 때문에 ‘대류권’이라고 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1
0
0
지구 밖에서 무지개가 보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 크기가 있기에 수백 km멀리 떨어진 우주에서 무지게가 보이질 안 습니다. 설사 보인다 해도 점에 블과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1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