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잠을 적게 자면 왜 피곤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체는 일정시간 이상 휴식을 취해야 피로가 회복되는 구조입니다. 의학적으로 8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해야 뇌도 쉬고, 다른 장기나 근육도 쉬게 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25
0
0
촛불이 불에 타는 데 있어서 촛불의 심은 타지 않고 그대로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심지 안에 들어있는 파라핀 때문입니다. 초에 처음 불을 붙일 때는 심지가 금방 탈 것 같지만 처음에 붙인 열에 의해서 양초가 녹고 이 파라핀 때문에 심지가 타지 않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25
0
0
질산암모늄은 어떻게 폭발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질산암모늄은 공기 중에서는 안정한 편이지만 온도가 높거나, 밀폐용기 속에 들어있을 때, 혹은 가연성물질과 함께 있을 때는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질산암모늄은 산성용액인 질산용액을 염기성인 암모니아가스로 중화하여 얻을 수 있다. 비료·폭약·냉각제 등에 쓰이며, 효모 배양의 양분, 인쇄 등에도 사용된다.
학문 /
화학공학
23.06.25
0
0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지구의 몇배 얼마만큼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란 행성, 별, 은하계 그리고 모든 형태의 물질과 에너지를 포함한 모든 시공간과 그 내용물 모두를 통틀어 이릅니다. 전체 우주의 크기는 아직 알 수 없지만,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지름이 930억 광년으로 추정됩니다. 인류가 관측 가능한 우주(Observable Universe)'의 크기는 지구를 중심으로 반경 465억 광년(약 4.399×1026 m)이므로 총 930억 광년[6] 규모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5
0
0
던지면 다시 되돌아오는 부메랑의 원리를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부메랑의 윗면이 공기와 만나는 거리가 아랫면보다 더 길기 때문에 빠르게 움직이게 되는 것이고, 이것이 부메랑의 리프트를 생성합니다. 또한 부메랑이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하단 날개가 상단 날개보다 더 빠르게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리프트 차이와 토크에 의한 자이로프리세션 때문에 부메랑은 원을 그리며 돌아오게 됩니다.
학문 /
물리
23.06.25
0
0
대기 중이나 지면이나 중력의 힘은 똑같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 모든 물질은 중력을 지니고 있다.2) 물체가 무거울수록 중력이 더 강하게 끌어당기는 것이다.3) 중력으로 인해 모든 것은 무게를 지니게 된다. 물체의 무게는 그 물체에 작용하는 지구 중력의 힘이다.4) 중력은 물체를 지구 중심을 향해 이동하게 하는 자연의 힘이다. 이것 때문에 모든 사물은 땅으로 떨어진다.5) 공기의 저항이 없다면, 모든 사물은 질량(무게)에 관계없이 동일한 가속도(운동속도의 증가)로 떨어진다.6) 마찰의 일종인 공기의 저항력은 중력에 반하여 작용하여 떨어지는 물체의 가속도를 감소시킨다. 공기의 저항이 없다면 빗방울이 총알처럼 빨리 우리 몸에 떨어질 것이므로 가히 위험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7) 물체의 앞 표면이 넓다면 공기의 저항이 중력의 힘과 싸워서 물체가 떨어지는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5
0
0
태양계 향후 인류가 이주가능한 행성순위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화성은 탐사 및 준비 중이구요. 다음 우선 순위는 목성으로 판단됩니다. 그 다음은 화성이 어떻게 되냐에 따라 금성, 토성, 천왕성 이지 않을까 합니다. 아직은 화성에 몰두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5
0
0
배고픔은 어디서 어떻게 오는 감각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배고픔은 갑자기 찾아오는 것만 같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감각은 우리 뇌 신경계—주로 시상하부를 자극하는 스위치로부터 시작됩니다.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신경 세포는 뇌의 문지기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우리 몸에서 배고픔의 신호를 통신 및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이러한 신경 세포는 배가 고프거나 부르거나에 따라 다양한 호르몬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차단합니다. 배고픔과 관련된 두 가지 주요 호르몬은 그렐린(ghrelin)과 렙틴(leptin)입니다. 그리고 인슐린 또한 배고픔 조절과 관련된 과정에서 어느 정도 역할을 합니다.배 속이 비게 되면, 위장에서는 그렐린이 분비되고 뇌에 전달됩니다. 그렐린은 위장에서 뇌로 전달되는 “배고파”라는 메시지입니다. 따라서 위장에서 분비된 그렐린이 뇌의 시상하부에 도달하게 되면 우리의 식욕은 높아집니다. 그리고 음식을 먹기 시작하면, 그렐린 분비는 줄어들기 시작합니다.렙틴은 이와 반대입니다. 다시 말해, 배고픔 스위치를 끄는 역할을 합니다. 이 호르몬은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고 뇌에 전달되었을 때 배고픔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신호는 식사를 통해 지방 세포에 에너지가 충분히 저장되었을 때 분비됩니다. 그리고 우리 뇌에 이제는 음식을 그만 섭취할 때라고 알려줍니다.이러한 신호를 수용 또는 차단하는 결정은 시상하부의 혈액 뇌 장벽(blood-brain barrier)에서 이루어집니다. 이 장벽은 위장, 췌장 및 지방 세포(또는 지방 조직)에서 분비된 호르몬이 뇌와 통신하기 위해서 통과해야 하는 관문입니다.그리고 시상하부에서 분비된 호르몬 또한 이 관문을 통과하여 우리 몸 전체의 수용체에 전달됩니다. 이처럼 배고픔을 조절하는 호르몬의 분비량과 뇌에서 분비되는 신호가 배고픔이라는 감각을 조절하고 신체의 에너지 저장 수준, 체중 및 신체 조성까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소화가 시작되면, 배고픔은 점점 사라집니다. 그 이유는 식욕을 줄이는 렙틴이 주로 분비되기 때문입니다. 에너지를 세포로 운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으로 알려진 인슐린 분비 또한 급격히 저하됩니다. 이를 통해 식욕을 감퇴하게 됩니다. 따라서 식사가 끝난 다음에는 인슐린과 렙틴이 함께 작용하여 배고픔을 없애고 포만감을 느끼게 합니다.배고픔에는 또한 주기가 있습니다.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나고 입에 침이 고인 다음 얻는 행복한 포만감이 찾아옵니다. 배고플 때 만족스러운 식사를 즐기는 것은 인생에서 가장 큰 행복의 한 가지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25
0
0
피아노는 어떤 원리로 다양한 소리가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악기인 피아노. 피아노의 소리는 어떤 원리에 의해 발생하는 것인가. 피아노 건반을 누르면 건반과 연결된 펠트해머가 피아노 줄을 때리게 되고 이 줄이 진동하여 소리가 나게 된다. 피아노 줄의 길이에 따라 소리가 결정된다.
학문 /
전기·전자
23.06.25
0
0
지구과학 용어 중에 에어로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로졸은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작은 고체 및 액체 입자들을 지칭한다1)2). 에어로졸은 배출 원으로부터 직접 배출되기도 하며 기체들이 공기 중에서 입자상 물질로 변환되어 생성되기도 한다. 에어로졸의 크기는 직경이 수 나노미터(nm)부터 수십 마이크로미터이다 2). 이는 일반적인 성인의 머리카락 직경이 70-9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감안할 때 상당히 작은 것이다. 주된 배출원으로는 인간의 화석연류 연소, 화산활동, 바다에서의 물보라, 사막먼지 등의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인 여러 요인이 있다. 에어로졸은 공기 중에서 다양한 물리/화학 반응을 통해서 그 크기와 구성성분이 변화한다. 또한 수증기가 과포화 된 지역에서는 에어로졸의 활성화를 통해 안개나 구름 등 작은 물방울의 씨앗으로 그생성에 기여한다. 에어로졸이 공기로부터 제거되는 주된 기작은 강수에 의한 습성침적 현상이다. 에어로졸의 생성과 소멸에 기여하는 여러 현상들은 지역적으로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에어로졸의 농도와 구성성분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존재한다 2).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5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