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금속탐지기 원리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금속탐지기는 와전류와 전자기 유도를 사용한다. 특히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VLF, 저주파 발진 유도 기법으로, 코일 2개가 각각 송수신을 담당하는데, 발신 코일에서 보낸 전자기파의 위상은 금속 내부에서 와전류를 형성하고, 이로 인해 수신 코일에 잡히는 위상이 살짝 밀리는 현상을 사용해 금속을 찾는 것이다. 대개 평상시에는 위상차가 0도지만, 금속을 만나는 경우 위상이 서서히 뒤로 밀리며 가장 많이 밀릴 때가 가장 가까울 때이다. 디지털 제품군의 경우 이게 무슨 소나나 레이더처럼 자기장을 핑~ 쏘는데, 이때 근처에 금속이 있으면 그 자기장에 의해 와전류가 발생하고, 다시 자기장이 형성되어서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의 길이가 좀 더 길어진다.
학문 /
전기·전자
23.06.19
0
0
데자뷰 현상이 과학적으로 설명 가능 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처음 가본 곳인데 이전에 와본 적이 있다고 느끼거나 처음 하는 일을 전에 똑같은 일을 한 것처럼 느끼는 것이다. 살아가다 보면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이나 주변의 환경이 마치 이전에 경험한 듯한 느낌이 들 때가 있다. 대부분 꿈속에서 본 적이 있는 것 같다고 말하는데 이것을 데자뷔 현상이라고 한다.또 다른 학설은 무의식에 의한 행동이나 망각된 기억이 뇌에 저장되어 있다가 그것이 유사한 경험을 만났을 때, 되살아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사람의 뇌는 엄청난 기억력을 가지고 있어서 스치듯이 한번 본 것도 잊어버리지 않고 차곡차곡 뇌세포 속에 저장하는데, 이런 세포 속의 정보들을 모두 꺼내는 것은 아니고 자주 보고 접하는 것들만 꺼내본다고 한다. 하지만 뇌는 훨씬 많은 것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무의식중에 했던 일을 다시 하거나 방문했던 곳에 갔을 때, 처음 하는 일 같은데 아련히 똑같은 일을 한 것처럼 느끼는 것이다.1900년 프랑스의 의학자 플로랑스 아르노(Florance Arnaud)가 처음 이러한 현상을 규정하였고, 이후 초능력 현상에 강한 관심을 갖고 있던 에밀 보아락(Emile Boirac, 1851∼1917)이 처음 데자뷔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보아락은 데자뷔 현상의 원인을 과거의 망각한 경험이나 무의식에서 비롯한 기억의 재현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데자뷔 현상은 그 자체로서 이상하다고 느끼는 뇌의 신경화학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그는 해석한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9
0
0
물에서 방사능 물질인 삼중수소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중수로형 원전에는 삼중수소제거설비(TRF)라는 것이 있다. TRF는 원전을 가동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중수에서 삼중수소를 분리해 따라 저장한다. 원전 주변 지역으로 삼중수소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다. 이렇게 TRF에 모인 삼중수로를 분리하는 것이다.문제는 TRF에 있는 삼중수소가 타이타늄에 결합돼 있기 때문에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보통 온도를 700℃로 높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삼중수소가 새 나와 방사능 오염이 일어날 수 있다.월성원전 측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심 중이다.과거 핵폐기물로 치부됐던 삼중수소는 엄청난 가치를 가진 물질로 탈바꿈했다. 안전하게 삼중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인류의 희망인 핵융합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학문 /
화학
23.06.19
0
0
빙판길보다 더 저항이 낮은 곳은 어느상태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가 없는 무중력 상태 즉 우주에서의 상태입니다. 공기저항과 중력이 없다보니 조그만 충격에도 마찰 없이 엄청난 속도로 날아가 버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19
0
0
우주비행사가 귀환했을때 들것에 실려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이 없는 우주에서 생활하다 보면 걷는것도 뛰는 것도, 다리를 펴고 접는 것도 힘듭니다. 그렇디보니 관절이 굳어 있는 상태라 지구로 돌아와서 재활 훈련이 필요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9
0
0
인공수정은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 수정은 정상적인 부부 관계가 아니라 부인의 배란기에 맞추어 남편의 정액을 부인의 질, 자궁 경관, 난관 또는 자궁 내에 넣어서 임신을 유도하는 방법을 말합니다.초음파 검사를 통해 배란일을 정하고, 날짜가 결정이 되면 남편이 정액을 수음법으로 채취합니다. 채취한 정액은 정액 처리 과정을 거쳐 운동성 좋은 건강한 정자만 소량으로 농축하여 부인의 자궁 안으로 주입합니다. 인공 수정 시술 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황체기 자궁내막 보강을 위한 약물 치료를 추가하기도 합니다. 시술 후 부인은 10~15분 정도 누워 있다가 바로 귀가할 수 있습니다. 시술 시 통증이 거의 없고 간단하게 할 수 있어서 입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인공 수정은 시험관 아기 시술(체외 수정 및 배아 이식)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9
0
0
바람은 어떻게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두 장소 사이에 존재하는 기압차에 따라 일어나는 공기의 움직임'이다. 크게 본다면 대기 대순환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원인 자체는 간결하지만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많아 세세하게 파고들수록 예측하기 어렵다. 지상에서 1 km위의 공기는 기압차와 전향력 정도만 고려하면 되지만 그 밑의 공기는 마찰력, 주변 지형, 지표 온도등 여러 요소가 공기에 영향을 준다. 기본적으로 온도차가 클수록 빠르게 불고 기압차가 클수록 세게 분다.
학문 /
화학
23.06.19
0
0
고양이나 강아지같은 네발동물이 사람보다 빠른 이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체구가 사람보다 작아서 공기저항을 덜 받습니다. 다음으로 뒷다리가 추진력 역할을 하면서 달리기에 좋은 근육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다리의 도움으로 달리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9
0
0
하늘에서 낙하산 없이 떨어져도 살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에서 떨어질 경우 자유낙하 속도는 시속 200km가 넘습니다. 바다에 떨어진다해도 내려오는 가속도와 바다와의 충격으로 죽게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9
0
0
뱀장어와 꼼장어(먹장어)는 다른 종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뱀장어와 닮았으며, 흰 점액을 뿜어내는[1] 해양 생물이다. 이름에 장어가 들어가긴 하지만 절대로 장어가 아니다.뱀장어목으로 분류되는 곰치랑 비슷하게 생겨먹긴 했지만 어쨌든 장어가 아니다 심지어 어류도 아니며 무척추동물 중의 하나이다.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기도 한다. 현생 먹장어는 3억 년 전에 나타난 먹장어와 정말 닮았다.[2] 또한 먹장어의 분류는 아직도 논쟁 속에 있는데, 먹장어가 포함된 원구류가 어류의 퇴화한 종류인지 아니면 무척추동물이 조금 더 상위 수준으로 진화한 것인지가 주요 쟁점이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9
0
0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