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야구에서 구속을 측정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구속은 미국 경찰에서 과속 차량 단 속을 위해 개발한 스피드 건을 야구에 적용해 측정 하고 있으며 그 원리는 '도플러 효과'에 있다. 즉 스 피드 건으로 공을 향해 초음파를 발사한 후 공에 맞 고 반사된 초음파의 진동수 변화 정도를 통해 구속 을 측정하는데 이때 진동수 증가 정도가 클수록 빠 른 구속을 나타낸다. 야구에서 스피드 건을 활용한 구속 측정은 메이저리거 출신으로 미시건 주립대에 서 코치를 하던 대니 리트윌러의 아이디어로 1973 년에 시작됐으며 그 전까지는 목표물을 향해 공을 던지면 그 뒤쪽에서 오토바이나 자동차가 달려 구 속을 계산하는 매우 원시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지 금 시대의 눈으로는 다소 우스꽝스러워 보이기도 하지만 구속에 대한 관심이 오죽했으면 이러한 방 법까지 동원해서 구속을 측정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구속 측정 기술은 과거에 비해 많이 발 전했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어 스피드 건의 성능과 놓인 위치에 따라 구속이 다르게 측정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일례로 2011년에 아돌디스 채프먼이 던 진 공의 구속이 전광판에 171Km로 찍혔으나 경기를 중계하던 폭스 TV 화면에는 169km로 나왔고 메이 저리그 사무국에서는 164km로 측정되기도 했다.
학문 /
물리
23.06.18
0
0
개구리들은 밤이 되면 왜 이렇게 극성을 부리며 울어 댈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개구리들은 밤이 되면 왜 이렇게 극성을 부리며 울어댈까? 일설에 의하면 올챙이 시절을 벗어나 청년기에 도달한 개구리들이 밤에 짝짓기를 위해 구애의 소리를 낸다고 한다. 수컷 개구리들이 암컷을 애타게 부르는 구애의 소리라는 것. 컴컴한 밤에 암컷 개구리는 수컷들의 우는 소리를 듣고 자신의 배필을 선택한다고 한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8
0
0
최초의 잠수함은 언제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620년대에 네덜란드의 발명가인 코르넬리우스 드레벨(Cornelius Drebbel)이 처음으로 제작했다.전쟁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최초의 예는 제1차 세계대전의 독일군 잠수함이다. 주요 무기는 수중 미사일, 혹은 어뢰이다.잠수함(submarine)은 해수면 아래로 완전히 잠수해 있는 동안에도 독립적으로 항해할 수 있는 선박(vessel)이다.16세기 이래, 사람들은 줄곧 효과적인 잠수함을 건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었다.16세기 영국의 윌리엄 본(William Bourne)은 어떻게 하면 해수면 아래에서 작동이 가능한 선박의 제작이 가능한지를 규명하고자 했으나, 그의 이 구상은 실현되지 못했다.적함을 공격할 수 있는 최초의 잠수함은 미국의 데이비드 부시넬(David Bushnell)이 1776년 건조한 것이다.
학문 /
토목공학
23.06.18
0
0
밀물과썰물이 일어나는 현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와 달이 태양 주위를 같이 돌고 달은 약 1km/s의 속도로 한 달에 한 번씩 지구의 주위를 돌면서 지구의 바닷물을 하루에 두 번씩 올렸다 내렸다 한다.그래서 지구의 바닷물은 항상 움직이는데 이것을 조석(潮汐)이라고 한다. 물이 들어올 때, 즉 외해에서 내해로 들어오면 만수위가 되고 그 물이 다시 외해로 빠져나가면 저수위가 되어 갯벌이 보인다.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주인공이 달이며 구체적으로는 지구 · 태양 · 달 사이의 인력 작용 때문이다.이렇게 바닷물을 올리고 내리는 힘을 기조력(起潮力)이라 하는데 달과 태양 및 기타 천체에 의해 일어난다.지구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달의 영향이 가장 크며 다음으로 태양이 영향을 미친다. 태양은 덩치는 크지만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이 달의 기조력에는 못 미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8
0
0
마늘을 구워서 먹으면 맵지가 않은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매운맛은 알리신이라는 성분 때문입니다. 그런데 마늘을 구우면 휘발성인 알리신이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매운맛이 없어지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6.18
0
0
은하와 은하수의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은하수(銀河水, 영어: milky way / Galaxy)는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우리 은하)이다. 국부은하군의 일부인 막대 나선 은하로, 우주에 있는 약 2조개의 은하 가운데 하나이다. 고유어로는 미리내, 한자로는 은한(銀漢), 운한(雲漢), 우한(牛漢)이라고도 한다.은하수의 원반은 직경이 약 100,000 광년이고, 평균적으로 약 1,000광년 두께이다.최소 2천억에서 4천억개 까지의 별들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주 작은 별들의 수 때문에 정확한 수는 알 수 없지만 이것은 이웃한 안드로메다 은하에 1조개의 별들이 있는 것과 비교될 수 있다.원반은 날카로운 모서리를 갖지 않고, 반경을 벗어난 곳에는 별들이 없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별들의 수는 은하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조금씩 줄어든다. 반경에서 약 40,000광년을 넘어서면, 별들의 수는 훨씬 더 빠르게 줄어든다. 그 정확한 이유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원반 주위에는 훨씬 두꺼운 가스층이 있다. 최근의 관측들은 Milky Way의 가스층이 약 12,000광년의 두께로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상대적인 물리적 크기로 비교하면, Milky Way의 직경이 10m라면 오르트 구름을 포함한 태양계의 폭은 0.1mm 이하일 것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8
0
0
탄소중립과 관련하여 그린수소라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는 그 생산 방식에 따라 그린, 그레이, 브라운, 블루수소 등 4가지로 구분된다. ▷그린수소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한 수소를 ▷그레이수소는 천연가스를 고온·고압 수증기와 반응시키는 개질수소와 석유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브라운수소는 갈탄·석탄을 태워 생산하는 개질수소를 ▷블루수소는 그레이수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하여 탄소 배출을 줄인 수소를 말한다.
학문 /
화학
23.06.18
0
0
태양의 홍염과 플레어는 무엇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표면에는 검게 보이는 부분이 있는데 이것을 흑점이라고 한다. 흑점은 주위보다 온도가 낮아서 검게 보이는 것이며 동에서 서로 이동을 한다. 이를 통해서 태양이 자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흑점은 11년을 주기로 그 수가 증감한다. 태양 표면을 관찰하면 작은 쌀알을 뿌린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쌀알무늬라고 부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것은 지름이 약 1,000㎞ 정도이다. 이 밖에 태양의 대기층인 채층, 채층 위로 가스가 폭발하여 큰 고리 모양으로 솟아오르는 홍염, 채층에서 에너지가 방출되어 폭발하여 만들어진 플레어, 그리고 보통 개기일식 때 관측 가능한 온도 200만℃ 이상의 청백색 가스층인 코로나를 관찰할 수 있다.태양 표면에서는 태양 내부로부터 맹렬한 힘으로 분출된 물질이 표면 높게, 때로는 수십만㎞에 달하는 여러 가지 모양의 불기둥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을 홍염이라 한다. 그러나 관찰자를 향해서 치솟은 홍염은 관찰하기 어렵고 개기일식 때 태양의 표면이 달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면 시선 방향과 직각인 방향에 때마침 나타난 홍염의 모습이 포착되는 수가 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7
0
0
중합 공정은 어떻게 발생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중합공정 설계시 주의할 점 세 가지 첫째로, 중합 반응에서 생성되는 열의 처리에 관한 문제이다. 1개의 이중결합이 단일 결합으로 바뀌는 과정은, 보통 10~20Kcal/mol의 중합 열을 발생하며, 만일 이 반응이 단열 상태에서 일어난다면, 대략 200~400도의 온도 상승이 수반된다는 것이다. 이 열은 어떠한 방법으로든 제거되어야 하는데, 보통의 단량체와 고분자가 좋은 전도체가 아니므로, 반응열의 제거는 중합공정의 설계에서 최대의 문제점이 된다. 둘째로, 고분자의 생성에 따른 점도의 상승이다. 반응 중 점도의 상승은 단계 중합에서보다 연쇄 중합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로, 특히 자동 가속화 효과에 의해 급격한 점도 상승이 일어나 공정의 조절이 어렵게 될 수도 있다. 조절되지 않는 점도의 상승은 반응계 전체의 점도 자체로도 문제가 있으나, 위에서 말한 열의 제거를 더욱 곤란하게 한다는 점에서 더 큰 문제를 야기한다. 셋째로, 부피 변화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는 그 단량체에 비해 밀도가 높으므로 고분자가 됨에 따라 부피가 감소하며, 그 변화는 10~20퍼센트에 이르기도 한다. 중합공정의 설계, 특히 반응조의 설계에 이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상의 중합 반응 특유의 문제점과 일반적인 화학공정 설계에서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여러 중합공정들이 개발되었다.Bulk중합, 용액 중합, 현탁 중합, 그리고 유화 중합이 대표적인 네 가지 공정이다. 중합공정 대표적 3가지 Bulk중합은 단량체와 촉매 등 중합에 필요한 필수 성분만을 반응조에 투입하여 중합하는 방법이다. 이 중합은 발열량이 많고 중합에 따르는 점도의 증가가 현저하므로 벌크 중합을 하려면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한 공정의 설계가 필요하다. 용액중합은 용매 또는 희석제에 반응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중합하는 방법으로 열 확산이 용이하고 반응물의 점도가 높지 않아 공정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단량체는 대부분의 경우 용매 도는 희석제에 녹으나 중합 촉매나 생성 고분자는 용해되는 경우도 있고, 녹지 않고 분산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용액 중합은 용매에 대한 사슬 이동 반응, 용매의 회수 및 정제공정 등 몇 가지 부수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주로 비닐 단량체의 이온 중합 또는 Ziegler-Natta 촉매를 이용한 중합공정에서 이용된다. 현탁 중합과 유화중합은 분산 매질에 단량체와 고분자를 분산시켜 중합하는 방법으로 분산 매질로는 물이 많이 이용된다. 이온 중합이나 Ziegler-Natta 촉매를 이용한 중합은 물이 반응에 참여하므로 곤란하여, 현탁 중합이나 유화 중합은 주로 비닐 단량체의 라디칼 중합에 이용된다. 열확산이 쉽고 중합이 끝난 후 얻어지는 구슬상 또는 유화된 상태의 중합물을 바로 상품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유화제 등의 분리가 힘들어 순수한 고분자를 얻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현탁중합과 유화중합은 물에 분산시켜 중합한다는 점은 동일하나 분산상의 크기나 반응 메커니즘 등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학문 /
화학공학
23.06.17
0
0
망원경을 최초 개발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608년 네덜란드의 안경 제조업자인 리프셰(Hans Lipershey)는 우연한 기회에 두 개의 렌즈를 적당한 간격으로 두었을 때 멀리 있는 물체를 확대해 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이듬해 이 사실을 전해들은 갈릴레이(Galileo Galilei)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조합한 망원경을 제작하였고, 1610년에는 그가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 금성, 달 등을 관찰함으로써 인류 최초로 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를 관측한 사람으로 기록되게 되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7
0
0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