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군대에서 물만 부어서서 먹는 전투식량의 과학적인 원리가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빔밥을 예로 들면 비빔밥을 만들어서 동결 건조시킵니다. 이것을 포장한 후에 뜨거운 물을 적당량 부어서 기존 음식의 상태로 만들어서 먹는 것입니다.
학문 /
물리
23.06.07
0
0
드라이기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기 공기 배출구에 전기열선코일을 설치하고, 흡입된 공기가 열선을 통과하면서 뜨겁게 달궈지고 배출 되는 것입니다. 차가운 공기는 열선에 전기를 단전시켜 흡입된 공기를 그냥 배출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07
0
0
손을 닦을 때 비누를 비비면, 왜 거품이 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누는 구조적으로 기름에 잘 섞이는 탄화수소 부분과, 물기에 잘 녹는 카프복시기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비누가 물에 적셔지게 되면 친수성 부분은 친수성 부분끼리, 친유성 부분은 친유성 부분끼리 모여서 미셀이라는 구조를 형성하게 되죠. 물은 물 분자들 사이에잡아당기는 힘이 워낙 셉니다. 유리컵 한 가득 넘칠 듯이 물을 부었을 때 옆에서 보면 물이 위로 봉긋하게 올라와 있는 것도 바로 물의 표면 장력 때문입니다.그러나 물에 비누가 들어가면 이 표면 장력이 약해지면서 물방울이 넓게 퍼지게 되고요. 이때 비누를 문지르는 동작에 의해 비누 분자들이 공기를 둘러싸고 거품이 생기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6.07
0
0
먼지가 많은 날 우리가 숨을 쉬면 그 먼지들이입으로 다 들어오고 그먼지는 우리의 폐로 다 들어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먼지가 입과 코로 들어와서 입 점막이나 혀, 코 점막 및 호흡기와 폐에 흡착하게 됩니다. 특히 미세먼지 및 휴해먼지는 폐를 상하게 하고, 호흡기를 망가트립니다.
학문 /
화학
23.06.07
0
0
소름이 돋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추위 등 외부의 자극에 대한 '입모근반사' 반응으로 근육이 수축하면서 생기는 피부의 상태 변화를 "소름 돋다"라고 한다. 한마디로 닭살. 흔히 동물에게도 볼 수 있는 현상으로 추위를 막거나 공포, 긴장 등의 흥분상태일 때 털을 곤두세우는 것이다. ASMR 등의 자극을 통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현재의 인류는 피부에 거의 털이 남아 있지 않아 소름이 돋아 봐야 아무 기능도 없지만 생물학적 본능으로는 아직 남아 있는 것.
학문 /
화학
23.06.07
0
0
엘이디의 구성이 어떻게 되었는자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발광 다이오드. Ga(갈륨), P(인), As(비소)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류를 흐르게 하면 붉은색, 녹색, 노란색으로 빛을 발한다. 전구에 비해 수명이 길고 응답 속도(전류가 흘러서 빛을 발하기까지의 시간)가 빠르고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는 데 이점이 있어, 피크 인디케이터 또는 숫자 표시에 가장 적당하다.
학문 /
전기·전자
23.06.06
0
0
친환경플라스틱도 합성수지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스틱으로 인해 해양 오염, 해양 생물에 끼치는 유해한 영향 등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소각하지 않고 단순히 매립했을 때 미생물에 의한 작용으로 수개월 안에 물과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등으로 완전히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크게 전분(녹말)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광분해성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나뉘며 필름류, 사출품류, 용기류, 발포체류 등으로 쓰인다. 하지만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물성이나 유연성을 강화하기 위해 다른 플라스틱 소재나 첨가제를 섞어야 하며 가공된 뒤에는 투명성을 띠지 못하는 등 단점이 존재한다. 이런 단점을 극복한 생분해성 신소재는 옥수수 성분의 포도당 및 폐글리세롤을 활용한 바이오 함량 100%의 생분해성 소재이다. 다른 플라스틱 소재나 첨가제를 섞지 않고 단일한 기존 생분해성 플라스틱 대비 유연성 20배 이상 개선되어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앞으로는 이런 생분해성 신소재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서 더욱 다양한 생분해성 신소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학문 /
화학
23.06.06
0
0
지구 자전이 멈추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자전을 멈추면 중력이 사라져서 무중력 상태가 됩니다. 지구위의 모든 물질들은 우주로 날아가 버립니다. 차후에는 달과 같은 모습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06
0
0
대나무는 왜 없애도 끊임없이 계속뚫고 올라오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대나무는 번식력이 좋습니다. 우후죽순이라는 말처럼 비가 온 후에 무섭게 자라납니다. 대나무를 없애고 싶으시다면 땅을 모두 갈아 엎어서 뿌리까지 없애야 합니다. 그럴려면 포크레인도 필요하고, 인력도 상당히 필요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06
0
0
무거운 침대 프레임을 들 때 어디를 드는게 가장 합리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침대 프래임은 무겁습니다. 혼자는 어렵구요. 최소 2명에서 3명이 좋아요. 힘이 좋거나 두명이 머리쪽을 들고, 다른 한 명이 다리 쪽을 들면 됩니다.
학문 /
물리
23.06.06
0
0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