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멧비둘기가 이상한 소리로 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둘기가 울면, 날씨가 흐리고 까치가 울면 날씨가 맑다."예로부터 비둘기가 울면 날씨가 흐리고 까치가 울 면 날씨가 맑다는 말이 있다. 실제로 동물들은 사람 과는 다른 감각이 있는 동물들은 우리와는 다른 방 법으로 날씨를 예측하고 표현한다.비둘기는 부부 사이가 매우 좋은 동물 중 하나인데, 비가 오면 짝을 잃을까 걱정되어 우는 것이며, 까치 는 건조한 날씨를 참 좋아하는 새로, 날씨가 건조하 면 기분이 좋아 소리를 내는 것이다. 즉, 비가 오고 흐린 날에도 까치가 울면 고기압이 다가와 날씨가 좋아질 것으로 예견할 수 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06
5.0
1명 평가
0
0
유전자의 우성과 열성은 상호간의 우월성이 존재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고전적인 멘델 유전학에서 우성과 열성은 우열의 법칙을 통해 나타난다. 즉 동그란 완두콩에 있는 우성유전자 R이 있고, 주름진 완두콩에 있는 열성유전자 r이 있다고 할 때, 이 둘은 쌍으로 존재하는 대립유전자이기 때문에 결합 방법은 RR, Rr, rr 세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RR은 동그란 완두콩으로, rr은 주름진 완두콩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Rr도 동그란 완두콩이 된다. 이는 열성유전자 r이 우성유전자 R에 가려서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우열의 법칙이며, 이 때문에 RR의 유전자형을 가진 동그란 완두콩과 rr의 유전자형을 가진 주름진 완두콩을 교배하면 잡종제1대가 모두 Rr을 가진 동그란 완두콩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이 바로 멘델 유전학에서의 우성유전자의 작용이다. 그러나 생물학이 발달함에 따라 이러한 기본적인 방식 이외에도 많은 예외가 있음이 발견되어, 현대 생물학의 관점에서는 절대적인 우성과 열성이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인간의 우성과 열성인간에게 있어서도 명백히 우성과 열성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특징이 있다. 우리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특징은 혀말기, PTC(페닐시오카바마이드) 용액의 맛을 볼 수 있느냐 하는 것, 쌍꺼풀의 유무, 속눈썹 길이 등등이 있다. 혀를 둥글게 말 수 있는 유전자는 그렇지 못한 유전자에 비해 우성이며 PTC 용액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유전자는 그렇지 못한 유전자에 비해 우성인 것 등이다. 이러한 것 이외에도 헌팅턴씨 병(Huntington's disease), 왜소증(dwarfism) 같은 유전병들도 이러한 명백한 우성, 열성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06
0
0
녹는점은 어떤 원리로 결정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용융점 또는 융해점이라고도 한다. 녹는 물질이 순수한 물질이라면 그 물질이 녹는 동안 가열하여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일정 온도구간이 나타나며 고체와 액체가 공존할 때의 온도를 녹는점이라 한다. 순수한 물질은 녹는점과 어는점(freezing point)이 항상 같으며 각 물질마다 녹는점은 모두 다르므로 그 물질만이 가지는 고유한 성질인 물질의 특성이 된다. 예를 들어 얼음은 0℃에서 녹고, 물은 같은 온도 0℃에서 언다.가열곡선(heating curve)에서 보이는 녹는점에서 일정온도 구간이 나타나는 이유는 고체가 녹고 있는 동안 흡수한 열이 물질의 상태를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화시키는 데에 모두 쓰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압력 1기압(1atm)에서의 융해온도를 그 물질의 녹는점이라 하며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거나 압력이 변하면 녹는점도 달라진다. 유리, 플라스틱 등 비결정질(非結晶質)고체에는 녹는점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학문 /
화학
23.06.06
0
0
선박의 레이더의 탐색이 가능한 거리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선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충돌예방장치(ARPA: Automatic Radar Plotting Aids)도 탑재하고 있다. 일반적인 S-band Radar(원거리 탐지용)는 3,000MHz, X-band Radar(고분해용)는 9,375MHz의 마이크로파 주파수를 사용한다.SART(Search and Rescue Transponder)는 x -band 레이더 에서만 감지가되며, 이는 공명되는 주파수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X밴드 레이더는 작은 어선이나 어망등을 관찰하는데 도움이 된다. 파장이 짧고 고주파이다 보니 작은 물체등이 잘 식별되는 것. 반대로 S밴드 레이더의 경우 x밴드에 비해 저주파이고 파장이 길다보니 구름이나 기상현상에 의한 노이즈가 심한 편, 태평양을 남북으로 다니는 배들은 적도 인근에서 스콜을 많이 경험하는데 이때 s밴드 레이더에 큰 덩어리가 보인다면 바로 스콜구름이다. 그래서 데이워크팀에게 예상되는 강우정보를 알려주어 비를 피하게하기도하고 (기상레이더인가?) 3기사가 데크에 전기작업을 한다고하면 무조건 알려줘야한다.주 메이커는 F사, J사가 있으며 해운업계의 경험으로는 J사의 제품이 여러가지 운용측면에서 좋다고한다. 물론, 케바케다. 보통의 상선은 두 대의 레이더를 운용하며 레이더마스트는 선교 위 탑브릿지에 위치한다. 두 개의 막대가 빙빙도는데 긴 것이 s밴드레이더의 것이고 짧은것이 x밴의 것이다. 그 외에도 여러 gmdss통신장비 안테나부터 tv안테나 위성안테나 모두 탑브릿지에 위치하니 전파로 샤워하고 싶으면 탑브릿지에 올라가도록하자레이더의 세부사항은 규정집과 사용설명서를 자세히 읽어야겠지만, 보통의 구성은 gain,rain(ftc),sea(stc), 그리고 tune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즘엔 auto로도 잘 나와있어 비,구름 그리고 파도에 의한 노이즈를 조절하기 힘들다면 auto모드를 쓰면되지만, 연안에서는 절대금물이다. 특히나 한국이나 중국 연안에는 어선들과 어망이 촘촘히 진을 치고 있고 날이 좋은 경우에는 노이즈라 그리 심하지 않기 때문에 번거롭더라도 반드시 수동으로 조절하자.대양에서는 어차피 어선을 보기 어렵고 상선들도 간간히 보이는 정도라서 마그네트론의 수명을 위해 한 측 레이더만 하루 건너 운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선사마다 그리고 선장님의 뜻에 따라 다르다. 가끔 ais가 꺼진 상태로 다니는 상선들이 있으므로.. 항시 레이더에 뭐가 나타나면 구름이겠거니 무시하지 말고 반드시 육안으로 보고 판단하자 colreg애서도 가장 주의하라고 하는게 그런 것이다. 사소한 실수가 대형사고를 유발한다는 것을 잊지말자.
학문 /
토목공학
23.06.06
0
0
나비와 나방의 두드러지는 차이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나비와 나방은 비슷한 모습을 가졌지만 차이점을 알고 보면 구별하기가 어렵지 않다. 앉는 자세, 더듬이 모양, 활동시간을 살펴보면서 차이점을 살펴본다. 나비는 날개를 접고 앉고, 나방은 날개를 펴고 앉는다. 나비의 더듬이는 곤봉 모양인 반면, 나방은 두껍다. 낮에 활동하는 나비와 달리 나방은 밤에 주로 활동한다.
학문 /
생물·생명
23.06.06
0
0
풍력발전기의바람에따른 가동 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풍력발전 에너지란 이름 그대로 바람으로부터 얻는 에너지입니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제주도와 대관령에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지요. 풍력 발전이란, 자연의 바람을 이용해 풍차를 돌리고 이것으로 발전기를 돌리는 발전 방식을 말합니다. 풍력발전 조건(?)이때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초속 5m 이상의 바람이 지속적으로 불어야 합니다. 따라서 풍력발전은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 터빈을 설치하여 이루어집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6.06
0
0
집중호우가 내리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집중호우는 한 시간에 30mm 이상이나 하루에 80mm 이상의 비가 내릴 때, 또는 연강수량의 10%에 상당하는 비가 하루에 내리는 정도를 말한다. 호우는 적운계열의 대류계 발달시간에 따라 지속시간이 수십 분에서 수 시간 정도로 강수 구역이 보통 반경 10~20km 넓이의 지역에 집중적으로 내린다. 천둥과 번개를 동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태풍과 장마전선 및 발달한 저기압과 수렴대 등에 동반되어 2~3일간 지속되기도 한다. 호우는 주로 강한 상승기류에 의해 형성되는 적란운에서 발생한다. 적란운의 크기는 보통 수평 방향으로 수 km에서 수십 km, 연직 방향으로는 대류권의 꼭대기 부분인 권계면(고도 10~15km)에 달한다. 발달한 적란운은 약 1,000~1,500만 톤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고 구름이 한곳에 정체하여 계속 비가 내릴 때 집중호우가 된다. 이 구름은 수명이 1~2시간 정도밖에 되지 않으나, 주변의 기상조건에 따라 발생하고 소멸하는 과정이 수없이 반복되면서 며칠 동안 계속되는 때도 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06
0
0
별도 시간이 지나면 죽는다고 하던데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936년 독일의 한스 베테는 별들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열핵융합과정을 수소가 헬륨으로 변하는 두 가지 과정으로 설명했다. 첫 번째는 양성자-양성자 연쇄반응인데, 네 개의 양성자가 일련의 단계를 거쳐 하나의 헬륨핵으로 융합된다. 두 번째는 탄소-질소 순환과정으로 탄소가 촉매로 작용한다. 양성자-양성자 연쇄반응은 태양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질량을 갖는 별에서 일어나는 반면, 탄소-질소 순환과정은 좀더 무거운 별들에서 일어난다. 별의 질량은 진화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변수로서 별이 무거울수록 핵연료를 빨리 태우고 그만큼 빨리 수명을 다한다. 별의 질량은 또한 별의 마지막 상태가 백색왜성으로 끝날 것인지 아니면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로 끝날 것인지를 결정한다.모든 별들은 수소를 태워서 헬륨을 만든다. 그리고 적색거성의 단계에 이르면 헬륨을 태워 탄소를 만든다.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갖는 별은 탄소핵을 더 무거운 핵으로 변환시킬 만큼 중심부의 온도가 높지 않으므로 백색왜성으로 진화한다. 백색왜성에서는 자유전자들이 원자핵들 사이를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에 마치 금속처럼 보인다. 태양보다 더 무거운 별들은 평형 상태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자유전자들이 원자핵에 포획되어 양성자가 중성자로 바뀔 때까지 붕괴를 계속한다.이러한 원자핵은 불안정하기 때문에 별을 구성하는 원자들이 모두 중성자로 바뀌면서 중성자별이 된다. 이때 지름은 수 킬로미터에 불과하지만 밀도는 엄청나게 높아진다. 중성자별은 매우 빨리 회전하므로 강력한 자기장에 둘러싸여 있으며, 중성자들의 압력 때문에 더 이상 중력에 의해 붕괴하지 않는다. 별이 아주 무거우면 중성자별 단계를 지나서도 계속 붕괴해 마침내 블랙홀이 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06
0
0
이번에 우리나라 인공위성 발사는 성공적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누리호는 발사 후 875초 뒤 성능검증위성을, 945초 뒤엔 위성모사체를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시켰고, 성능검증위성과의 교신도 정상적으로 이뤄짐으로써 우리나라는 자력으로 1t급 이상의 실용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세계 7대 우주강국에 이름을 올렸습니다.누리호 발사 성공은 이제 대한민국도 우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과 가능성을 보여준 쾌거입니다. 한국형발사체 고도화 사업에 따라 누리호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4번 더 발사될 예정입니다.우표에는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발사되는 누리호의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30여 년의 도전 끝에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에 성공한 대한민국의 우주개발 역사를 우표와 함께 되새겨보시길 바랍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06
0
0
다중우주라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 외에도 다른 우주들도 존재한다? 이 우주에는 지구와 유사한 행성이 있을 수도 있고, 우리가 알고 있는 자연의 기본적인 특성이 아예 다른 곳일수도 있습니다. 바로 다중우주론입니다. 다소 생소한 이야기이지만, 점점 더 많은 과학자들이 우주에 대한 우리의 생각에 가장 극단적인 변화를 가져올 이론이 다중우주론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이 개념은 어디에서 출발했고, 그 증거는 무엇일까요? 세계적인 물리학자이자 [우주의 구조] 저자인 브라이언 그린(Brian Greene, 1963~)이 직접 다중우주론에 대해 설명을 시작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06
0
0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