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주에 있는 행성들은 모두 자전운동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천체는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있다. 태양과 달도 자전을 한다. 태양 이외의 다른 항성과 블랙홀 중에서도 자전이 확인된 것도 있다. 펄서(pulsar)는 고속으로 자전하는 중성자 별로 알려져 있다. 천체가 자전하는 데 중심이 되는 축을 자전축이라고 하며, 스스로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자전 주기라고 한다. 자전 주기는 각 행성이 360° 회전하는 시간을 말하는 것이다.이 자전축의 기울기는 각 행성의 공전 궤도면에서 수직된 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뜻한다. 지구는 1일(정확히 23시간 56분 4초)을 자전 주기로 돌며 지구보다 태양에 더 가까이 있는 수성은 자전하는 데 59일 걸리고 자전축은 겨우 0.01°로 거의 똑바로 서서 돈다. 수성의 자전과 공전은 3:2의 비율인데, 이것은 수성이 태양의 주위를 2번 공전할 동안 3번 자전한다는 뜻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20
0
0
지구 안과 우주에서 몸무게 재면 다른 이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는 중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우주에서는 무중력 상태이기 때문에 몸무게가 달라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20
0
0
충전 어댑터를 끼울때 왜스파크가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다른거 한번 꽂아보세요 문제 없이 잘 되면 충전기 문제일거고 똑같이 스파크 튀면 콘센트 문제입니다. 대게는 콘센트 문제인데 콘센트 탈거 후 접지 조임상태 확인하셔야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20
0
0
다음 세대 통신장치 패러다임.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상과학영화에서 보왔듯이 카드형 단말기 및 사람 몸에 칩을 이식해서 몸 전체로 통신하는 방식이 될 것 같습니다.
학문 /
화학
22.12.20
0
0
한국은 쓰나미와 지진으로 부터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안전하지 않습니다. 영화 해운대에서 보았듯이 부산 및 남해안 앞바다에서 쓰나미가 밀려올 가능성도 많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20
0
0
김 서림 방지 안경닦이의 원리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김서림방지 안경닦이로 안경을 닦아주기만 하면 김서림이 방지된다. 실리카라는 물질을 통해 안경 표면에 미세한 스크레치를 내어 김서림을 방지하는 원리라고 한다. 하지만 실리카라는 물질이 들어있는 김서림 방지 안경닦이는 호흡기를 통할 경우 폐 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다. 김서림 방지 안경닦이를 살 때는 그 점을 꼭 확인해야한다. 또한 김서림방지는 영구가 아니라 주기적으로 닦아주어야 한다.
학문 /
전기·전자
22.12.20
0
0
별자리는 왜 만들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별자리(constellation, 星座)는 처음부터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별자리로 정해져 있었던 것은 아니다. 각 나라나 지역마다 다르게 사용되고 있었던 것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오늘날 별자리가 생긴 것이다.오늘날 별자리의 기원은 서구 별자리로, 기원전 수천 년경 바빌로니아 지역에 살던 셈족계 유목민인 칼데아인들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들은 가축을 키우고, 푸른 초목을 따라 이동하는 생활을 하면서, 밤하늘을 자주 쳐다보게 되었고, 밝은 별들을 연결시켜 동물에 비유하면서부터 별자리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B.C. 3,000년경에 만든 이 지역의 표석에는 양·황소·쌍둥이·게·사자·처녀·천칭·전갈·궁수·염소·물병·물고기 자리 등 태양과 행성이 지나는 길목인 황도를 따라 배치된 12개의 별자리, 즉 황도 12궁을 포함한 20여 개의 별자리가 기록되어 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20
0
0
광원이 작을수록 윤곽이 뚜렷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래 그림처럼, 광원이 하나일때는 하나의 하이라이트를 만들고, 두개일때는 두개의 하이라이트를 만들겠죠, (만약 거울 같이 반사된다면) 이때, 무수히 많은 광원(광면적이 매우 넓음)이라면 마찬가지로 무수히 많은 하이라이트를 만듭니다. 따라서, 하나의 하이라이트의 경우 주변과의 광량차이로 눈에 도드라지게 뛰게 되고, 두번째의 경우는 주변과 비슷한 밝기를 유지하기 때문에 엷어 진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20
0
0
사람의 눈은 몇 화소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 눈 화소는 5억 화소?사람이 사물을 볼 때 100% 명확하게 보이는 건 눈 중심에서 빛을 받는 중핵(中核) 2도 정도 범위에 불과해요. 팔을 눈앞에 편 다음 엄지손가락을 양쪽으로 벌렸을 때와 같은 범위인데요.'눈'으로 물체를 보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 주변을 둘러보세요! 밤이 찾아오거나, 빛이 차단되면 지금처럼 밝게 보일까요?아주 어두운 방에 들어가면 처음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다가 시간이 지나면 하나둘씩 희미하게 보이기 시작합니다. 우리는 이때 빛이 없어도 볼 수 있는 걸까 하는 착각을 하게 되죠.하지만, 우리가 물체를 보기 위해서는 물체에서 나온 빛이 우리 눈에 들어와야 합니다. 물체로 진행한 빛이 물체에 부딪히고 이때 물체의 각 지점은 이 빛을 사방으로 반사시키게 되죠. 이렇게 반사된 빛의 일부가 사람의 눈에 들어가면 각막과 렌즈(수정체)를 거치면서 망막의 한 점에 모이게 되고 물체의 각 점에 대응되는 망막의 점들이 모여 물체의 형상을 만들게 되는 것인데요.이때 망막에 있는 시세포는 상의 모양과 빛의 에너지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만들어 뇌에 보낸다고 해요. 이때 또 하나 고려해야 할 건 뇌와 눈의 관계인데요. 이를 통한 사물 인식 방식입니다. 눈에는 상이 맺히지 않아 시각 기능을 할 수 없는 부분도 있다는 사실!시신경이 망막에 접하는 곳에는 있는 맹점(Blind Spot)이 바로 그것인데요. 맹점을 확인하려면 오른쪽 눈을 감고 왼쪽 눈의 초점을 눈앞에 고정한 채 왼쪽 엄지손가락을 눈앞에 세운 상태에서 서서히 왼쪽으로 움직여 보세요. 어떤 지점에서 엄지손가락이 사라진다면 그곳이 맹점입니다.이렇게 눈에는 시각 기능을 할 수 없는 맹점이 있지만 사람의 눈은 항상 바쁘게 움직이는데요. 덕분에 이미 뇌가 눈에서 인식한 상을 통해 눈에서 처리한 정보에서 부족한 부분을 메워주죠. 이렇게 뇌가 처리를 하더라도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해상도 계산은 가능한데요. 사람이 식별할 수 없는 최소 폭을 0.59분(60분=1번)으로 계산해 사람의 시각 넓이 전체로 확장하면 5억 7,600만 화소가 나오는데요. 다시 말해 5억 7,600만 화소 디스플레이가 있다면 이는 사람이 보고 있는 실제와 같은 해상도가 된다는 얘기가 되죠.
학문 /
생물·생명
22.12.20
0
0
기찻길에 깔려있는 자갈을 볼 수 있는데요. 이 자갈은 왜 사용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면 진동흡수기차가 지나갈 때 요란한 소리도 문제지만, 땅이 심하게 흔들린다면 주변 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이 때 자갈들이 진동을 가로막는 방패 역할을 하면서 진동을 최대한 줄여주는 것이다. 충격 분산 단단한 지면에 큰 충격이 가해지면 갈라지면서 쉽게 주변이 훼손될 수 있다. 하지만 여러 개의 자갈들이 지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키면서 안전을 보장한다.
학문 /
토목공학
22.12.20
0
0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