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복숭아 같이 무른 과일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 같은 기계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복숭아 잘 고르는 팁은 별거 없어요.딱딱한가 만져 보고 색이 선명한 것을 고르라고하더라구요.2 후숙이 잘 된 복숭아를 이제 어떻게 보관하느냐바로 키친 타올로 하나씩 감싸서물기가 생기는 것도 방지하고 냉기가 직접 닿아서어는 것을 방지하면 되세요.3 요렇게 낱개로 키친타올로 감싸 주세요.4 키친 타올에 복숭아를 하나씩 싸서 다 싼 복숭아를 지퍼백이나 밀폐용봉지나 용기에 담아서 냉장 보관하심 되세요.복숭아는 0-4도 정도에 보관해야 제일 맛있다고 하더라구용.
학문 /
기계공학
22.12.20
0
0
투자 전문가나 금융 전문가가 아닌 순수 엔지니어의 관점이 궁금합니다. 주식이나 코인 시장에서의 AI(트레이딩 봇)은 신뢰할 만 한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업체에 대한 정확한 분석 및 예측, 코인 변동에 따른 투자 가능 유무, 매도 매수 가능 여부 확인
학문 /
기계공학
22.12.19
0
0
비료는 무엇으로 만드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경작지에 뿌리는 영양 물질. 토지의 생산력을 높이고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물질로 질소, 인산, 칼륨을 비료의 3요소라고 한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오늘 아침 뉴스를 보다가..많은 눈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면서..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적설하중 (Snow Load)Sf=Cb*Ce*Ct*Is*Sg (kN/m^2)Sf의 f는 평지붕의 적설하중을 의미합니다Cb의 b는 basic 기본적설하중을 의미합니다Ce의 e는 exposure 노출계수를 의미합니다Ct의 t는 temperature 온도계수를 의미합니다Is는 importance 적설에대한 건축물의 중요도 계수를 의미합니디.Sg는 ground 기본 지상 적설하중을 의미합니다.기본적설하중은 재현기간 100년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최근 100년동안 가장눈이 많이 온 관측치를 해당지역의 최악의 하중으로 보겠다는 말입니다.1제곱미터당 지붕에 실릴수 있는 눈이 기본 0.5정도 입니다.(최소적설하중)50kgf/m^2=0.5kN/m^2대관령이 5, 울릉도가 10정도의 수치를 보이네요
학문 /
토목공학
22.12.19
0
0
우리나라 장영실은 해시계를 발명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경우 7세기경에 신라에서 제작된 해시계 파편이 가장 오래된 해기계 유물로 전해진다. 이 유물은 원반모양의 시반을 24등분하여 자시ㆍ묘시 등의 24시를 새기고, 그 중심에는 시표인 막대기를 세웠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 크기는 반지름 33.4cm이며, 현재 자시부터 묘시까지만 남아 있다.앙부일구앙부일구는 1434년 세종 16년에 장영실, 이천, 김조 등이 참여하여 제작한 솥단지 모양의 해시계이다(그림 7 참조). 앙부일구 영침의 그림자 끝을 읽어 시간과 절기를 알 수 있다. 하루동안 태양의 그림자는 해당하는 날짜의 절기선을 따라 움직이는데, 그림자가 절기선 가장 위쪽 선인 동지선에서 가장 아래쪽 선인 하지선까지 내려왔다가 동지선까지 올라가면 1년이 된다.앙부는 하늘을 우러러보는 모양의 가마솥이라는 뜻이다. 이 앙부일구는 서울 혜정교와 종묘 남쪽 거리에 설치되어 백성들이 모두 볼 수 있었다. 시계 위에는 글자 대신에 각 시간에 해당하는 12지신 그림을 그려 글을 모르는 사람도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했다. 세종 때 만든 앙부일구는 임진왜란 때 파괴되어 남아있지 않고 18세기에 제작된 것을 보물 제845호로 지정하였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9
0
0
차량용 거치대 자석이 휴대폰에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석 거치대 사용 시 스마트폰에 미치는영향은 아주 미비합니다.대부분 출시 전 자력 테스트를 통해 테스트를 끝 마친 제품들이라 자석충전거치대 정도의 자력으로는 크게 문제될거없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9
0
0
황화수소중독이 인체에 어떤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황과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수소 원자 2개와 황 원자 1개로 이루어져 있다. 녹는점은 섭씨 영하 82.9도, 끓는점은 영하 59.6도. 따라서 상온에서는 기체 상태로 존재한다.천왕성의 대기 상부에 풍부하게 있는 물질이다. 때문에 천왕성 주위에서 대기를 퍼 온다면 심한 악취가 나게 될 것이다.황화수소를 이용한 실험 시 기체의 색상이 투명하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자체가 유독성이기도 하지만[1], 폭발사고의 위험도 있기 때문이다.[2] 대부분의 황 화합물이 그러하듯 강한 달걀 썩는 냄새가 나지만, 누출 발생원부터 멀리 있을 경우 후각으로 파악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냄새를 맡았을 때에는 이미 누출이 심각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3] 따라서 황화철이나 단백질 등과 같은 황 화합물을 다룰 때는 매우 조심하자. 연소하한계와 상한계차이가 고작 41.1(4.3 ~ 45.4)에 위험도 9라 그 불타기로 유명한 메탄 수치인 2보다도 더 높아서 화재 위험성도 있다.자연에서는 화산 지대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화산가스나 온천수에 포함되어 있으며, 광천수에 일부 녹아있는 경우도 있다. 이외에는 단백질[4]의 부패로 생기기도 한다.원시 대기에는 산소가 없었기에 물(H2O) 대신 비슷한 구조의 황화수소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일산화탄소는 어떤 물질이며,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탄소의 연소반응에서 이산화 탄소의 생성 엔탈피(Enthalpy)가 일산화탄소보다 작은(큰 음의 값을 가지는) 반면, 생성 엔트로피(Entropy)는 일산화탄소 쪽이 더 크기 때문에 생성 자유에너지는 고온으로 갈수록 일산화탄소 쪽이 더 작아진다(더 큰 음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고온일수록 반응의 평형도 일산화탄소 쪽으로 기울어진다. 제철 과정에서 취련이나 주조를 할 때 탄소와 산소의 반응생성물이 이산화 탄소가 아닌 일산화탄소가 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일산화탄소가 완전연소하면 이산화 탄소가 된다.굉장히 위험한 물질로 적혈구의 헤모글로빈[2]에 대한 결합력이 산소보다 엄청나게 높아서 이것이 과다하게 흡입되면 생물은 산소부족으로 죽게 된다. 결합력의 차이는 대략 200:1.[3] 따라서 공기 중에 극히 소량만 존재하더라도 문제가 되는데, 이는 소량이라 할지라도 거의 모두 인체에 흡수되어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 산소 운반기능 저하 이외에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내 호흡을 차단하는 역할도 동시에 한다. 효과는 동일. 시안화칼륨, 시안화수소 등에 들어 있는 시안(CN-)기도 이런 식으로 독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래서 일산화탄소의 혈중 포화도가 55~57% 수준이면 전신 마비와 신경세포 사멸이 시작되며, 60%를 넘어가면 산소부족으로 사망한다. 흔히 담배를 피울 때 '헤롱'이 온다고 하는 그 느낌도 일산화탄소 흡입으로 인한 질식 현상이다. 이쯤 되면 독가스로도 사용되었을 법 하지만, 밀폐된 공간이 아닌 개활지에서는 공기의 20%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산소와 결합되어 거의 무독성인 이산화 탄소로 변질 되기 때문에 그 독성을 계속 유지하기가 어렵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냄비나 그릇에 뚜껑을 덮고 끓이면 왜 빨리 끓여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닫습니다. 뚜껑에 물이 맺혀서 돌아오기 때문에 증발에 의한 손실이 적습니다. 잘못하면 라면이 너무 짜져요.윗 분 말씀처럼 방열 손실도 적습니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식물들중 물이 없어도(최소로) 살수 있는 식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석죽목[2] 선인장과의 식물들을 일컫는 말. 아메리카 원산이며 지구에서 가장 척박한 환경인 사막에서 살아가는 식물들이다. 가시로 진화한 눈[3]들이 큰 특징이며[4], 대부분 다육식물에 속한다. 아메리카 대륙 원산이나 외부유입으로 제주도, 중국 남부,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호주, 아프리카 등에도 자생한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9
0
0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