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물에 닿아도 꺼지지 않는 양초의 과학적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닿는 부분은 물의 낮은 온도때문에 양초가 녹지 않고 가운데만 움푹 파이게 됩니다. 그리고 물과 심지 사이에 막이 형성되어서 불이 꺼지지 않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9
0
0
고무 재질은 전기가 안통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가 통하는 고무라고 해서 고무의 성질이 없어진 것은 아니다. 그 고무를 세게 누르면 전기가 통하는 양이 더 많아지고 살살 누르면 전기가 조금 통한다. 고무를 길게 자른 뒤 전선을 연결하면 그 기다란 고무 전체가 스위치 역할을 한다. 고무에 무엇을 첨가해서 전기가 통하는 이상한 고무가 됐는지는 연구 비밀이므로 일단 제쳐두기로 하자.고무를 눌러서 저항값을 변화시켜 통하는 전류의 양을 변화시키는 기본 출발점은 압력이다. 압력 중에서도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을 다루는 표면 압력이라는 새로운 분야이다.그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30년 가까이 근무하면서 국가가 필요로 하는 과제를 연구하는데 온 청춘을 바쳤다. 그가 맡은 분야는 압력표준 연구이다. 국가압력표준기를 개발해서 일본 과학자에게 귀띔도 해줬다. 표준과학연구원은 우리나라의 표준을 가장 최전선에서 지키는 기관이다. 그가 맡은 분야는 압력과 진공을 다루는 것이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9
0
0
MDR이라고 하는 포유류 잠수반응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신기한 것은 이런 해녀나 프리다이버도 육지에서는 물 속에서 있을 때와 비슷한 시간 동안 숨참기가 불가능했다는 것입니다.그럼 물이라는 특수한 환경과 우리 몸이 무슨 상관관계가 있다는 말인것 같죠!?바로 그 해답은 우리 몸 속에서 일어나는 MDR(mammalian diving reflex)이라고 불리는 반응 입니다.포유류잠수반응(MDR)이라는 것은 인간이 물 속에서 보다 잘 적응하고 심지어 깊은 수심에까지 갈 수 있도록 하는 몸의 변화입니다. 이런 현상은 고래나 돌고래 같은 수중 표유류에게서 흔히 관찰할 수 있지만 인간을 포함한 육상 포유류에게서도 퇴화된 형태로 관찰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 말은 인간도 만약 물 속 환경에서 계속 진화했다면 돌고래나 고래처럼 엄청난 잠수 능력을 가졌을 수도 있었겠죠? 단지 육지에서 오랜 기간 살아오면서 이런 기능이 점점 퇴화되었을꺼라 예상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9
0
0
잡내 잡는 월계수잎의 비밀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월계수 나무의 경우 독성이 있기 때문에잎만 따서 식용 혹은 약재로 사용하는데요.생 월계수잎은 약간의 쓴맛이 나지만이걸 건조시키면 단맛과 향이 더 강해져요.달면서도 쓴맛, 스파이시한 향이 어우러지는 게 특징입니다.특히 고기 잡내나 비린내를 잡아주는 데에효능이 있어 향신료로 많이들 사용하고는 합니다.대표적인 월계수잎 효능으로는 항산화가 있어요.테르펜, 커큐민 등의 성분이 다수 포함돼 있어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등 항산화 작용에 도움이 되죠.또한, 소화 촉진 작용을 하는 성분이 함유돼위 건강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되며,이뇨 작용을 통해 노폐물과 독소가 체외로잘 배출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9
0
0
플라스틱으로 된 배달 용기는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기 젖병 소재로 사용하는 실리콘용기는 괜찮으나~ 플라스틱 용기는 환경호르몬등 나쁜 물질이 많이 나와서 좋지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피부를 눌렀을때 원상태로 돌아오게 하는 힘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피부탄력이라고 하지 않나요~ 탄력이 좋은 사람들은 빨리 돌아오고, 탄력이 약하거나 수분이 빠진 사람들은 흔적이 늦게 가라안고~
학문 /
물리
22.12.19
0
0
올 겨울 날씨가 왜 이렇게 춥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이어서 춥습니다. 북서쪽에서 치기운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추운 바람의 영향으로 춥습니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에디슨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미국의 발명가. 특허수가 1,000종을 넘을 정도로 많은 발명을 하였고 특히 중요한 것은 백열전구를 개선·발전시키고 그것의 생산법을 발명한 것이다. 전구실험 중에 발견한 ‘에디슨 효과’는 20세기 들어와 열전자 현상으로서 연구되고, 진공관에 응용되어 전자공업 발달의 바탕이 되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9
0
0
개복치는 엄청나게 크던데 육식성 어류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온대성 어류로, 보통 바다의 중층에서 헤엄쳐 다니지만 하늘이 맑고 파도가 없는 조용한 날에는 외양(外洋)의 수면 위에 등지느러미를 보이면서 천천히 헤엄치거나 옆으로 누워 뜨기도 한다. 무리를 이루지 않으며, 접근해 오는 해파리 등을 먹이로 한다.어린 새끼는 표면에 가시 모양의 돌기가 많이 있고, 몸길이 60cm 이상이 되면 수컷은 주둥이가 튀어나오며 암컷은 수직형으로 된다. 수명은 약 20년이다. 보통 난해(暖海)에 살고 때로는 연안의 정치망에 걸리기도 한다. 살은 희고 연하며 맛은 담백하다. 한국, 일본 홋카이도 이남, 세계의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분포한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8
0
0
진화론의 한계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상 최초의 생명체가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합니다.(빅뱅의 우주의 씨앗 처럼 물속에서 우연히 단세포가 만들어졌다고 말합니다.)화석을 보면 비슷한 시기에 다양한 생물들이 한꺼번에 출현하므로 진화론을 부정합니다.(진화론이 맞다면 순차적으로 다양한 생물들이 출현해야 하는 거죠)또한 진화론 상의 중간단계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 아직 근거가 미약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8
0
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