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전하던 지구가 갑자기 멈추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 있는 모든 물체들이 공중에 떠있거나 튕겨져서 닐아기 바릴 거라고 생각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8
0
0
우주에서 빛은 어떻게 이동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 빛은 사방으로 이동합니다. 그래서 반대방향이든 측면이든 어디에서든 빛을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8
0
0
항생제가 세균을 차단하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항균제는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약물로서 인체에 침입한 세균의 감염을 치료한다. 작용기전, 항균범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항균제 중에서 특히 미생물이 생성한 물질에서 유래한 경우만을 항생제라고 일컬으므로 항균제가 더 넓은 의미를 갖는다. 항균제에 저항성을 가지는 세균이 발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균 감염 치료에 필요한 최소기간 동안만 사용해야 한다.
학문 /
화학공학
22.12.18
0
0
루페와 돋보기는 똑같은 과학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프랑스어로는 루프(loupe)라고 하며 사람의 시야로 보기 어려운 물체를 확대해 볼 수 있게 한 만든 렌즈(확대경)입니다. 일반적인 용도는 현상된 필름이나 사진을 확인할 때 사용하지만, 카메라에 연결하여 확대 촬영 시에도 사용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8
0
0
고산 식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고산대(高山帶)에 생육의 분포지역을 둔 식물인데, 보통 이들은 북위 36° 부근의 해발고도 2,500m 이상의 교목이 없고 관목뿐인 곳과 해발고도 1,500∼2,500m의 주로 침엽수로 구성된 곳에서 서식한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8
0
0
원심력은 어디서 나오는 힘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원운동을 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말한다. 원의 중심에서 멀어지려는 힘으로서[1], 가상의 힘이라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반대로 물체가 관성에 의해 원운동을 할 때 원의 중심으로 향하는 힘을 구심력이라고 하며, 구심력은 실재하는 힘이고, 원심력은 관성에 의해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힘이기 때문에, 대응되는 힘이라고 부를 수 없다.
학문 /
물리
22.12.18
0
0
체온이 급격하게 변하면 몸이 따끔거리는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체온이 올라가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피부가 붉게 올라오면서 두드러기가 나는 사람들이 있다. 누군가는 온몸에 닭살이 돋는듯하면서 간지럽고, 또 어느 누군가는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거나 감정 변화 등으로 몸이 더워지면 온몸에 좁쌀 같은 반점이 생기고 따가움이 느껴진다.두드러기로 긁고있는 여성두드러기로 긁고있는 여성이는 모두 콜린성 두드러기 증상의 일부다. 만성 두드러기인 콜린성 두드러기는 일반인의 20%가 겪는 흔한 증상이다.과도한 운동을 했거나, 따듯한 물에 목욕한 후, 추운 곳에서 더운 곳으로 갑자기 이동했을 때,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주로 나타나는 콜린성 두드러기는 심부 체온이 1도 정도 상승하면 증상을 보이기 시작한다. 정확한 원인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모세혈관과 소정맥의 투과력이 증가하면서 단백질과 액체가 혈관 밖으로 유출되기 때문이라는 것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또, 이때 몸에서 분비되는 히스타민의 영향으로 피부에 두드러기가 나타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콜린성 두드러기의 증상은 대체로 1~2mm 정도의 작은 두드러기와 홍반성 발적이 함께 나타나는것이다. 이렇게 나타난 두드러기가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한 전신에 퍼져나가는데, 이 때 심한 가려움증과 따가움이 발생하게 된다.갑작스럽게 올라오는 두드러기에 온 몸이 따갑고 가려워 긁고 때리면서, 짧게는 5분, 길게는 30분 이상 휴식을 취해야 한다.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해 히스타민을 억제하면 효과가 있다.콜린성 두드러기를 막는 방법은 체온을 상승시키지 않는 것이다. 과도한 실내운동, 뜨거운 사우나와 찜질, 더운 탕 목욕 등을 하지 않는 것이 도움된다. 또, 스트레스를 받거나 심한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콜린성 두드러기는 만성 질환이다. 치료를 받았다고 하더라도 완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잠시 증상이 멈추는 것으로 보는 것이 좋다. 따라서 자신의 생활에서 개선할 방법을 찾아 예방하고, 관리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학문 /
화학
22.12.18
0
0
원소, 원자, 분자 특징 및 차이점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빨간공 파란공이 있다고 치면빨간공 1개 = 원자 = 최소단위빨간공 = 원소 = 종류빨간공3개 결합 = 빨간공 = 원소 = 한 종류로만 이루어진 물질(원소는 위와 같이 두 가지 정의로 사용합니다.)빨간공1개, 파란공 1개 결합 = 분자 = 2개 이상 원자가 결합(마찬가지로 빨간공 3개 결합한 것도 분자입니다.)마찬가지로 산소, 수소가 있으면수소 1개 = 수소원자수소 = 원소 = 종류수소2개 결합 = 수소 = 원소 = 한 종류로만 이루어진 물질수소 두 개, 산소 한 개 결합 = 일산화이수소 분자 (물) = 2개 이상 원자가 결합(수소 2개 결합한 H2도 분자입니다.)요약하면 원자는 최소 단위이고 원소는 종류, 한 가지로 이루어진 물질을 뜻하고 분자는 2개 원자 이상 원자가 결합한 물질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8
0
0
밀물과 썰물 현상으로 생기는 부작용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 썰물이 존재하면서 부작용 보다는 이점이 많습니다. 조석간만의 차로 발전이 가능하며,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살 수 있는 조건이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8
0
0
인간의 신체는 아직 진화중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진화하고 있는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는 일상생활의 변화가 크지 않다보니 진화하는 부분이 눈에 띄지 읺는것 같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8
0
0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