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주변에서 산성비에의한 피해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에 존재하는 유언비어이다. 언론에서 환경오염의 지표로 산성비와 그 피해가 거론되면서 인체에 대한 피해로 탈모를 들기 시작했고, 어느샌가 산성비는 대머리를 유발한다고 뇌리에 박혀버렸다. 산성비가 인체에 좋을리는 없겠지만 대머리는 비약적이다.국립환경과학원의 자료를 보면 전국 비의 연평균 pH는 4.3 ~ 5.8, 대도시의 경우 pH 4.4 ~ 4.8 정도이다.[1] 산성비와 무관하게 머리카락을 젖은 상태로 오래 방치하는 것은 모발과 두피 건강에 좋지 않지만 아래 영상을 확인하면 산성비의 영향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문 /
화학
22.12.15
0
0
비행기는 어떤 월리로 움직이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의 중량을 공중에서 지탱하는 것은 날개(주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이다. 비행기가 공기 속을 어떤 속도로 전진하면 그 속도와 같은 바람(공기의 흐름)이 날개에 닿는다. 이 공기의 흐름은 만곡(彎曲)이 큰 날개의 윗면을 통과할 때는 유속(流速)이 빨라지고, 만곡이 작은 아랫면에서는 유속이 느려진다.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르면 유속이 증가하면 유체의 압력이 감소되고, 반대로 유속이 감소되면 압력은 증가된다. 그러므로 날개의 윗면에서는 부압(負壓:negative pressure)이 생겨서 날개를 빨아올리고, 아랫면에는 정압(正壓:positive pressure)이 생겨서 날개를 위로 밀어올려, 이 상하면의 작용이 합쳐져서 날개에는 상향(上向)하는 양력이 생긴다. 비행기가 일정한 속도로 수평비행을 할 때에는 날개의 양력이 기체(機體)의 중량과 균형을 잡는다.날개에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비행기를 어떤 속도로 공기 속을 전진시켜야 한다. 날개의 양력의 크기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며, 또 날개의 기류에 대한 받음각[迎角:angle of attack]이 커질수록 양력도 대략 그것에 비례해서 커진다. 비행기는 양력이 중량과 같아진 상태에서 수평비행을 하므로 빨리 비행할 때는 받음각을 작게 하고, 느리게 비행할 때는 받음각을 크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받음각을 크게 하면 양력은 대략 그것에 비례해서 커지지만, 받음각이 어느 한도를 넘으면 날개 윗면의 공기의 흐름이 표면의 점에서 벗어나 그 뒤의 기류가 흐트러진다. 그리하여 어떤 받음각을 넘으면 그 이상의 받음각을 증가해도 양력은 오히려 감소되고, 더구나 흐트러짐이 심해져서 날개로서의 기능이 나빠진다. 이러한 상태를 실속(失速)이라고 하며, 이때의 비행기 속도를 실속속도라고 한다.
학문 /
물리
22.12.15
0
0
초가 탈 때에 초의 윗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가운데가 오목하게 되는 이유는 초심 근처의 온도가 가장 뜨겁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운데가 더빨리 녹아서 그럽니다.
학문 /
화학
22.12.15
0
0
심령체가 찍혔다고 주장하는 사진 중에 과학적으로 검증된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으로는 풀 수 없는 신비하고 불가사의한 심적 현상을 일으키는 물체라고 합니다. 귀신이나 유령이라기 보다 주변상황이나 기분, 마음상태에 따라 헛것이 보이거나 찍히는 것 같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5
0
0
지진 전조증상을 심해 생물이 먼저 아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전조증현상이 심해 밑에서 부터 전해오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5
0
0
지구의 오대양에도 대류현상이 있는데 만약 대류가 멈춘다면?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의 흐름도 멈추고, 온도변화도 줄어들 것 같습니다. 대류에 의해서 이동하는 물질들도 멈춤게 될 것입니다. 좋은점 보다는 단점이 더 많을 것 같네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5
0
0
비누에도 세균변식을 한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끝없는 논쟁이 예감됩니다. 제가 아는 어떤 의사와 미용전문가는 꼭 물비누로만 손을 씻습니다. 특히 다 같이 사용하는 비누는 세균을 옮길 수 있다는 이유로 절대 쓰지 않습니다. 또 다른 의사는 공공화장실에 놓인 비누로 손을 씻습니다. 미국의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은 아예 고체 비누를 쓰지 않는 것은 물론 항상 전용 손소독제를 가지고 다닌다지요. 세균 민감족과 세균 불감족이 의견일치를 보기는 쉽지 않습니다.비누에 세균과 박테리아가 득시글거린다는 공포는 오래됐습니다. 세균 민감족들의 경전 <굿바이, 세균>에서는 “고체 비누를 쓰지 말고 물비누 용기에 들어 있는 비누를 쓰라”고 권합니다. 다른 사람의 세균을 손에 묻히는 것을 막으려는 것입니다. 미국 은퇴자협회에서 제공하는 건강정보를 보면 “손을 깨끗이 하려고 비누로 씻지만 비누에 남아 있는 박테리아와 세균이 더 묻을 수도 있다”고 경고합니다. 게다가 이 협회는 “공중화장실 물비누통의 25%가 배변 세균으로 오염됐다”는 미 애리조나대학의 연구 결과를 들며 “공중화장실 비누통은 아예 만지지도 말고 만졌으면 15~20초 동안 뜨거운 물로 손을 씻으라”고 합니다.정말 화장실에 있는 비누에 세균이 있는지를 <한겨레21>이 물어본 전문가들의 의견은 좀 다릅니다. 화장품과 생활용품을 만드는 아모레퍼시픽 연구팀은 “비누는 높은 pH를 유지하기 때문에 세균이 생성되기 어려운 환경”이라는 의견을 보내왔습니다. 보통 ‘화장비누’라고 부르는 세안용 비누는 pH 산도가 6을 넘는 알카리성 비누입니다. 게다가 세정 성분이 세균을 억제하기 때문에 세균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식품안전의약청 미생물과 이순호 연구관도 “비누에 균이 있는지 없는지보다는 비누를 사용할 때 세균이 우리에게 옮겨오는지를 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계면활성제는 우리 몸에 있는 것을 떨어내는 역할을 하는데, 비누에 세균이 있다고 해도 씻겨나가지 우리 몸에 붙는다고 보기는 상식적으로 어렵답니다.
학문 /
화학
22.12.15
0
0
인간이 빛의 속도를 견딜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의 과학으로는 견딜 수가 없습니다. 그래도 과학이 발전하면 언젠가는 광속에도 견딜 수 있는 우주선과 우주복이 나올거라 생각됩니다.
학문 /
물리
22.12.15
0
0
피뢰침에 맞은 번개의 전류를 다시 사용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피뢰침의 원리는 1749년 미국의 과학자인 벤자민 프랭클린에 의해 자세히 알려졌습니다.뇌운 사진1. 뇌운이 발생하면 구름 상부에 양전하가, 구름 하단에 음전하가 모입니다.구름 속의 물방울과 작은 얼음들이 서로 마찰을 일으키고 전하가 분리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축척된 전하가 다른 곳으로 한꺼번에 이동하는 것을 정전기 방전이라고 합니다.하지만 이 방전은 꼭 피뢰침이나 대지로만 방전하는것은 아닙니다. 구름 사이에서 방전하는 운간방전, 구름 내부에서 발생하는 운 내방 전, 그리고 주위 대기로 일어나는 대기 방전이 있습니다. 이것을 번개라고 부르며, 대지로 떨어지는 방전현상만을 낙뢰라고 하는 것입니다.뇌운 사진22. 뇌운이 피뢰침쪽에 접근하면 대지에 양전하가 모이고, 피뢰침도 이 양전하가 유도됩니다. 마찬가지로 정전기 유도 현상의 일종입니다.대지 사진3. 뇌운에 전하가 점점 쌓이면, 피뢰침으로 불빛과 함께 방전이 발생합니다.4. 피뢰침과 연결된 전선과 같은 전기적인 통로를 통해 대지로 방전하게 됩니다.그렇기 때문에 이 통로의 저항을 일정 값 이하로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낙뢰에 대한 오해1. 번개는 높은 곳에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반드시 높이가 중요하지는 않습니다.결과적으로 높은 곳에 떨어지는 것이 많을 뿐입니다. 뇌운은 대지로부터 매우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지상 수십 미터 나 수백 미터의 차이 정도로는 높은 곳에 떨어진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2. 낙뢰는 가까운 곳에 떨어집니다. 전하는 가장 짧은 경로로 유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뇌운과 대지와의 거리에 연관이 있습니다.3. 피뢰침은 100 % 안전한 것은 아니다. 피뢰침이 있으면 반드시 거기에 떨어지는 일은 없습니다. 피뢰침의 보호 범위는 성능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45 °에서 60 °의 각도라 고합니다. 피뢰침의 높이가 높을수록 보호 범위도 더 넓어집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5
0
0
몇일전 붉은 달을 봤어요..붉은 달은 왜 그렇게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개기월식 때 달이 붉게 보이는 현상을 가리킨다. 개기월식 때 달은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서 태양 빛을 받지 못하게 되는데, 태양 빛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은 아니고 태양 빛 중 파장이 긴 붉은빛이 지구를 거쳐서 달에 전달되기 때문에 지구에서 달이 붉게 보이게 된다.blood moon(영어)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 태양 빛을 받지 못하고 어둡게 보이는 현상인 개기월식(皆旣月蝕) 때, 지구에서 달의 색깔이 붉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레드문(red moon)’ 또는 ‘적월(赤月) 현상’이라고도 한다. 달이 지구 주위를 돌다가 ‘태양-지구-달’ 순서로 일직선에 놓이게 되면, 달은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서 태양 빛을 받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태양 빛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은 아니고 태양 빛 중 파장이 긴 붉은빛은 지구를 거쳐서 달에 전달된다. 즉,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파장이 짧은 푸른빛은 대부분 흩어지나, 파장이 긴 붉은빛은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여 지구의 그림자 뒤에 있는 달까지 전달된다. 이 붉은빛을 받아 달이 지구에서 붉게 보이는 것이다. 지구의 대기 구성에 따라 달이 주황색, 갈색 등으로 보일 수 있다.한편, 달의 명칭 중 블러드문과 같이 색깔이 들어가는 것으로는 ‘블루문(blue moon)’이 있다. 그러나 블루문은 푸른빛을 띠는 달이 아니라,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뜰 경우에 두 번째 뜬 보름달을 이르는 말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5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