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핵폭발시 어떻게 플랭크 자새로 살아남을 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핵폭발 충격파로부터 내상을 입지 않기 위해서 플랭크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이는 핵폭발이 일어난 곳에서 상당히 떨어진 곳에서나 효과가 있구요 대부분은 폭발과 빛, 낙뢰에 의해 사망하게 됩니다. 산다해도 방사능 피폭으로 기형이 될 수 있구요~ 다시는 터져서는 안되는 폭탄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5
0
0
머리카락에는 감각이 없는데 이발하면 졸린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특별한 유기적 관련성은 없습니다. 머리를 자르기 위해 앉아 있는 상태이고, 타인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기분이다 보니 편안해져서 좋음이 올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기면증을 얘기 하신 분들도 계시더라구요.
학문 /
화학
22.12.05
0
0
추운 날 입김이 나오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입김이란 입에서 나오는 더운 김으로 우리가 숨으로 나오는 기체의 수증기가 입 밖의 차가운 기온을 만나서 생기는 현상입니다.우리가 입 밖으로 내뱉는 공기의 온도는 사람의 체온과 비슷한 30도라고 하는데요.이 때 바깥의 차가운 공기와 만나게 되면 응결을 하는 것이랍니다.응결이란 기체가 액체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우리가 뱉는 따뜻한 공기와 밖의 차가운 공기가 서로 엉키고 뭉치면서 우리 눈에 하얗게 보이는 것이랍니다.보통 입김은 주변 온도와 약 10도 정도 차이가 날 때부터 보이기 시작하고 20도 이상 차이가 나면 우리 눈에 확 띄게 드러난다고 하네요.
학문 /
물리
22.12.05
0
0
씽크홀이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싱크홀의 모양과 크기는 천차만별입니다. 어떤 싱크홀은 서서히 형성되며 얕은 침몰지를 생성하고, 어떤 싱크홀은 갑자기 생기며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후자를 표층 붕괴형 싱크홀이라고 부르는데 자주 발생하지 않지만 일단 발생하면 뉴스거리가 될 만큼 큰 사고로 이어집니다. 잠재적 위험성을 지닌 표층 붕괴형 싱크홀은 지면 아래에 공동(空洞)이 생기면서 발생합니다. 지하 공동이 생기는 원인은 상수도관 파열이나 폐광 갱도 같은 인간의 활동 때문일 수도 있고 지하 암반이 수십만 년에 걸쳐 침식되는 지질학적 과정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5
0
0
휴대폰 배터리에 감전 될 위험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이 날 한 남성이 여자 친구인 23살 자오 모 씨와 휴대폰 메시지를 주고받다가 갑자기 답장이 없어 이상한 낌새를 알아챘다. 이에 곧바로 여자 친구 집에 찾아갔더니 자오씨가 휴대폰을 손에 쥔 채로 쓰러져 있었고, 호흡도 멈춰 있었다.의료진 확인 결과, 자오씨는 심장 주위가 검게 그을려 있었다. 의료진들은 이를 감전사로 결론지었다. 전문가들도 충전 중인 휴대폰을 사용하다가 감전사 당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허베이 공업대학 에너지 환경재료연구소 량광찬 소장은 "현재 대부분 휴대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리튬배터리로 위험이 발생한 확률은 1억분의 3이하로 극히 희박하지만 사고가 발생할 경우 80%가 휴대폰 충전 시에 발생 한다"며 "배터리 품질의 문제가 이 같은 감전사를 유발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학문 /
전기·전자
22.12.05
0
0
안약을 눈에 넣으면 입에서 쓴 맛이 나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많은 사람들이 경험해본 안약의 쓴맛은, 안약을 잘 못 넣어서 흡수되거나 눈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흘러내려서 그런 것입니다. 안약사용 방법을 익히시면 될것 같습니다.
학문 /
화학
22.12.05
0
0
얼어붙은 도로에 염화칼슘을 뿌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칼슘은 습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강해 눈 위에 뿌리면 주위의 습기를 흡수해서 스스로 녹기 시작합니다. 눈에 뿌려진 염화칼슘은 눈 속에 들어있던 수분을 흡수해서 녹이는 것입니다.염화칼슘이 습기를 흡수하면 왜 눈이 녹게 되는 것일까요?습기를 흡수한 염화칼슘은 수분을 흡수해 녹으면서 열을 냅니다. 이 열이 주위의 눈을 녹이고 그러면서 또 열을 내고 하는 과정을 계속 반복함으로써 추운 겨울에 얼어붙은 눈길을 녹이는 것입니다. 또 염화칼슘이 물에 녹면 그 물은 다시 얼기 어렵습니다. 무려 영하 55˚C가 되어야만 다시 얼 수 있습니다.이러한 이유때문에 겨울철 빙판길을 녹일 때 염화칼슘을 뿌리게 되는 것이죠.염화칼슘은 습기를 흡수하기 때문에 제습제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습제 통을 보면 '편상 염화칼슘'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편상 염화칼슘이란 염화칼슘 조각이라는 의미입니다. 염화칼슘은 흰색 고체로 장마철처럼 습도가 높을 때는 자신의 무게의 14배 이상의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습도가 60%일 때는 자체 무게만큼의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효과 좋은 제습제로 이용되고 있어요. 하지만 염화칼슘이 눈을 순식간에 녹이는 장점은 있으나 부식성이 강해서 자동차나 콘크리트의 쇠붙이를 부식시키고 도로 주변에 심어져 있는 나무를 죽게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제설제로 염화칼슘보다 소금을 더 많이 쓴다고 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5
0
0
여우와 사막여우는 같은종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여우의 한 종류. 사막여우나 페넥여우라고 부른다. 갯과에 속하는 종으로서, 개와 늑대, 여우와 비슷한 신체적 특성을 가진다. 의외로 굉장히 오래된 종이며 늑대와 여우가 분리되는 시절에 처음 등장했다. 여우속에 속했지만, 다른 여우종들과는 생물학적 차이도 존재해 일부 학자들은 사막여우속(Fennecus)의 유일한 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사막여우는 때로 사막에 사는 여우 를 통칭하는 의미로도 쓰이지만,[1] 기본적으로 Fennec fox(페넥폭스)의 널리 알려진 별명이다. 한국에서만 사막여우라고 부르는 게 아니다. 아래 언급되는 명칭 장난질 때문에 'desert fox'를 한국에서만 부르는 명칭으로 기록할 필요는 없다.건조기후인 북아프리카의 사막 지대에 서식하며, 아프리카 북동쪽 시나이 반도를 한계로 중동까지는 범위가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몸무게는 1~1.5kg으로 상당히 작은 체구를 가지고 있으며 모래색의 털로 덮여 있다. 평균적으로 체구가 작기 때문에 낮은 체온을 유지하는 것에 유리하다. 또한, 열을 배출하기 위해 발달된 널찍한 귀가 특징이다. 그렇지만, 큰 귀로 인해 그렇지 않아도 적은 수분이 쉽게 손실되는 경향이 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5
0
0
흑연을 다이아몬드로 만드려면 걸리는 시간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석탄과 다이아몬드를 구성하는 원소는 탄소입니다. 그런데 똑같은 원소인 탄소가 존재하는 지형적 차이와 환경에 따라 연료의 재료로 쓰이는 석탄이 되기도 하고 보석 중의 보석인 다이아몬드가 되기도 하는 것입니다. 지구상에 존재했던 숲은 오랜 시간 동안 깊은 땅속에 묻혀 있다가 대부분 석탄 덩어리로 변하는데 반해 그 석탄 덩어리가 반복해서 뜨거운 열과 압력을 받으면 마침내 단단하고 투명한 다이아몬드로 변하게 됩니다. 이는 결국 환경의 영향에 따라 탄소 덩어리가 석탄과는 값어치를 비교할 수 없는 다이아몬드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2.05
0
0
무화과 나무는 정말 꽃이 피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무화과는 다들 아시다시피 꽃이 피지 않는 나무라고 해서 무화과(無花果)라고 하잖아요~근데 사실은 이 무화과나무에도 꽃이 핀답니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잎겨드랑이에 열매 같은 꽃이삭이 달리고 안에 작은 꽃이 많이 달립니다. 암꽃은 화피갈래조각이 3개이고 2가화이지만 수나무는 보이지 않습니다. 열매는 꽃턱이 자란 것이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길이 5∼8cm로서 8∼10월에 검은 자주색 또는 황록색으로 익으며 날것으로 먹거나 잼을 만들어 먹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5
0
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