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아파트 매도시 금액 제시를 부동산에서 하나요?
공인중개사는 적절한 시세를 알고 있으니 권고를 해줄 뿐이지 강요를 할 수는 없습니다.집주인이 시가에 비해 높은 금액을 제시할 경우 매물이 나와도 팔리지 않으니 공인중개사가 매매가를 낮추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매매가는 집주인이 정하는 것이므로 낮추지 않겠다고 하면 공인중개사도 함부로 매매가를 낮출 수 없습니다.
경제 /
부동산
23.03.07
0
0
전세금 계약일이랑 입금날짜가 다른데 받을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계약서에 적힌대로 받으시면 됩니다.다음해 12월 21일에 계약을 끝내고 전세금을 받기로 되어 있다면 그 날 받으시면 됩니다.잔금 반환 시기와 관련해 집주인이 따로 얘기한 것이 있다면 협의를 해야 하겠지만 그런 얘기가 없었다면 계약 내용에는 변함이 없으니 계약서에 적힌대로 12월 21일에 받으시는 게 맞습니다.
경제 /
부동산
23.03.07
0
0
요즘 월세가 아닌 주세도 있다는데 실제계약 가능한제도인가요?
일반적인 형태는 아니지만 가능한 계약 형태입니다.임대차는 대한민국 민법에 규정되어 있는데 차임 지급 시기 등에 관해서는 규정하지 않아 계약 당사자 간의 협의에 따라 정할 수 있습니다.민법에서 임대차를 폭넓게 규정하고 있으며, 설령 민법에서 규정하지 않더라도 우리나라는 계약자유의 원칙을 따르고 있으니 주세 형태의 계약도 법적으로 효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경제 /
부동산
23.02.23
0
0
재작년 공인중개사 자격증만 따놓은 상태에 소공 면접 제의가 들어왔어요.
면접 제의가 들어온 거라면 부동산 측에서 소공이 필요하다는 뜻이니 근로 의지가 있다면 웬만하면 채용해줄 것 같네요.공인중개사 합격할 정도의 지식이라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차피 실무는 가르쳐줄 테니 기본적인 것들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아직 실무교육을 받지 않으셨다면 실무교육을 받고 면접을 보는 것도 괜찮을 거 같고요.그런데 가장 중요한 건 본인의 의지라고 생각합니다. 공인중개사로 활동할 마음이 없는데 면접 제의가 들어왔다고 갑자기 소공 활동을 시작한다면 오래 근무할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어느 정도는 마음의 준비가 필요합니다.
경제 /
부동산
23.02.23
0
0
부동산 계약시 중개수수료는 매수인 매도인 양쪽다 지불하는건가요?
수수료는 양쪽이 다 지급합니다. 2명의 중개사가 함께 중개를 했다면 각각 한쪽에서 수수료를 받습니다. (매수인 측 중개사는 매수인에게, 매도인 측 중개사는 매도인에게)요율은 주택, 오피스텔, 그 외 부동산(상가·토지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매매와 임대차(월세, 전세)로도 구분되어 있습니다.요율은 법률에 의해 정해져 있으나 이것은 상한 요율이기 때문에 중개사와 협의가 된다면 중개수수료를 낮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경제 /
부동산
23.02.23
0
0
여러 분야에서 사람 대신에 로봇이 일을 하면요
우리 사회는 로봇을 통해 돈을 벌 수 있는 계층과, 그렇지 않은 계층으로 나뉘게 될 것이고이러한 불균형 상태가 길게 이어질 거라 생각합니다.만약 우리나라 국민이 모두 로봇에 대한 지식이 뛰어나 로봇을 운용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낼 수 있다면아직 노동이 로봇으로 대체되지 않은 해외 국가를 상대로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그러나 그렇게 되기까지는 엄청난 시간이 흘러야겠지요.그 시간 동안 우리나라는 두 계층 간의 갈등이 심각해져 새로운 사회 문제가 대두하게 될 것입니다.로봇을 활용할 수 있는 자본가들은 인건비를 절감하여 기존보다 큰 수익을 얻겠지만 노동자들은 노동 수요 감소로 인해 실업 위기에 직면하게 되겠지요.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의 재분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래서 기본소득제 얘기도 나오고 있는데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실제 적용은 어려울 것이고, 적용된다 하더라도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것입니다.로봇의 발달은 인간에게 이로운 혜택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이와 동시에 기존에 보지 못했던 사회 문제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미래를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22
0
0
기준금리가 오르면 현금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좋은건가요?
네 맞습니다.기준금리가 오르면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모두 올라갑니다.그런데 예금금리의 상승폭보다 대출금리의 상승폭이 더 크기 때문에기준금리가 오르면 결국 대출을 이용하는 사람이 큰 피해를 보게 됩니다.반면, 현금 자산을 많이 보유한 사람은 예금금리 상승으로 인해 이자수익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득을 얻게 됩니다.
경제 /
대출
23.02.22
0
0
부동산 공시지가와 실거래가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실거래가는 말 그대로 실제로 거래가 된 가격입니다. 흔히 말하는 부동산 시세는 실거래가가 반영된 가격을 뜻합니다.공시지가는 정부에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를 부과할 때 기준으로 삼기 위해 직접 조사하고 공시하는 가격입니다.공시지가가 높다고 무조건 실거래가가 높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정부도 나름 체계를 두고 전문가를 통해 조사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시지가가 높다면 실거래가도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경제 /
부동산
23.02.22
0
0
부동산 매물이 경매로 넘어가게 된 이유에 궁금합니다.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거나, 전세를 주고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갚지 않아 경매로 넘어간 것입니다.담보 대출을 받았는데 갚을 능력이 되지 않는다면 은행에서 저당권을 행사하여 경매로 넘긴 뒤, 낙찰 대금으로 채권을 회수합니다.전세 세입자도 마찬가지고요.결국엔 돈을 갚지 않아 경매로 넘어가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경제 /
부동산
23.02.22
0
0
월세에는 왜 보증금을 내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
세입자가 계약 내용을 잘 이행하면 상관없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월세를 내야 하는데 내지 않고 주택을 파손하여 집주인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보증금이 걸려 있다면 집주인은 그 보증금으로 밀린 월세를 충당하고 주택을 수리하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겠지요.
경제 /
부동산
23.02.21
0
0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