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지방시골인데요 여기 부동산만 한10개는 있는데
여러 군데에 내놓아야 유리합니다. 한 곳에만 내놓는 것보다 여러 곳에 내놓는 게 거래가 성사될 가능성이 높거든요.부동산에서 매물을 공유하는 경우도 있지만 공유를 하지 않고 본인의 고객에게만 연락을 하여 중개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그럼 다른 부동산들은 그 매물의 존재를 알 수 없으니 중개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고 오로지 그 매물을 받은 부동산만 중개를 할 수 있는 것이죠.번가롭더라도 여러 부동산 다니면서 매물을 내놓는 걸 권해드립니다.
경제 /
부동산
23.02.12
0
0
프로젝트파이낸싱(PE)이 무슨뜻인가요?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은 아파트 건설 등 대규모 사업에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뜻합니다.막대한 자본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공사가 보유한 자본만으로는 사업을 진행할 수가 없어서 금융권에서 돈을 빌리게 되는데요.은행이 사업의 사업성을 평가하고 분석하여 양호한 사업이라고 판단하면 돈을 빌려주게 됩니다.그러나 최근 금리 상승으로 인해 PF 금리 역시 많이 올랐습니다.프로젝트 파이낸싱에 적용되는 금리가 오르면 시공사에서 부담해야 할 이자가 많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것이 수익성 악화로 이어져 결국 사업을 철회하는 상황까지 벌어질 수 있습니다.사업을 철회한다면 결국 막대한 빚만 남게 되고 이것이 경제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08
0
0
기업들이 독점을 하면 왜 문제가 되나요?
기업이 공익적인 목표를 가지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여 그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면 물론 경제적으로 좋은 영향이 있겠지요.하지만 기업이 독점하게 되면 경쟁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를 누릴 수 없게 됩니다. 기업은 서로 경쟁을 통해 기술을 개발하고 제품의 판매 가격을 낮추게 됩니다. 그러면 소비자가 이로 인한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업이 독점하면 이것이 불가능해지며 기업이 기존의 공익적인 방침을 철회하고 이윤만을 추구하게 된다면 기술력이 정체되고 품질이 저하되는데도 가격은 더 올라 소비자가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또한 독점 기업의 재정 상태가 악화되어 사업을 철수하게 된다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업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역시 소비자가 큰 피해를 입게 됩니다.이처럼 독점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부정적인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기업이 독점하지 못하도록 국가에서 정책을 펼치고 규제를 하는 것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08
0
0
콜옵션이 정확히 무슨 말인가요?
미래에 특정 주식을 특정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라고 보시면 되겠네요.콜옵션 매입자는 특정 주식의 주가가 상승했을 때 그 주식을 주가 그대로 매입하는 게 아니라 당초에 매입하기로 한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습니다. 콜옵션을 매입할 때 미리 정해놓지요.따라서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만기에 특정 주식의 주가가 1000원인데 콜옵션으로 800원으로 매입하기로 되어 있다면200원의 차익을 얻을 수 있겠지요.하지만 주식 시장이 좋지 않아 주가가 800원 미만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콜옵션을 행사하는 것이 오히려 손실입니다.이 경우에는 콜옵션을 포기할 수 있습니다.주가가 올랐을 때만 권리를 행사하고 주가가 오르지 않았을 때는 권리를 행사하지 않으면 되니 무조건 이득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콜옵션을 매입하려면 프리미엄을 지급해야 하므로 콜옵션을 포기하면 무조건 손실이 나게 됩니다.또한 주가가 프리미엄 가격에 해당하는 만큼 오르지 않은 경우에도 손실이 나게 되겠지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08
0
0
전세를 내놓으면 월세보다 집 주인이 손해 아닌가요?
물론 전세는 나중에 다시 돌려줘야 하긴 하지만한 번에 많은 돈을 받기 때문에 그 돈을 예금이나 적금을 통해 은행에 넣어둔다면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혹은 다른 곳에 투자를 할 수도 있고요.보통 전세 계약 기간이 2년이니, 처음에 목돈을 들여 투자를 하고 2년 내에 보증금에 해당하는 돈을 벌어 계약 기간 종료 후 반환해주면월세를 주는 것보다 전세를 줬을 때 더 높은 수익을 올릴 수도 있습니다.
경제 /
부동산
23.01.08
0
0
월세 중개수수료비용 얼마 인가요.
네이버 중개보수 계산기 서비스 이용하시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query=%EB%B6%80%EB%8F%99%EC%82%B0+%EC%A4%91%EA%B0%9C%EB%B3%B4%EC%88%98+%EA%B3%84%EC%82%B0%EA%B8%B0&oquery=%EC%A4%91%EA%B0%9C%EC%88%98%EC%88%98%EB%A3%8C+%EA%B3%84%EC%82%B0%EA%B8%B0&tqi=hJoqUdp0Jy0ss56HN3Kssssst50-464435보증금 70만원에 월세 60만원이면 대략 그 정도 나옵니다. 부가가치세까지 고려하면 267,080원이네요.참고로 중개보수 계산할 때 관리비는 포함시키지 않고 보증금과 월세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경제 /
부동산
23.01.08
0
0
나대지 라는게 무슨땅을 말하나요?
나대지는 건물을 지을 수 있는 토지인데 아직 건물이 지어지지 않은 땅을 뜻합니다.건물이 없기 때문에 당연히 건물과 토지를 한꺼번에 사는 것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토지를 매입할 수 있으며이후 건물을 지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니 투자 목적으로는 좋은 땅입니다.
경제 /
부동산
23.01.08
0
0
자신 아이디어의 물건을 파는 사업을 할때
제품의 개발과 제작, 그리고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처리할 수도 있겠지만 규모가 작은 업체나 개인은 이것이 어렵겠지요.그래서 전문 업체들을 찾아 계약을 맺고 사업을 하게 됩니다.좋은 사업 아이템이 있다면 그것을 구체화하여 제품으로 개발한 뒤,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업체를 찾아 계약을 맺습니다.납품 업체에서 제품을 생산하면 그것을 수령하여 고객들에게 발송하고 사후 서비스 등 고객 관리를 진행하게 됩니다.납품 업체는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을 통해 찾으시면 됩니다.온라인은 접근성이 좋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납품 업체를 찾아볼 수 있지만, 품질을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오프라인은 정보를 얻기가 불편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긴 하지만 직접 품질을 확인하고 원하는 대로 제품을 공급받기가 수월합니다.계약은 정식으로 계약서를 작성하기도 하지만 구두로 맺는 경우도 있습니다. 거창하게 계약을 하지 않더라도 납품 업체를 자주 이용할 테니 조금 더 낮은 단가에 제품을 제공해 달라고 부탁을 할 수도 있고요. 제품에 따라 별도의 계약이 필요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1.08
0
0
요즘 파킹통장이 많이 생깁니다.
파킹통장은 단기간에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합니다.최근에는 1개월마다 이자를 주는 상품도 있는데요.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 이자를 받아 사용할 수 있고, 예치금에서 출금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니 유동성 측면에서 파킹통장이 굉장히 유리합니다.그에 비해 두드러지는 단점은 딱히 없습니다. 상품마다 다르긴 하지만 예치금 한도가 낮다는 게 단점이 될 수 있겠네요.은행이 파킹통장을 만드는 이유는 파킹통장의 인기가 많기 때문에 자금을 확보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파킹통장은 장점이 많기 때문에 수요가 몰릴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경기가 안 좋은 시기에는 안전하게 이자를 받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파킹통장은 이자율도 높은 편이라서 인기가 많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27
0
0
질문 전세 잔금날 준비해야하는있나요?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을 했다면 공인중개사가 법무사를 소개해주거나 공인중개사 사무실에 법무사 직원이 방문할 것입니다.그러면 법무사 측에서 확인을 하고 근저당권을 말소시킨 뒤 나머지 절차를 이행할 것입니다.잔금 날에는 공인중개사보다 법무사 역할이 더 중요합니다. 잘 알고 있는 법무사가 있다면 임대인의 동의를 구해 그 법무사사무소에 가서 절차대로 하시면 됩니다.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을 했다면 공인중개사 측에서도 법무사를 구해놨을 수 있으니 미리 공인중개사에게 연락하여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참고로 잔금일에는 계약금을 제외한 보증금 잔액을 입금하고, 근저당권을 말소한 뒤,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한 경우에는 중개보수를 지급하게 됩니다. 절차가 복잡한 것은 아닙니다.
경제 /
부동산
22.12.17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