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대출 상황 방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원리금균등, 원금균등, 만기일시, 체증식, 이렇게 3개가 대표적입니다.원리금은 원금과 이자를 매달 같이 내서 갚을때까지 내는 금액이 같고,원금균등은 내는 원금이 같은데 원금을 갚을때 마다 이자가 줄어드니 전체적으로 보면 처음에 나가는 돈이 많고 갈수록 줄어듭니다.만기일시상황 방식도 있는데 실제로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될거 같고,체증식은 처음에 이자위주로 내고 점점 조금식 원금을 더해서 갚는 방식입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처음에 덜내고 갈수록 많이냅니다. 초기에 돈이 많이 안들어가서 여유자금이 없는 분들에겐 조금 더 유리한데, 이것도 보금자리론을 이용해야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3.12.19
0
0
경제 기사에서 말하는 J커브 효과라는 것은 무엇을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라 할 수 있습니다.위 그림을 보면 마치 그래프가 J모양처럼 나와있는데요. 처음에 무역수지를 개선하기위해 원화의 가치를 낮춥니다.그러면 당장은 수입품은 더 비싸게 사야하고, 수출품은 더 싸게 팔아야 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수출품이 더싸니까 외국으로 부터 많이 팔려서 흑자로 전환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18
0
0
대주주 양도세는 어떤 세금 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금 현행으로는 한 종목 보유액이 10억이 넘어가면 대주주로 봅니다. 이런 사람들이 주식을 팔아서 돈을 벌면 세금을 내는데 그 차익이 3억이하면 수익의 20%, 3억을 넘어가면 25%를 세금으로 내야합니다. (지방세 별도)그래서 이걸 10억에서 50억으로 완화해주면 주가가 올라 보유금액이 10억이 넘어가기전에 일부러 팔아야 하는 일이 줄어듭니다. 그럼 주식이 대량이 팔리는 일이 줄어들고, 주가에도 영향을 덜미치게 한다는 개념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8
0
0
금리와 환율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금리는 돈의 가치라 볼 수 있습니다. 내가 똑같은 100만원을 1% 맡기면 1만원만 받을 수 있지만 10%에 맡기면 1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금리가 올라가면 돈의 가치는 올라가고, 금리가 내리면 돈의 가치가 내려갑니다.이걸 그대로 환율에 적용해보면,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데 우리는 금리를 안올리면 달러 평가가올라가고 원화 평가가는 내려갑니다. 반대인 경우는 달러가치하락 원화가치상승입니다. 기본적으로 이런 관계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2.18
0
0
연령별 평균자산을 검색해보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저도 그런 조회를 헤보면 멘탈이 흔들리는 건 마찬가지입니다. 코로나 전에 잘 준비했던 사람은 코로나 이후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많은 격차를 냈습니다. 저희도 지금부터 준비해서 몇년뒤 수년뒤에는 격차를 낼수 있도록 해야하지않을까 생각이 듭니다.ㅠ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8
0
0
마이너스 금리가 적용된 국가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본이 마이너스금리입니다. 근데 이게 시중은행 대 시민사이의 금리가 아니라, 시중은행 대 중앙은행이 마이너스 금리 인 것읍니다.이걸 마이너스 금리로 하면, 일반은행도 시중은행한테 돈을 맡기고 하는데 이때 오히려 돈을 내면서 맡겨야 하니 손해입니다. 즉 중앙은행에 돈 맡길 생각하지말고 더많이 돈이 돌아다니도록 운영하라는 개념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3.12.18
0
0
경제용어중 전환사채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회사의 채권을 말합니다. 채권 보유자 입장에서는 주가가 안오르면 채권으로 이자를 받으면 되고, 주가가 오르면 주식으로 바꿀 수도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선택권이 더 있는거라서 좋습니다. 그래서 이자가 조금 더 낮습니다. 이런 배경으로 회사는 더 낮은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2.18
0
0
현재 한국의 경제상황이 제2의 외환위기라고 볼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직 그정도 심각한건 아니지 않나 생각합니다.1997년 외환보유액이 바닥으로 떨어졌을때는 39달러였고, 23년 9월 기준으로는 4,141억 2천만 달러입니다. 세계 10위안에 드는 규모입니다. 지금 힘든시기를 겪고있지만, 외환보유고는 그 당시와 많이 차이 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18
0
0
대출금리 확정 vs 변동 어떤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역사적으로 장기적으로보면 변동금리가 더 낫습니다. 지금은 힘들지만, 지속적으로 금리는 내려갈 확률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내년부터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린다고 모두가 예상하는 만큼, 우리나라도 앞으로는 상방보다는 하방으로 더 열려있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3.12.18
0
0
수출경합도지수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수출보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수출경합도지수는 얼마나 두 국가가 동일한 시장에서 경합하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시장에서 한국과 일본의 수출품목구조가 완전히 같다면 100입니다. 수출보험은 말그대로 수출하는 사람이 상대방의 대금지연이나, 계약파기 등에 대한 피해를 보상하기 위한 제도입니다.감샇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2.18
0
0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