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주 20시간 근무하는 알바의 최저시급 주휴수당?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주 20시간이면 하루에 4시간 근무로 주 5일을 일하는 경우라면 최저시급(8,720원)에 소정근로시간 4시간을 곱한 금액인 34,880원이 지급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20
0
0
20년 8월 1일 입사자 연차몇개?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15개가 발생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20
0
0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주휴수당은 1주 15시간이상, 소정근로일을 개근하고 다음주 근로가 예정되어 있는 상태에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장근무가 아닌 소정근로에 대한 임금만 지급이 가능한점을 알려드립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20
0
0
IRP계좌 출금에 대래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퇴직용은 회사에서 퇴직급여로서 퇴직연금을 이체하는 경우 들어가는 계정이고, 적립용은 근로자 개인이 추가로 마치 개인연금처럼 납부하는 것입니다.퇴직용은 퇴직소득세와 관련이 있고 적립용은 연말정산할 때 세액공제와 관련이 있습니다.회사가 퇴직급여로 납부한 퇴직급여는 애초에 회사에서 퇴직소득세를 뗄 것을 안떼고 넣어줍니다. 이걸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받으면 퇴직소득세보다 훨씬 적은 연금소득세를 납부하게 됩니다.근로자 적립용은 근로가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 16.5%를 받았을 것입니다. 이것을 토해내는 것입니다.결국, 질문자님은 퇴직금적립용으로 받은 것을 출금할 때는 원래 내지 않았던 퇴직소득세를 공제하는 것입니다. 수수료를 떼는 것이 아닙니다. 참고로 300만원이 넘는 퇴직연금(회사가 퇴직연금제도를 한 경우)은 무조건 IRP로 받아야 합니다.일부 출금은 안 되는 것으로 압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20
0
0
실업급여조건 출퇴근거리기준이 대중교통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실업급여는 기본적으로 피보험단위기간이 180일이상이고 비 자발적퇴사(권고사직,해고)라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그러나 자발적퇴사라하더라도 왕복기간이 3시간 이상인 경우라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하며, 출발시점부터 도착시간까지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20
0
0
13개월째 되는 직원의 연차갯수는 26개라고 얘기해주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26개로 답변을 해주시면 됩니다. 회사가 적법하게 연차사용을 촉진한 경우라면 11개는 근로자가 연차를 미사용한 경우이므로 제외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20
0
0
실업급여 신청 시 사업장 피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회사에서 권고사직을 하는 경우 피해는 외국인 근로자를 채용하는데 제한하는 경우와 지원금(일자리안정자금,청년추가고용장려금)에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산업재해
21.03.20
0
0
육아기 단축근무 시 복지비 등도 단축한 만큼 차감 후 지급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복지비는 복리후생적 급여이므로 임금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회사의 재량으로 판단하시면 됩니다. 다만, 근로자들의 불만이 있으므로 사전에 의견청취를 하면 노사관계상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20
0
0
아르바이트의 휴업 수당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네 맞습니다 휴업수당은 기본적으로 5인이상의 사업장이라면 청구가 가능합니다.2. 근로계약서에 받기로한 임금의 70%를 지급하면 됩니다.3. 회사의 단축된 근무시간에 대해서도 70%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본인이 합의한 경우라면 받을 수 없습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20
0
0
퇴사자가 본인의 업무를 진행하지 않고 그만둘 때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자의 퇴직을 제한하는 법은 없습니다. 다만 민법에서 상대방의 의사표시를 거부하는 경우 한달 이후에 성립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에서 근로자가 무단퇴사시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은 한달을 무단결근으로 가정하여, 퇴직금 기간에 제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1년 이상의근속기간을 가지지 않은 근로자라면 회사에서 불이익을 줄 수 있는 방법은 따로 없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구조조정
21.03.20
0
0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